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타임으로부터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추출 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flavonoid compounds from Thyme (Thymus vulgaris Libiatae)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3 no.1, 2020년, pp.111 - 116  

박윤진 (Department of Food and Pharmaceutical Engineering & Institute of Basic Science, Hoseo University) ,  이주미 (Department of Food and Pharmaceutical Engineering & Institute of Basic Science, Hoseo University) ,  인만진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  채희정 (Department of Food and Pharmaceutical Engineering & Institute of Basic Science, Hoseo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타임, 바질, 로즈마리 등 20종의 허브 식물에 대한 8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탐색 대상 허브 식물 중 타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6.90±0.02 mg CAE/100 g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71±0.19 mg NE/100 g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능은 93.14±0.23%로 매우 높은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타임으로부터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하기 위하여 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중 추출수율이 높은 헥산을 추출용매로 선정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타임 추출물의 최적화 추출조건으로 추출온도는 35.9 ℃, 농도는 1.63%, 시간은 192분이었다. 예측된 조건으로 제조한 타임 n-헥산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예측 값의 96.3%로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추출조건 최적화의 신뢰성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최적화된 추출 조건은 플라보노이드의 생산을 위한 타임의 용매추출 조건으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tal polyphenol contents, flavonoid content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of 20 herbal plants (sage, turmeric, mace, bayleaf, fenugreek, oregano, blackpepper, whitepepper, clove, marjoram, cinnamon, coriander, basil, dillseed, musta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허브 식물로부터 생리활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20종의 허브 식물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고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 화 활성을 비교하여 이 중 플라보노이드 추출수율이 높은 타임을 선별하였다. 또한 타임으로부터 플라보노이드 추출 수율을 비교하여 최적의 추출 용매를 선정하고, 실험계획법으로 타임 플라보노이드의 추출 조건을 최적화함으로서 향후 타임 추출물의 생산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허브 식물로부터 생리활성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20종의 허브 식물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고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 화 활성을 비교하여 이 중 플라보노이드 추출수율이 높은 타임을 선별하였다. 또한 타임으로부터 플라보노이드 추출 수율을 비교하여 최적의 추출 용매를 선정하고, 실험계획법으로 타임 플라보노이드의 추출 조건을 최적화함으로서 향후 타임 추출물의 생산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임은 무엇인가? 허브 중 타임(Thymus vulgaris Labiatae)은 목본 식물로서 꿀풀과에 속하며 항균,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어 고대부터 민간요법에서 사용되어온 자원이다. 타임의 주요 생리활성 성분은 thymol, carvacrol, geraniol, p-cymene이며[11], 타임의 정유 성분에 대한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항균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11,12].
허브의 용도는? 허브는 오랫동안 식용 향신료와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 항산화,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을 갖는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음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1-3]. 세계적으로 허브의 생리 활성 성분을 활용한 일반식품,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등의 제품 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허브의 생리활성 규명 및 활 용에 관한 탐구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4,5].
타임 추출물 DPPH radical 소거능 항산화 활성 수준은 어떤가? 19 mg NE/100 g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DPPH radical 소거능은 93.14±0.23%로 매우 높은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타임으로부터 플라보노이드를 추출하기 위하여 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헥산 중 추출수율이 높은 헥산을 추출용매로 선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Ryoo JW, Cha BC (1998) Minera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some herb plants. J Korean Medicinal Crop Sci 6: 28-32 

  2. Chung HY, Kim HB (2000) in vitro studies on the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the cytotoxic and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thirteen kinds of herbal extracts. J Korean Food Sci Technol 32: 699-705 

  3. Choi IY, Bae YI, Shim KH (2010)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me herbal extracts. J Korean Hort Sci Technol 28: 871-876 

  4. Chorianopoulos N, Kalpoutzakis E, Aligiannis N, Mitaku S, Nychas GJ, Haroutounian SA (2004) Essential oils of satureja, origanum, and thymus species: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J Agric Food Chem 52: 8261-8267 

  5. Park MH, Kim DY, Jang HJ, Jo YH, Jeong JT, Lee DY, Baek MI, Ryu HW, Oh SR (2019) Analysis of polyphenolic metabolites from Artemisia gmelinii Weber ex Stechm. and regional comparison in Korea. J Appl Biol Chem 62: 433-439 

