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방의학의 발전 방향
Preventive Medicine in Times of a Rapid Epidemiologic Transition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39 no.1, 2006년, pp.2 - 6  

박정한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er since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in 1947, members of the Society had made remarkable contributions to the public health development and national health promotion. They had played key roles in establishing national health system, improving environmental hygiene,...

주제어

참고문헌 (19)

  1. 유승흠. 예방의학의 역사적 전개. '97대한예방의학회 창립50주년기념 추계학술대회 연제집;1997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Population Statistics (birth, death). Available from: http://kosis.nso.go.kr, 2005.4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Yearbook of Health and Welfare Statistics, 2001 

  4. Kim JS. Changes and prospect of causes of death in Korea. Korean J Epidemiol 1989: 2: 155-174 (Korean) 

  5.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ual Mortality Statistics Report. 1991, 1997, 2001, 2004 (Korean) 

  6. 대한예방의학회. 한국보건의료문제 진단과 처방, 한국의학원, 1999 

  7. Park JH. Strategies for public health service development in the times of local autonomy. Korean J Health Policy & Admin 2002; 12(3): 1-22 (Korean) 

  8. American Board of Preventive Medicine. Definition and Content of Peventive Medicine. Available from: http://www.abprevmed.org 

  9. Yang JM. Present and future of preventive medicine in medical education. Koren J Prev Med 1991; 24(2): 146-155 (Korean) 

  10. Meng KH. The education of preventive medicine in medical college in provision for 21st century. Korena J Prev Med 1994; 27(4): 653-658 (Korean) 

  11. 안윤옥. 예방의학 전공의 수련교육의 방향. 제46차 대한예방의학회 추계 학술대회 연제집, 1994 

  12. Shin YS. The role of preventive medicine in Korea. Korean J Prev Med 1993; 26(4): 534-540 (Korean) 

  13. 맹광호. 한국 예방의학의 미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120주년 기념 세미나 '한국예방의학 120년과 연세의 역할', 연세대학교 알렌관, 2005 

  14. Omran AR. The epidemiologic transition; a theory of the epidemiology of population change. Milbank Mem Fund Quart 1971; 49: 509-538 

  15. Mackenbach JP. The epidemiologic transition theor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94; 48: 329-332 

  16. 조경희 외. 보건의료 체계의 방향-가정의학의 역할; 의학문화사, 2004 

  17.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진단검사의학 전문의 정체성 조사 및 역할 증대방안, 의협신문, 2006 

  18. Matzen RN, Lang RS. Clinical Preventive Medicine. Mosby, St Louis; 1993. p.4 

  19. American College of Preventive Medicine. Clinical Preventive Medicine. Available from: http://www.acpm.or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