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화차를 포함하는 허브차의 CCl4로 유도된 간세포손상 보호 및 항유전독성 효과
Antihepatotoxic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Herb Tea Composed of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 2011년, pp.78 - 83  

이현정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용일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선욱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의 건강기능성 추출물을 이용한 차 음료 시장이 확대되고 있고, 국화, 산수유 및 오미자는 이들의 높은 생리 활성과 기호도로 인하여 그 활용도가 더욱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까지 국화, 산수유 및 오미자의 개별적인 생리활성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한 차류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Cl_4$ 처리에 의해 손상된 간세포에 대한 국화차 조성물의 간 기능 보호효과와 인체백혈구에서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DNA 손상에 대한 국화차 조성물의 항유전독성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CCl_4$로 유도된 간세포 독성에 대해 국화차 조성물 I형, II형은 유의적인 간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국화차 조성물 III형은 $CCl_4$처리군보다 약간 높은 세포생존율을 보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CCl_4$를 처리에 의해 증가한 간세포 배지 내 ASTALT 활성은 국화차 조성물에 의해 배지 내 효소활성을 감소시킴으로 간세포 보호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그 효과는 AST 효소활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화차 조성물 I형의 0.01 mg/mL 농도에서 가장 높은 AST 및 ALT 유리 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국화추출물의 $CCl_4$ 유도에 의해 AST>ALT 순으로 유리가 증가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국화차 조성물 I형의 $1\sim50{\mu}g$/mL, 국화차 조성물 II의 $50{\mu}g$/mL 및 국화차 조성물 III 의 $1\sim50{\mu}g$/mL 농도 범위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로 유도된 인체 백혈구 DNA 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국화차 조성물의 간세포 손상보호효과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인체 백혈구 DNA 손상 보호능을 검증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lower of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with antioxidant,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functions has been a widely used traditional herb as a healthy beverage and medicin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a herb tea consisting of C. morifolium Ramat., Corni fructus and S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국화, 산수유 및 오미자의 개별적인 생리활성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이들을 혼합하여 제조한 차류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Cl4 처리에 의해 손상된 간세포에 대한 국화차 조성물의 간 기능 보호효과와 인체백혈구에서 H2O2로 유도된 산화적 DNA 손상에 대한 국화차 조성물의 항유전독성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CCl4로 유도된 간세포 독성에 대해 국화차 조성물 I형, II형은 유의적인 간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국화차 조성물 III형은 CCl4처리군보다 약간 높은 세포생존율을 보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 그러나 인체세포를 이용한 국화, 산수유 및 오미자의 DNA 손상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 및 한방에서 애용되고 있는 국화, 산수유 및 오미자로 구성된 국화차 조성물의 간세포손상 보호효과 및 항유전독성 활성을 분석하여 국화차 조성물의 새로운 생리활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화과 Chrysanthemum속 식물들은 무엇으로 가치가 높으며, 우수한 약리효과로 인해 어떤 식물로 사용되어왔는가? 국화과 Chrysanthemum속 식물들은 관상식물로서 가치가 높으며, 우수한 약리효과로 식·약용식물로 사용되어 왔다. 국화과 Chrysanthemum속 식물의 대표적인 약리효과로는 항에이즈, 항균, 항진균 및 항산화효과 등이 있으며(1-3), 주로 산국(C.
국화과 Chrysanthemum속 식물의 약리적 효과는 무엇인가? 국화과 Chrysanthemum속 식물들은 관상식물로서 가치가 높으며, 우수한 약리효과로 식·약용식물로 사용되어 왔다. 국화과 Chrysanthemum속 식물의 대표적인 약리효과로는 항에이즈, 항균, 항진균 및 항산화효과 등이 있으며(1-3), 주로 산국(C. boreale)과 감국(C.
간 기능의 손상을 유도하는 대표적인 물질은 무엇인가? 간질환은 주로 독성화합물, 알코올 과다섭취, 감염 및 자가면역질환이 원인이며, 지방과다섭취, 피로, 과음 또는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만성 간질환인 지방간이나 간경변은 간암으로까지 이행된다. 간 손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유도물질의 하나인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 CCl4)는 생체 내 활면소포체에 존재하는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의 작용에 의해 trichloromethyl peroxyl radical(·CCl3)로 전환되고, 이 radical은 간세포에 손상을 유도한다. ·CCl3은 소포체 막의 인지질을 공격하여 지질과산화를 일으키며(29), 지질과산화의 분해산물들은 소포체의 구조를 붕괴시키고, 소포체 내 효소활성저하 및 단백질 합성 저해 등을 일으켜 지방간 변성을 유발하며, 혈중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및 alanine aminotransferase(ALT) 유리, 간세포 괴사 및 섬유화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Hu CQ, Chen K, Shi Q, Kilkuskie RE, Cheng YC, Lee KH. 

