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매립지 침출수로 오염된 지하수의 세균 군집 분석
Analysis of Bacterials Community Structure in Leadchate-Contaminated Groundwater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4 no.2, 2006년, pp.166 - 173  

김재수 (이화여자대학교 환경학과) ,  김지영 (이화여자대학교 환경학과) ,  구소연 (이화여자대학교 환경학과) ,  고경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환경학과) ,  조경숙 (이화여자대학교 환경학과) ,  고동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매립지 침출수로 오염된 지하수에서 수지화학적 분석결과와 미생물 군집구조 사이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5개의 시료, 즉 침출수(KSG1-12), 처리수(KSG1-16), 두 개의 오염 지하수(KSG1-07과 KSG1-08), 비오염 지하수(KSG1-13)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각 시료의 pH는 순서대로 8.83, 8.04, 6.87, 6.87, 6.53이였으며, 산화환원전위(Eh)는 각각 108, 202, 47, 200, 154 mV 이였고, 전기전도도(EC)는 3710, 894, 1223, 559, 169.9 $\mu$S/cm이였으며, 부유물질(SS)의 농도는 각각 86.45, 13.74, 4.18, 0.24, 11.91 mg/L이었다. KSG1-12 시료의 음이온 농도가 전체적으로 높았는데, 특히 염소이온($Cl^-$)와 중탄산염 ($HCO_3^-$)이 높았다. 기타 전자수용체와 관련 있는 이온들의 농도에서, 철(Fe), 망간(Mn), 황산염($SO_4^{2-}$)은 KSG01-08보다 KSG1-07에서 더 높았고 질산염은 반대로 나타났다. DGGE fingerprint 분석을 통한 유사도 비교는 KSG1-13과 KSG1-16이 57.2%로 가장 높았는데, 둘 다 오염도가 낮거나 오염이 전혀 없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편, KSG1-08은 KSG1-13과 25.8% 그리고 KSG1-12와 27.6%의 유사성을 나타냈는데 이는 오염도의 차이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각 시료 별 우점종들의 가장 많이 분포된 계통발생학적 집단을 보면 KSG1-12는 분석된 클론 중 55.6%가 $\alpha$-Proteobacteria에 속하였고, KSG1-16은 50.0%가 $\gamma$-Proteobacteria, KSG1-07은 66.7%가 $\beta$-Proteobacteria, KSG1-08은 54.5%가 $\gamma$-proteobacteria, KSG1-13은 36.4%가 $\beta$-Proteobacteria에 속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매립지 침출수가 지하수를 따라 흐르면서 미생물 군집구조가 바뀌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오염물질의 농도변화, 이용 가능한 전자수용체, 및 기타 여러 환경요인들의 차이에 의한 것임을 추측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ydrogeochemistry an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groundwater contaminated with landfill leachate. We collected and analyzed samples from 5 sites such as leachate (KSG1-12), treated leachate (KSG1-16), two contaminated ground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관측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21]. 연구는 농촌지역의한 생활폐기물 매립장으로부터 오염된 지하수의 수지화학(hydrogeochemistry)과 미생물 군집 구조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즉, 오염 지하수의 물리화학적 분석은 오염의 정도와 주요 산화환원반응을 파악 하기 위 해 수행되 었고, 분자생물학적 기법 인 DGG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는 미생물 군집구조를 분석하고 대략적인 미생물군을 파악하기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매립지 침출수로 오염된 지하수에서 수지 화학적 분석결과와 미생물 군집구조 사이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5개의 시료, 즉 침출수(KSG1-12), 처리수(KSG1-16), 두 개의 오염 지하수(KSG1-07과 KSG1-08), 비오염 지하수(KSG1-13)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eson, D. A., M. S. Boguski, O. J. Lipman, J. Ostell, B. F. Ouellet, B. A. Rapp, and D. L. Wheeler. 1999. GenBank. Nucl. Acids Res. 27: 12-17 

  2. Amann, R. J., W. Ludwig, and K. -H. Schleifer. 1995. Phylogenetic identification and in situ detection of individual microbial cells without cultivation. Microbial. Rev. 59: 143-169 

  3. An, Y. J., Y. H. Joo, J. Y. Hong, H. W. Ryu, and K. S. Cho. 2004. Microbial characterization of toluene-degrading denitrifYing consortia obtained from terrestrial and marine ecosystems. Appl. Microbial. Biotechnol. 65: 611-619 

  4. Ameth, J.-D., G. Milde, H. Kemdorff, and R. Schleyer. 1989. Waste deposit influences on groundwater quality as a tool for waste type and site selection for final storage quality, pp. 399-424. In P. Bacci (ed.), The Landfill vol. 20, Springer, Berlin 