  6. Kim HR (2016) Optimization of Polyphenol Extraction from Fruit and Non-edible Parts of Aronia melanocarpa and Biological Activity Evaluation. Master's thesis, Hoseo University 

  7. Hu HN, Huang Y, Xiong MR, Luo SF, Chen Y (2006) The effects of natural flavonoids on lipoxygenase-mediated oxidation of compounds with a benzen ring structure-A new possible mechanism of flavonoids anti-chemical carcinogenesis and other toxicities. Int J Toxicol 25: 295-301 

  8. Moutsatsou P (2007) The spectrum of phytoestrogens in nature: our knowledge is expanding. Hormones (Athens) 6: 173-193 

  9. Lee SB, Wang X, Yoon BH (2018) Optimization of total flavonoids extraction process from wheat sprout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 Appl Chem Eng 29: 446-451 

  10. Han KH, Jang HS, Hong IG (2019) Optimization of antioxidant extraction from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leaves using BBDRSM. Appl Chem Eng 4: 408-414 

  11. Tohidi B, Rahimmalek M, Arzani A (2017) Essential oil composition, total phenolic,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ymus species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of Iran. Food Chem 220: 153-161 

  12. Cosentino S, Tuberoso CIG, Pisano B, Satta M, Mascia V, Arzedil E, Palmas F (1999) In-vitro antimicrobial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ardinian thymus essential oils. Lett Appl Microbiol 29: 130-135 

  13. Young HK, Lee JC, Choi YH (1994) Essential oils of Thymus quinquecostatus Celakov and Thymus magnus Nakai. J Korean Medicinal Crop Sci 2: 234-240 

  14. Baik JA, Baek YH, Chiang MH (2009) Phenol contents of solvent extraction in several domestic Thymus quinquecostatus Celak. J Bio-Environ Control 18: 468-474 

  15. Kim MK, Kim OM, Kim ID, Kim MH, Park IK, Kang MS, Lee NH, Kim SD (1998) The effects of water extracts from thyme (Thymus vulgaris L.) and tarragon (Artemisia dracuncculus L.) on shelf life and quality of kimchi.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49-56 

  16. Lee SJ, Park GS (2004)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f jerky prepared with various spic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89-497 

  17. Lee HJ, Luo J, Choi JY, Moon KD (2018) Effect of thyme extract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lettuc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25: 304-310 

  18. KU JE, Han HS, Song JH (2013) The recent trend of the natural preservative used in cosmetics. Korean J Aesthet Cosmetol 11: 835-844 

  19. Premkumar P, Kannan K, Natesan M (2008) Thyme extract of Thymus vulgar L. as volatile corrosion inhibitor for mild steel in NaCl environment. Asian J Chem 20: 445-451 

  20. Simandi B, Hajdu V, Peredi K, Czukor B, Nobik-Kovacs A, Kery A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pilot-plant alcoholic and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s of thyme. Eur J Lipid Sci Technol 103: 355-358 

  21.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22. Hwang SJ, Yoon WB, Lee OH, Cha SJ, Kim DJ (2014) Radicalscavenging-linke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black chokeberry and blueberry cultivated in Korea Food Chem 146: 71-77 

  2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4. Kim KC, Kim JS (2019)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Dolwoe (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leaves tea by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J Plant Biotechnol 46: 37-44 

  25. Chae IG, Kim HJ, Yu MH, Kim HI, Lee IS (2010)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herbs in Korean marke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11-1417 

  26. Choi IY, Song YJ, Lee WH (2010)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me herbal extracts. Korean J Hort Sci Technol 28: 871-876 

  27. Kim EJ, Choi JY, Yu MR, Kim MY, Lee SH, Lee B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28. Zhoh CK, Kwon HJ, Ahn SR (2010)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to skin flora of extracts from peel of Allium cepa L. Korean J Aesthet Cosmetol 8: 49-58 

  29. Kwon YJ, Noh JE, Lee JE, Lee SH, Choi YH, Kwon JH (2005) Prediction of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in microwave-assisted process for antioxidant-related components from Thymus quinquecostatus. Korean J Food Preserv 12: 344-349 

  30. Kim IS, Yang MR, Lee OH, Kang SN (2011)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various spices. Int J Mol Sci 12: 4120-4131 

  31.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