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 장애인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veloping the Ubiquitous Library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ccessability of the Blind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37 no.2, 2006년, pp.273 - 290  

배경재 (LG상남도서관) ,  곽승진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화 시대에 오히려 시각장애인의 정보격차 현상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LG상남도서관은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향상을 위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술이 적용된 휴대폰을 활용하여 도서관 접속과정을 자동화하고 언제 어디서나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도서관을 구축하였다. 이용자는 웹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전화도서관 서비스의 세 가지 접근경로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디지털 토킹북을 들을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구축을 위해서는 이용자와의 접점을 다양화할 수 있는 여러 수단을 고려해야 하며, 동시에 이용자의 정보 이용 상황에 대한 심층적인 사용성 평가 및 분석이 병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 digital divide has gotten worse in the information age. So LG Sangnam library developed the ubiquitous library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ccessability of the blind. It utilizes a mobile phone applied wi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automates a user's identific...

주제어

참고문헌 (15)

  1. 강숙희. '시각장애인 정보서비스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제32권, 제4호(2001. 12), pp.229-256 

  2. 고성순, 강혜영. '유비쿼터스 도서관 시대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5, 3), pp.127-145 

  3. 김용운, 이준섭, 유상근, 김형준. '모바일 RFID 서비스 네트워크 구조 및 표준화 현황.' TTA 저널, 제102호(2005. 11), pp.44-53 

  4. 노동조.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기반한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과제와 전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제15권, 제2호(2004, 12), pp.219-240 

  5. 이응봉. 'Ubiquitous Computing & Digital Library.' 제6회 디지털도서관컨퍼런스 논문집(2003년 12월 9 일, 한국과학기술회관) 

  6. 정부만. '모바일 RFID 서비스 활성화 전략.' TTA 저널, 제102호(2005, 11), pp.32-37 

  7. Charles B. Lowry. 'Let's Call It the 'Ubiquitous Library' Instead.' Portal, Vol.5, NO.3(2005), pp.293-296 

  8. Charles B. Lowry. The Ubiquitous Library: University of Maryland Libraries in the Next Five Years. Ubiquitous Library Report. UM Libraries, 2003 

  9. Hisao NAKAJIMA. 'Marketing Strategy in the Era of Ubiquitous Networks.' NRI Papers, No.44(March 2002) 

  10. Morgan, Greg. 'A word in your ear: library services for print disabled readers in the digital age.' Electronic library, Vol.21, NO.3(2003), pp.234-239 

  11. Oliver Obst. 'Services for Handheld Computer: First steps towards the Mobile Library.' 9th Conference on International Congress on Medical Librarianship(September 20-23, 2005) 

  12. Taylor Reynolds, Tim Kelly, and Jin-Kyu Jeong. UBIQUITOUS NETWORK SOCIETIES: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ITU Document: UNS/08, 2005. [cited 2006.5.22] 

  13. Toshitada NAGUMO. 'Innovative Business Models in the Era of Ubiquitous Networks in the Era of Ubiquitous Networks.' NRI Papers, No.49(June 2002) 

  14.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1.0, W3C Recommendation 5-May-1999 [cited 2006. 5.22] 

  15. Product Guide for Wireless Customers who are Blind or Visually Impaired [cited 2006. 5. 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