  5. Bjerg, P.L., K. Rugge, J. K. Pedersen, and T. H. Christensen. 1995. Distribution of redox sensitive groundwater quality parameters downgradient of a landfill (Grindsted, Denmark). Environ. Sci. Technol. 29: 1387-1394 

  6. Christensen, T. H., P. Kjeldsen, P. L. Bjerg, D. L. Jensen, J. B. Christensen, A. Baun, H. -J. Albrechtsen, and G. Heron. 2001. Biochemistry of landfill leachate plumes. Appl. Geochem. 16: 695-718 

  7. EPA. 2004. In-situ groundwater bioremediation, pp. 1-38. In EPA (ed.), How to Evaluate Alternative Cleanup Technologies of Underground Storage Tank Sites: A Guide for Corrective Action Plan Reviewers, (EPA 51O-R-04-002) 

  8. Eriksson, S., T. Ankner, K. Abrahamsson, and L. Hallbeck. 2005. Propylphenols are metabolites in the anaerobic biodegradation of propylbenzene under iron-reducing conditions. Biodegradation 16: 253-263 

  9. Kalmbach, S., W. Manz, J. Wecke, and U. Szewzyk. 1999. Aquabacterium gen. nov., with description of Aquabacterium citratiphilum sp. nov., Aquabacterium parvum sp. novo and Aquabacterium commune sp. nov., three in situ dominant bacterial species from the Berlin drinking water system. Int. J. Sys. Bacterial. 49: 769-777 

  10. Kimmel, G.E. and O. C. Braids. 1980. Leachate plumes in groundwater from Babylon and Islip Landfills, Long Island, New York. Geological Survey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1085), Washington, D.C., US 

  11. Knittel, K., A. Boetius, A. L. H. Eilers, K. Lochte, and O. P. P. Linke. 2003. Activity,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sulfate reducers and other bacteria in sediments above gas hydrate (Cascadia Margin, Oregon). Geomicrobiol. J. 20: 269-294 

  12. Kohler, H.P.E. 1999. Sphingomonas herbicilovorans MH: a versatile phenoxyalkanoic acid herbicide degrader. J. Ind Microbial. Biotechnol. 23: 336-340 

  13. Lovely, D.R. 1993. Dissimilatory metal reduction. Ann. Rev. Microbial. 47: 263-290 

  14. Lyngkilde, J. and T. H. Christensen. 1992. Redox zones of a landfill leachate pollution plume (Vejen, Denmark). J. Contam. Hydrol. 10: 273-289 

  15. Mannisto, M. K., M. A. Tiirola, and J. A. Puhakka. 2001. Degradation of 2,3,4,6-tetrachlorophenol at low temperature and low dioxygen concentrations by phylogenetically different groundwater and bioreactor bacteria. Biodegradation 12: 291-301 

  16. Muyzer, G, E. C. De Waal, and A. G. Uitterlinden. 1993. Profiling of complex microbial populations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amplified genes coding for 16S rRNA. Appl. Environ. Microbial. 59: 695-700 

  17. Nealson, K.H. and D. Saffarini. 1994. Iron and manganese in anaerobic respiration: environmental significance, physiology, and regulation. Ann. Rev. Microbiol. 48: 311-343 

  18. Neefs J. M., Y. Van de Peer, L. Hendriks, and R. De Wachter. 1990. Compilation of small ribosomal subunit RNA sequences. Nucl. Acids Res. 18: 2237-2317 

  19. Nordin, K. 2004. 4-chlorophenol biodegradation by Arthrobacter chlorophenolicus A6. Dotoral Thesis, Stockholm University, Stockholm, Sweden 

  20. Philippot, L. 2005. Tracking nitrate reducers and denitrifiers in the environment. Biochem. Soc. Trans. 33: 200-204 

  21. Roling, W. F. M., B. M. Van Breukelen, M. Braster, and H. W. Van Verseveld. 2000. Linking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to pollution: Biolog-substrate utilization in and near a landfill leachate plume. Wat. Sci. Technol. 41: 47-53 

  22. Stumm, W. and J. J. Morgan. 1996. Aquatic Chemistry. 3rd ed. Wiley InterScience, Chichester, England 

  23. Tiirola, M., M. K. Mannisto, J. A. Puhakka, and M. S. Kulomaa. 200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osphingobiumsp. strain MTl, a dominant polychlorophenoldegrading strain in a groundwater bioremediation system. Appl. Environ. Microbiol. 68: 173-1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