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래진료 민감질환 유질환자 중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의료이용률 차이
Differences in Medical Care Utilization Rates of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with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39 no.5, 2006년, pp.411 - 418  

은상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홍지영 (국방부 보건정책팀) ,  이진용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이진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김용익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신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  김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disabled have worse access to primary care than the non-disabled. Methods: We used the National Disability Registry data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for the calendar year 2003, and we analyzed 807,380 disabled persons wh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입원 의료이용에 대한 영향에 차이가 있다면, 이 차이가 낮은 건강수준과 같은 장애 자체의 특성 때문인지 혹은 외래 의료이용률이 낮기 때문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외래 의료이용률이 입원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결과변수로 입원 의료이용 유무, 설명변수로 외래 의료이용률, 혼란변수로 성별, 연령, 거주지역, 월평균 건강보험료, 장애 유무 또는 장애중증도를 포함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 성별, 연령, 거주지역, 소득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장애 유무 및 장애 중등도가 외래 및 입원 의료이용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지 표질환별로 분석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결과변수로 외래 및 입원 의료이용 유무, 설명변수로 장애 유무 및 장애 중등도, 혼란변수로 성별, 연령, 거주지역, 월평균 건강보험 료를 포함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 이 연구는 적절한 외래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입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질환인 ACSC로 인한외래 및 입원 의료이용률 분석을 통하여 장애 인과 비 장애인 간 일차의료 접근성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낮은 일차 의료 접근성으로 인해 예방가능한 입원을 더 많이 하고 있었으며, 중증 장애인은 일차의료를 이용하는데 있어 보다 제한이 많다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외 래진료 민감질환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ACSCs)의 의료이용률을 분석 하고자 하였다. ACSC 는 Billings 등[18]이 개발한 개념으로 "적시에 효과적으로 외래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질병 발생을 예방하거나 조기에 질병을 통제함으로써 또는 만성질환을 관리함으로써 입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질환”을 의미한다.
  • 그런데, ACSC 유병률이 높은 집단이 ACSC로 인한 의료이용을 더 많이 할 것이므로 [19], ACSC의 외래 및 입원 의료이용률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유병률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ACSC 유질환자의 의료이용률을 산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각 지표질환별 유병률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적어도 한번 이상 해당 질환으로 의료이용을 한 경우를 유질환자로 간주하는 치료유병률 개념을 사용하였다.
  • ACSC로 인한 입원율이 높은 인구집단은 부적절한 일차의료 제공 또는 이에 대한 의료이용 장벽이 존재하여 예방 가능한 입원 (preventable hospitalization)0]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18-24], 이 에 따라, 이 연구는 ACSC 유질환자 중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 외래 및 입원 의료이용률의 차이, 장애 유무가 외래 및 입원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외래 의료이용률과 입 원 사이 의 관련성 을 분석 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 중 중증은 이동성 장애가 있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외래 의료이용률은 0~1회, 2회 이상으로 구분한유질환자 1 인당 외래이용 건수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utton JP, Dejong G. Managed care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framing the issues. Arch Phys Med Rehabil 1998; 79(10): 1312-1316 

  2. Iezzoni LI, Davis RB, Soukup J, O'Day B. Quality dimensions that most concern people with physical and sensory disabilities. Arch Intern Med 2003; 163(17): 2085-2092 

  3. Lawthers AG, Pransky GS, Peterson LE, Himmelstein JH. Rethinking quality in the context of persons with disability. Int J Qual Health Care 2003; 15(4): 287-299 

  4. 변용찬, 서동우, 이선우, 김성희, 홍주희, 권선진, 계훈방. 2000년도 장애인 살태조사. 보건복지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1 

  5. 이범석, 김용익, 박기동, 김완호. 장애인 보건의료서비스 체계 구축 방안 연구. 국립재활원.2003 

  6. 김윤, 이진용, 이범석, 김완호, 이진석, 문남주, 이광선, 안중호, 심현섭, 박종연, 김성옥, 이지전, 이정은. 장애인의 요양급여 이용실태 분석 및 의료보장 강화방안 연구. 국만 건강보험공단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05 

