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 및 균형성에 대한 예비 교사 및 현직 교사의 인식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Coherence and Balance of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37 no.1, 2013년, pp.23 - 39  

이기영 (강원대학교)

초록

자신이 경험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은 과학 교사가 어떻게 교육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념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전제 하에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정합성과 균형성에 초점을 맞춰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소재 사범대학의 과학 교사 프로그램을 이수한 20명의 예비 교사와 39명의 현직 교사가 참여 하였으며, 선택형 및 개방형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에 대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는 '보통' 정도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 계획 및 준비' 범주에서 가장 정합성이 높은 것으로, '직업적 책무' 범주에서 가장 정합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4개 범주 모두에서 예비 교사에 비해 현직 교사가 프로그램의 정합성을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균형성에 대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는 모두 이론적 요소에 비해 실천적 요소가 부족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현행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이 임용 고사를 위한 교육과정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프로그램의 4개 영역(교과내용학, 교과교육학, 일반교육학, 교생실습)이 학교 현장과 보다 더 연계되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다 정합적이고 균형적인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위한 대안적 방법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ir preparation program can help in conceptualizing how science teachers could be prepared. Based on this premi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their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with a focus on the cohere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c5: 과학교육학은 너무 이론적인 부분 중심으로만 다루어져서 크게 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느끼지 못하고 있음. 변화하는 학교 현장에 발맞추어 이론과 더불어 현장에서 실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내용으로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램.
  • 이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선의 시사점을 찾기 위하여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자신이 경험한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정합성 및 균형성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4개 영역별로 긍정적 및 부정적 면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구성 하는 각 영역의 긍정적인 점과 부정적인 점에 대한 교사들의 심층적인 생각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방형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 설문지는 Grossman et al.
  • 이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4개 영역에 대한 교사들의 심층적인 생각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자유 롭게 응답하도록 하였다. <표 11>은 4개 프로그램 영역에 대한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들의 응답을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으로 구분하여 정리한 것이다.
  • 그러므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특정 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경험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survey) 방법을 사용한다(DarlingHammond, 2006).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정합성과 균형성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은 과학 교사가 어떻게 준비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개념화(conceptualization)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제 하에 이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여,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Ib3: 사범대학 시절이나 교사로 지내면서 가장 흥미가 있고 관심이 높았던 부분은 교과내용학이었지만, 석사과정에 입문하면서 현직 교사로서 중요한 건 교과교육학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실제 공부를 하면서 그동안 학생들에게 효율적이고 정확한 교육의 방법의 아니라 교과서에 실린 내용만을 전달하기에 급급했다는 것을 알았고, 교과교육학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을 느꼈습니다.
  • Ic2: 과학교육론과 방법론 수업이 수업 상황에 도움이 되었음. 일반 교과와는 많은 차별성을 가진 것이 과학교과라 수업의 형태와 방법이 달라야 하는데 일반 교육학에서는 배울 수 없었던 과학만의 특성을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기 때문
  • Ic2: 내용을 사범대학 수준에 맞추어 줄이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준거하여 선별한후 깊이 있는 이해와 오개념 없는 바른 이해를 유도해 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일반 수준의 교과 내용학을 좀 더 확대 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 Ic5: 과학교육학은 너무 이론적인 부분 중심으로만 다루어져서 크게 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느끼지 못하고 있음. 변화하는 학교 현장에 발맞추어 이론과 더불어 현장에서 실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내용으로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램.
  • Ip1: 교육학 과목은 과학교육학과 중복되는 부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과학교육학 영역과 중복이 되는 교수학습론이나 교육철학과 같은 부분은 내용이 축소되었 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 Pb1: 수업을 한 후 담당 선생님께서 꼼꼼하고 피드백 해주셔서 좋았다. 잘못된 점을 바로 고칠 수 있고, 나도 의견을 제시해서 수업을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시킬수 있었다.
  • Pb2: 현재 사범대학에서 배우는 과학내용학과목들은 너무 전문적인 내용이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물론 과학 교사라면 그정도 수준의 전문 지식이 필수라고 할수 있겠지만 글쎄요.
  • Pc1: 과학교육학 관련 과목들을 수강함으로써 학교에서 수업이 매끄러웠던 것 같다. 특히 과학 지도법은 도움이 많이 되었다.
  • Pe3: 학교 수업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교육학 과목은 별로 없었던 것 같다. 교육학 과목은 그냥 학교 수업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임용고사라는 시험 때문에 배우는 것 같은 느낌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학교 교육에 있어 교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과학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과학 교사의 질 (teacher quality) 문제이다. 미국과학교사협회 (NATA)가 미국 전역에 분포한 600명의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70%의 학교구 (school district)에서 우수한 과학 교사를 채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48%가 이런 어려움이 매년 증가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교사의 지식과 기능은 어떻게 습득되는가? 학생들의 학습은 교사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 되며, 교사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는지는 교사가지닌 지식과 기능에 달려 있다(Feiman-Nemser, 2001). 이러한 교사의 지식과 기능은 우선적으로 교사 교육 과정에서 습득되며, 교사 양성 프로그램은 학생 성취의 강력한 예측자(predictor)로서의 역할을 한다(Darling-Hammond, 2000).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서 교사 지식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포함되는 과목은? , 1999). 과학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경우, GPK는 전공 교과에 관계없이 교육학 관련 기초 이론 지식 습득을 위한 것으로 교육학 개론, 교육방법 및 공학, 특수 아동의 이해, 교직실무 과목이 포함된다. SMK는 과학 교과의 내용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것으로 양자역학, 유기화학, 생태학, 지질학 과목이 여기에 해당된다. PCK는 과학 교과를 가르치는 방법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것으로 과학교육론, 물리지도법및 교재연구, 화학실험연구 과목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CK는 대학교에서 배운 이론을 실제 학교에서 적용해보는 것과 관련된 것으로 교생실습 과목이 해당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