$\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차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작용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raditional Korean Tea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7 no.5, 2011년, pp.567 - 575  

손종연 (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식품생물산업연구소) ,  김태옥 (풀무원(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차(장미차, 감국차, 솔잎차, 감잎차, 뽕잎차 및 녹차)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효과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장미차, 감국차, 솔잎차, 뽕잎차, 감잎차 및 녹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72.8, 74.6, 153.5, 73.5, 69.5 및 260.8 mg/g이었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각각 75.1, 47.8, 26.8, 40.0, 27.9 및 99.5 mg/g이었다. 장미차, 감국차, 솔잎차, 뽕잎차, 감잎차 및 녹차 추출물(1 mg/mL)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각각 96.8, 35.8, 71.3, 28.9, 28.8 및 95.3%이었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2 mg/mL)은 녹차(91.3%) > 장미차(49.6%) > 솔잎차(46.0%) > 감국차(15.4%) ${\qeq}$ 뽕잎차(14.2%) ${\qeq}$ 감잎차(13.5%)의 순이었다. SOD 유사활성능(5 mg/mL)은 녹차(18.7%) > 장미차(14.7%) > 뽕잎차(14.0%) > 솔잎차(11.2%) > 국화차(8.4%) ${\qeq}$ 감잎차(7.9%)의 순으로 녹차 추출물이 가장 높았으며, 국화차 및 감잎차 추출물은 거의 없었다. 장미차, 감국차, 솔잎차, 뽕잎차, 감잎차 및 녹차 추출물(5 mg/mL)의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각각 55.3, 64.4, 35.3, 51.5, 44.6, 29.5%이었다. 장미차의 경우 Micrococcus lut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E. coli 모두에 대해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Gram 음성균인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해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녹차, 솔잎의 경우 Salmonella enteritidis, Bacillus cereus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뽕잎, 감잎, 국화차의 경우는 Micrococcus lut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E. coli 모두에 대해 항균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 water extract (70$^{\circ}C$) of traditional Korean teas (rose, chrysanthemum, pine needles, mulberry, persimmon leaves, and green tea). Total phenol contents in rose, chrysanthemum, pine needles, mulberry,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차의 이용범위를 증대시키고,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수요 창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녹차, 감잎, 솔잎, 뽕잎, 감국 및 장미차의 생리활성 및 항균효과를 검토하고, 이들의 효과를 상대적으로 그 효과가 잘 알려져 있는 녹차와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차(장미차, 감국차, 솔잎차, 감잎차, 뽕잎차 및 녹차)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효과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장미차, 감국차, 솔잎차, 뽕잎차, 감잎차 및 녹차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27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차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은? 녹차(Camellia sinensis)는 항산화작용, 항균효과, 돌연변이 억제효과 등이 확인되면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이 높아지고 있다(Lu TM 등 2010, Kristanti RA와 Punbusayakul N 2009, Lim JH 등 2008, Yamauchi R 등 2009). 녹차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은 catechin류이며,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75%를 차지한다.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75%를 차지하는 물질은? 녹차(Camellia sinensis)는 항산화작용, 항균효과, 돌연변이 억제효과 등이 확인되면서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이 높아지고 있다(Lu TM 등 2010, Kristanti RA와 Punbusayakul N 2009, Lim JH 등 2008, Yamauchi R 등 2009). 녹차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은 catechin류이며, 녹차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75%를 차지한다.
솔잎의 주요 성분은? 솔잎(pine needle, Pinus densiflora)은 예로부터 솔잎차나 구황식품, 시루떡의 방부, 살균효과 및 향기부여를 위해 사용되어져 왔다. 주요 성분은 α-pinene, β-pinene, camphene 등의 정유, flavonoids(quercetin, kaempferol 등)이다(Kuk JH 등 1997). 뽕잎(mulberry leaf)에는 혈당 저하작용성분인 1-deoxynojirimycin(DNJ), 혈압강하성분인 γ-aminobutyric acid(GABA), rutin, quercetin, qucercitin, isoquercitrin 등의 flavonoids가 함유되어 있다(Kim SY 등 1999a, Kim SY 등 1999b, Bang HS 등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Bang HS, Lee WC, Shon HR, Choi YC, Kim HB. 1998. Varietal comparison of γ-aminobutyric acid content in mulberry root bark. Kor J Seric Sci 40(1):13-16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4. Choi SH, Im SI, Bae JE. 2006.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flower tea of German chamomile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768-773 