  2. Sassi AB, Harzallah-Skhiri F, Bourgougnon N, Aouni M. 

  3. Marongiu B, Piras A, Porcedda S, Tuveri E, Laconi S, 

  4. Park NY, Lee KD, Jeong YJ, Kwon JH. 1998.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J Korean 

  5. Yu JS, Hwang IG, Woo KS, Chang YD, Lee CH, Jeong JH, 

  6. Park NY, Kwon JH, Kim HK. 1998.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7. Nam SH, Yang MS. 1995.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M. J Agric Food Chem 38: 269-272. 

  8. Nam SH, Yang MS. 1995. Isolation of cytotoxic substances of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M. J Agric Food Chem 38: 273-277. 

  9. Seo KI, Lee SW, Yang KH. 1999.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orean J 

  10. Park YK, Whang WK, Kim HI. 1995. The antidiabetic effects of extracts from Cornus officinalis seed. Chung-Ang J Pharm Sci 9: 5-11. 

  11. Kim YE, Lee YC, Kim HK, Kim CJ. 1997.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fraction for several Korean medicinal plant 

  12. Kim OK. 2005. Antidiabet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rni fruct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13. Kim BH, Park KU, Kim JY, Jeong IY, Yang GH, Cho YS, 

  14. Kim YD, Kim HK, Kim KJ.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Cornus officina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29-832. 

  15. Mok CK.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tea prepared from spray-dri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grape juice mixture. Food Eng Prog 9: 226-230. 

  16. Oh SL, Kim SS, Min BY, Chung DH.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17. Lee JS, Lee SW. 1991. The studies of composition of fatty ac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18. Jung GT, Ju IO, Choi JS, Hong JS. 2000.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Pyprecht (Omija) seed. Korean J Food Sci 

  19. Kim JS, Choi SY.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 Nutr 21: 35-42. 

  20. Fukushima M, Kimura S. 1989. Studies on cosmetic ingredients from crude druge (I). Shoyakugaku Zasshi 43: 

  21. Jang EH, Pyo YH, Ahn MS. 1996. Antioxidant effec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12: 372-376. 

  22. Lee SH, Lim YS. 1997.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nadra chinensis extract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442-447. 

  23. Lee SH, Lim YS. 1998. Antimicrobial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 J Korean 

  24. Ji WD, Jeong MS, Chung HC, Choi UK, Jeong WH, Kweon 

  25. Lee JY, Min YK, Kim HY. 2001. Isola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and antimicrobial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89-394. 

  26. Jeon YH, Kil JH, Lim SM, Kim MH, Kim MR. 2008. 

  27. Do JR, Kim SB, Park YH, Park YB, Kim DS. 1993. The nitrite-scavenging effects by the component of traditional tea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530-534. 

  28. Wolf PL. 1999. Biochemical diagnosis of liver diseases. 

  29. McCay PB, Lai EK, Poyer Jl, DuBose CM, Janzen EG. 1993. 

  30. Halliwell B, Gutteridge JM. 1985. The importanc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Mol Aspects Med 8: 89-193. 

  31. Poirier MC, Weston A. 2002. DNA damage, DNA repair, and mutagenesis. In Encyclopedia of Cancer . Bertino JR, ed. Academic Press, Boston, MA, USA. p 79-87. 

  32. Helim KE, Tagliaferro AR, Bobilya DJ. 2002. Flavonoid antioxidants: chemistry, metabolism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J Nutr Biochem 13: 572-584. 

  33. Lee JS, Kim HJ, Lee YS. 2003. A new anti-HIV flavonoid glucuronide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Planta Med 69: 859-861. 

  34. Matsuda H, Morikawa T, Toguchida I, Harima S, Yoshikawa 

  35. Hertog MG, Feskens EJ, Hollman PC, Katan MB, Kromhout 

  36. Ichihara A, Nakamura T, Tanaka K. 1982. Use of hepatocytes in primary culture for biochemical studies on liver functions. Mol Cell Biochem 43: 145-160. 

  37. Singh PN, McCoy MT, Tice RR, Schneider EL. 1988. A simple technique for quantitation of low levels of DNA damage in individual cells. Exp Cell Res 175: 184-191. 

  38. Kim YS, Park KH. 1995. Screening method for antihepatotoxic activity using $CCl_4$ -induced cytotoxicity in primary cultured rat hepatocytes. Kor J Pharmacogn 26: 51-56. 

  39. Kim YS, Park KH. 1994. Effect of traditional drugs on $CCl_4$ - 

  40. Seo KI, Lee SW, Yang KH. 1999.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orean J 

  41. Cho HE, Choi YJ, Cho EK. 2010.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81-486. 

  42. Woo KS, Yu JS, Hwang IG, Lee YR, Lee CH, Yoon H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