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허브 메탄올 추출물의 V79-4 세포에서 항산화 활성 검색
Screening of Natural Herb Methanol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in V79-4 cells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2 no.4 = no.94, 2006년, pp.428 - 437  

장정화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유경미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황인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천연 허브류의 항산화성 및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 독성,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 항산화 효소 활성 등을 살펴보았다.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s인 V79-4에서는 green tea 추출물, 고농도의 lemon 추출물에서 세포독성을 보였다. H$_2$O$_2$로 유발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허브 추출물의 V79-4 세포 보호효과는 모든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효과를 갖지는 않으나chamomile, fennel, dandelion을 제외한 대부분의 고농도추출물에서 대조군에 비해 세포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인다. 항산화 활성 및 세포 독성 실험을 토대로 활성이 높은 5가지 허브 추출물의 V79-4 세포를 이용한 항산화 효소 활성에서 lemon vervena, chamomile을 처리하면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이 대조군보다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다양한 허브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색을 토대로 허브류의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worth of herbs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15 kinds of herb mathanol extracts was evaluated. Green tea, chamomile, dandelion, and lemon vervena extracts, with IC$_{50}$ values of 1.45 g/100mL, 1.49 g/100mL, 1.50 g/100mL and 1.55 g/100m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다양한 허브는 그 향기나 풍미가 탁월하고 독특하여 식품 소재로서 기호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피로회복, 진정효과, 항균작용, 노화방지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어 생리 활성 측면에 있어 가치 있는 소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 허브류의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함으로써 항산화성을 살펴보았으며, 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 독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 에 대한 보호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생리 활성을 살펴보았다. 세포주의 선택에 있어서는 폐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한 기관이라고 보고되고 있는(Pryor 등 1998) 점을 감안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허브 추출물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폐 조직에서 유래된 Chinese hasmter lung fibroblast(V79-4)라는 세포주를 이 용하였다(Kang 등 2005).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허브류의 항산화성 및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 독성,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 항산화 효소 활성 등을 살펴보았다.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s인 V79-4에서는 green tea 추출물, 고농 도의 lemon vervena, eucalyptus 등의 추출물에서 세포 독성을 보였다.
  • 세포주의 선택에 있어서는 폐가 산화적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한 기관이라고 보고되고 있는(Pryor 등 1998) 점을 감안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허브 추출물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폐 조직에서 유래된 Chinese hasmter lung fibroblast(V79-4)라는 세포주를 이 용하였다(Kang 등 2005). 이에 더하여 항산화성 및 생리 활성이 높은 몇 가지의 허브류에 대하여서는 세포 주를 이용한 항산화 효소계의 활성을 관찰함으로써 허브류의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ia M, Ramos S, Mateos R, Granado-Serrano AB, Bravo L, Goya L. 2005. Quercetin protects human hepatoma HepG2 against oxidative stress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Available online http://www.sciencedirect.com 

  2. Ames BN. 1998. Micronutrients prevent cancer and delay aging. Toxicology Letters 102-103 : 5-18 

  3.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z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ytical Biochemistry 72 : 248-254 

  4. Cao G, Sofic E, Prior RL. 1996. Antioxidant capacity of tea and common vegetable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44 : 3426-3431 

  5. Carrillo MC, Kanai S, Nokubo M, Kitani K. 1991. Deprenyl induces activities of both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but not glutathione peroxidase in the striatum of young male rats. Life Science 48 : 517-521 

  6. Choi YM, Kim MH, Shin JJ, Park JM, Lee J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2(5) : 723-727 

  7. Chung HY, Kim HB. 2000. In vitro Studies on the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the cytotoxic and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thirteen kinds of herbal extract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2(3) : 699-705 

  8. Crapo JD, McCord JM, Fridovich I. 1978. Preparation and assay of superoxide dismutase. Methodology in Enzymology 53 : 382-393 

  9.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 where are we now? Journal of Laboratory and Clinical Medicine 119 : 598-620 

  10.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al Review of Nutrition 16 : 33-50 

  11. Ju EM, Lee SE, Hwang HJ, Kim JH. 2004.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of extract from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Life Science 74 : 1013-1026 

  12. Kang KA, Lee KH, Chae SW, Zhang R, Jung MS, Lee YK, Kim SY, Kim HS, Joo HG, Park JW, Ham YM, Lee NH, Hyun JW. 2005. Eckol isolated from Ecklonia cava attenuates oxidative stress induced cell damage in lung fibroblast cells. FEBS letters 579 : 6295-6304 

  13. Kehrer JP. 1993. Free radicals as mediators of tissue injury and disease. CRC Critical Reviews in Toxicology 23 : 21-48 

  14.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Technology 36(2) : 333-338 

  15. Konyalioglu S, Karamenderes C. 2005. The protective effects of Achillea L. species native in Turkey against $H_2O_2-$ - induced oxidative damage in human erythrocytes and leucocytes.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02 : 221-227 

  16. Kris-Etherton PM, Hecker KD, Bonanome A, Coval SM, Binkoski AE, Hilpert KF, Griel AE, Etherton TD. 2002. Bioactive compounds in Foods : Their role in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13(9B) : 71S-88S 

  17. Lambert JD, Yang CS. 2003.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and bioavailability of tea and tea polyphenols. Mutation Research 523-524 : 201-208 

  18. Lee KW, Kim YJ, Lee HJ, Lee CY. 2003. Cocoa has more phenolic phytochemicals and a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teas and red win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1 : 7292-7295 

  19. Lee SE, Hwang HJ, Ha JS, Jeong HS, Kim JH. 2003a. Screening of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y. Life Science 73 : 167-179 

  20. Lee SE, Ju EM, Kim JH. 2001.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 enzyme fortifying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milax china root.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33(4) : 263-268 

  21. Lee SE, Ju EM, Kim JH. 2002.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Euryale ferox seed.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34(2) : 100-106 

  22. Lee SE, Shin HT, Hwang HJ, Kim JH. 2003b.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lpinia katsumadai Seed. Phytotherapy Research 17 : 1041-1047 

  23. Nishikimi M, Rao NA, Yagi K. 1972. The occurrence of superoxide anion in the reaction of reduced phenazine methosulfate and molecular oxygen.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46(2) : 849-854 

  24. Paglia DE, Valentien WN. 1967.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 Journal of Laboratory Clinical Medicine 70 : 158-164 

  25. Pryor WA, Stone K, Zang LY, Bermudez E. 1998. Fractionation fo aqueous cigarette tar extracts : fractionation that contain the tar radical cause DNA damage. Chemical Research in Toxicology 11 : 441-448 

  26.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vines from different sources. Journal of Agricultural & Food Chemistry 44 : 37-41 

  27. Scalbert A, Williamson G. 2000. Dietary intake and bioavailability of polyphenols. Journal of Nutrition 130 : 2073S-2085S 

  28. Shin YJ, Jung DY, Ha HK, Park SW. 2004. Anticancer effect fo Erythronium japonicum extract on ICR mouse and L1210 cells with alteration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6(6) : 968-973 

  29. Surh YJ. 1999. Molecular mechanism of chemopreventive effects of selected dietary and medicinal phenolic substances. Mutation Research 428 : 305-327 

  30. Yang CS, Chung JY, Yang G, Chhabra SK, Lee M. 2000. Tea and tea polyphenols in Cancer Prevention. Journal of Nutrition 130 : 472S-478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