  5. Chung SK. 1997. Hydroxyl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spices and scavengers from brown mustard. Biosci Biotech Biochem 61(1):118-123 

  6. Jang DS, Park KH, Lee JR, Ha TJ, Park YB, Nam SH, Yang MS.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Hemisteptia lyrata, Chrysanthemum zawadskii and Chrysanthemum iboreal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1):137-142 

  7. Kameda K, Takaku T, Okuda H, Kimura Y. 1987. Inhibitory effects of various flavonoids isolate from leaf of persimmon o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tivity. J Nat Products 50(4):680-686 

  8.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6):978-984 

  9.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232-239 

  10.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5):1333-1338 

  11. MS, Lee DC, Hong JE, Chang KS, Cho HY, Kwon YK, Kim HY. 2000.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and Indonesian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4):949-958 

  12. Kim SY, Gao JJ, Lee WC, Ryu KS, Lee KR, Kim YC. 1999b. Antioxidantive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Morus alba. Arch Pharm Res 22(1):81-85 

  13. Kim SY, Ryu KS, Lee WC, Ku HO, Lee HS, Lee KR. 1999a. Hypoglycemic effect of mulberry leaves with anaerobic treatment in alloxan-induced diabetic mice. Kor J Phamacogn 30(1):123-129 

  14. Kim TS, Park WJ, Kang MH. 2007. Effect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s in vitamin C during storage of Lycil folium extracts prepared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2):1578-1582 

  15. Kristanti RA, Punbusaykul N.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ommercial green tea in Chiang Rai Acta Horticulture 837(1):53-59 

  16. Kuk JH, Ma SJ, Park KH. 199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innam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needle of Pinus densiflor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4):823-826 

  17. Kwon EK, Kim YE, Lee CH, Kim HY. 2006. Screening of nine herbs with biological activities on ACE inhibition, HMG-CoA reductase inhibition and fibrino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6):691-698. 

  18. Lee HR, Lee JM, Choi NS, Lee JM. 2003.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bility of ethanol extracts from Rosa hybrida.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373-378 

  19. Lim JH, Kim BK, Park CE, Park KJ, Kim JC, Jeong JW, Jeong SW.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3):797-804 

  20. Lim SM, Cho YS, Sung SK, Lee IG, Lee SH, Kim DG.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Korean J Food Sci Ani Resou 22(1):13-19 

  21. Lu TM, Lee CC, Mau JL, Lin SD. 2010.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y of green tea sponge cake. Food Chem 119(3):1090-1095 

  22. Manian R, Anusuya N, Siddhyraju P, Manian S. 2008.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 radical of Camellia sinensis (L.) O. Kuntz, Ficus bengalensis L. and Ficus racemosa L. Food Chem 107(3): 1000-1007 

  23.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3):468-474 

  24. Mc Cord JM, Fridovich I. 1969. Superoxide dismutase: an enzymatic function for etythrocuprein (Hemocuprein). J Biol Chem 244(22):6049-6055 

  25. SAS. Institute, Inc. 1990.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26. Song YJ, Cho YS, Oh KH. 2009.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JK-15 and LPS changes caused by rose flower extracts. Kor J Microbiol 45(4):318-323 

  27. Tateyama CG, Honma NB, Namiki KK, Ukiyama TO. 1997a.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various flower petal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44(4):290-299 

  28. Tateyama CG, Ohta MS, Ukiyama TO. 1997b.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lower petal extract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44(9):640-646 

  29. Uchida S, Edamatsu R, Hiramatsu M, Mori A, Nonaka GY, Nishioka I, Niwa M, Ozaki M. 1987. Condensed tannins scavenge active oxygen free radicals. Med Sci Res 15(5):831-834 

  30. Yamauchi R, Sasaki K, Yoshida K. 2009. Identification of epigallocatechin-3-gallate in green tea polyphenols as a potent inducer of p53-dependent apoptosis in the human lung cancer cell line A549. Toxicology in Vitro 23(5):834-839 

  31. Yang CT, Kuo JT, Lin ES. 2010. Screening of medium composition for the free radical-scavenging properties by Antrodia cinnamomea. Int J Food Sci 45(2):305-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