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범대학 지구과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Investigation of the Earth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ir Improvement Plan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7 no.4, 2006년, pp.390 - 400  

김종희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  이기영 (한성과학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의 현행 지구과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을 크게 교직 이론, 교육 실습, 교과 교육학, 교과 내용학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교직이론의 경우는 교육학 이론 학습에 치중하고 있어 실제성이 떨어지며, 교과 교육학 선수 학습 교과로서 이수 시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과목간 연계성 유지를 위해 교직 이론을 교과 교육학 이전에 이수하도록 하며, 되도록이면 현장성이 강한 교직 이론 과목을 이수하도록 권장하여야 할 것이다. 교육 실습의 경우는 교육실습 기간이 외국에 비해 짧으며, 신규 교사를 위한 별도의 업무 외 연수과정이 없고 인턴제도나 직무 연수 프로그램이 미흡한 현재의 교사 양성 교육과정 체제에서는 교육 실습이 이런 역할을 대신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학교 시스템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 교육 실습 기간을 최소$3{\sim}6$개월 이상으로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 교과 교육학의 경우는 우선 교과 내용학에 비해 할당된 과목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그러므로 교과 교육학 과목의 양적인 증가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지구과학 교과 교육 전공 교수의 확보가 필요하다. 교과 내용학의 경우, 다루는 내용이 중등학교 교육 과정과 동떨어진 면이 있으며 대학별로 개설 강좌의 영역별비율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과 교육학 강좌와 교과 내용학 강좌를 연계시켜 개설하고, 각 영역별 기본 이수 학점을 적정 비율로 할당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충분한 해상도로 인한 경우가 3예(12%), 이전 바륨 검사에 의한 잔존 바륨의 beam harding artifact로 복막파종을 놓친 경우가 2예(8%), 경구 조영제가 미충만된 위장관과 인접 전이성 결절을 오인한 경우가 1예(4%)였다. 판독인자로는 인접 장기와의 지방면 소실을 간과한 경우가 10예(40%), 경미한 복막비 후나 파종을 간과한 경우가 6예(24%), 장간막의 림프절 종대를 간과한 경우가 3예(12%)였다. 결론: 복강 내 지방 조직의 결핍, 불충분한 해상도의 CT, 판독 과정에서 경미한 복막파종이나 인접 장기와의 지방면 소실의 간과 때문에 CT에 의한 수술 전 병기결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그 중 판독인자에 의한 것이 가장 많은 원인이 되므로 적절한 영상 관리와 함께 세심한 판독이 매우 중요하겠다. 수술적 절제의 적절한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조기 위암의 술 전 위치 결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Waf1/Cip1}(+)/p27^{kip1}(+)$인 경우에 T1-2 (87.5%)가 많았고 $p21^{Waf1/Cip1}(-)/p27^{kip1}(-)$인 경우에는 T3-4(58.1%)가 많았다(P<0.05). 또한 Lauren 분류에서는 $p21^{Waf1/Cip1}(+)/p27^{kip1}$인 경우가 장형 (100%)에서만 나타났으며(P<0.05), $p21^{Waf1/Cip1}(-)/p27^{kip1}(-)$인 경우는 미만형인 경우(87.0%)가 장형(54.9%)의 경우보다 많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urrent earth scien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the four fields of teaching profession theory: student-teacher practice, subject lesson education, and subject content educ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 지구과학 내용학분야의 학과와 차별화된 사범대학의 특성 및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과교육 전공 교수를 충분히 확보하여 지구과학 교과교육학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적인 관건이라고 생각한다. 연구에서는 자료 확보의 어려움 때문에 지구과학 교과교육학과목 구성과 운영 방향만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보다정확한 현황 파악을 위해서는 지구과학 교과교육 전공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교과 교육학 과목의 운영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교수요목 (syllabus)이나 직접적인 수업 관찰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로서 능력 있는 지구과학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정립을 위해 현행 지구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크게 교직이론, 교육실습,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교사양성을 위한 사범대학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있는 11개의 국립 또는 사립대학의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의 지구과학교육전공 또는 지구과학교육과를 대상으로 하여 교과과정 요람의 내용과 홈페이지에 탑재된교육과정을 조사하고, 미비한 부분은 행정 조교와의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보다 정확한 자료의 수집을 위해서는 각 대학의 관련 학과에서 개설하여 운영하는 교과목의 강의 계획서와 실제강의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여건상 관련 문건 조사와 인터뷰로 한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유능한 지구과학교사 양^을 위한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정을 정립하고자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지구과학 교사 양성을 위한 국. 사립 사범대학의 지구과학 교육과정을 탐색하여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Table 2는 이를 바탕으로 한 전국 국 . 사립대학의 지구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이지구과학 2급 정교사 자격증을 받기 위해 이수하고있는 학점 수를 비교한 것이다.
  • 그러나 지구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과 관련된 연구는아직 이루어지지 못한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유능한 지구과학교사 양^을 위한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정을 정립하고자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지구과학 교사 양성을 위한 국. 사립 사범대학의 지구과학 교육과정을 탐색하여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교육개혁위원회, 1998, 21세기 한국교육의 발전 지표. 교육개혁위원회, 서울, 187 p 

  2. 교육인적자원부, 2005,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인적자원부 교원양성과, 212 p 

  3. 김동영, 2006,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 진단 프로그램 연구: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9 p 

  4. 김상달, 1991, 지구과학 수업에 있어서 개별화 방략의 개발과 그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4 p 

  5. 김혜숙, 2003, 교원 '전문성'과 '질'의 개념 및 개선 전략 탐색. 교육학연구, 41(2), 93-114 

  6. 백성혜, 1995, 사범대학 화학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제언. 화학교육, 22(4), 198-206 

  7. 손충기, 2004, 사범대학 교육과정 편성.운영방법 개발을 위한 교사의 요구 분석 연구. 교육과정연구, 22(4), 251- 271 

  8. 이규호, 김성하, 1996, 생물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4(1), 87-99 

  9. 이창진, 2003, 지구과학의 정체성과 학문 분류. 한국지구과 학학회지, 24(7), 650-656 

  10. 이학동, 1989, 중학교 과학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9(1), 1-17 

  11. 이화국, 1985, 화학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과학교육연구논총, 10(1), 63-76 

  12. 이화국, 1992, 사범대학 과학교육계학과의 교과교육 평가 요목에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1-16 

  13. 이화국, 김창식, 1990, 과학교육 모듈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2), 25-37 

  14. 정진우, 1992, 교과교육학의 한 영역으로서 지구과학교육학의 이론과 실제. 한국지구과학회지, 13(1), 84-93 

  15. 정진우, 우종옥, 김찬종, 임청환, 이연우, 소원주, 정남식, 이경훈, 이항로, 홍성일, 윤선진, 정철, 박진홍, 1999, 지구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서울, 422 p 

  16. 조희형, 이문원, 이칭찬, 1985, 과학교육과의 교육과정과 운 영에 대한 모델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99- 112 

  17. 홍영란, 2003, 2003년도 평가를 통해서 본 사범대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7 p 

  18. Lee, H., 2002, A case study of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Earth systems approach.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314 p 

  19. Magnusson, S., Krajcik, J., and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CK. In Gess-Newsome J., and Lederman N.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95-132 

  20. Shulman, L.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