  7. Dejong G, Palsbo SE, Beatty PW, Jones GC, Kroll T, Neri MT. The organization and financing of health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Milhank Q 2002; 80(2): 261-301 

  8. Beatty PW, Hagglund KJ, Neri MT, Dhont KR, Clark MJ, Hilton SA.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among people with chronic or disabling conditions: Patterns and predictors. Arch Phys Med Rehabil 2003; 84(10): 1417-1425 

  9. Havercamp SM, Scandlin D, Roth M. Health disparities amo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dults with other disabilities, and adults not reporting disability in North Carolina. Public Health Rep 2004; 119(4): 418-426 

  10. Iezzoni LI, McCarthy EP, Davis RB, Siebens H. Mobility impairments and use of screening and preventive services. Am J Public Health 2000; 90(6): 955-961 

  11. Moroney JT, Tseng CL, Paik MC, Mohr JP, Desmond DW. Treatment for the secondary prevention of stroke in older patients: The influence of dementia status. J Am Geriatr Soc 1999; 47(7): 824-829 

  12. Dejong G. Primary car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 overview of the problem Am J Phys Med Rehabil 1997; 76(3): S2-S8 

  13. Thomas DC. Primary c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Mt Sinai J Med 1999; 66(3): 188-191 

  14. Kinne S, Patrick DL, Doyle DL. Prevalence of secondary conditions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Am J Public Health 2004; 94(3): 443-445 

  15. Culler SD, Parchman ML, Przybylski M. Factors related to potentially preventable hospitalizations among the elderly. Med Care 1998;36(6):804-817 

  16. Kim KY, Lee YS, Park KS, Son JH, Kam S, Chun BY, Park JY, Ye MH. On the determinants of health care utiliza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Korean J Prev Med 1998; 31(2): 323-334 (Korean) 

  17. Ye MH, Choi BY, Kam S, Lee HB, Sim GT, Lee SS. Health care utilization and its determinants of the disabled in Taegu city. J Korean Assoc Health 1998; 1(1): 87-106 (Korean) 

  18. Billings J, Zeitel L, Lukomnik J, Carey TS, Blank AE, Newman L. Impa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hospital use in New York city. Health Aff (Millwood) 1993; 12(1): 162-173 

  19. Bindman AB, Grumbach K, Osmond D, Komaromy M, Vranizan K, Lurie N, Billings J, Stewart A. Preventable hospitalizations and access to health care. JAMA 1995; 274(4): 305-311 

  20. Falik M, Needleman J, Wells BL, Korb J. Ambulatory care sensitive hospitalizations and emergency visits: experiences of medicaid patients using federally qualified health centers. Med Care 2001; 39(6): 551-561 

  21. Ricketts TC, Randolph R, Howard HA, Pathman D, Carey T. Hospitalization rates as indicators of access to primary care. Health Place 2004; 7(1): 27-38 

  22. Wolff JL, Starfield B, Anderson G. Prevalence, expenditures, and complications of multiple chronic conditions in the elderly. Arch Intern Med 2002; 162(20): 2269-2276 

  23. Caminal J, Starfield B, Sanchez E, Casanova C, Morales M. The role of primary care in preventing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Eur J Public Health 2004; 14(3): 246-251 

  24. Kim YK, Sung JH The empirical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study & its potential health insurance applicability in Korea. Korean J Health Policy & Adm 2005; 15(3): 79-93 (Korean) 

  25.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Guide to Prevention Quality Indicator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4 

  26. Moon YR, Kim CY, Kim MK. Individual variations in the code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similar outpatient conditions among general practitioners. Korean J Health Policy & Adm 1992; 2(1): 66-79 (Korean) 

  27. Shin E, Park YM, Park YG, Kim BS, Park K, Meng KH. Estimation of disease code accuracy of national medical insurance data and the related factors. Korean J Prev Med 1998; 31(3): 471-480 (Korean) 

  28. Park JK, Kim KS, Kim CB, Lee TY, Lee KS, Lee DH, Lee S, Jee SH, Suh I, Koh KW, Ryu SY, Park KH, Park W, Wang S, Lee H, Chae Y, Hong H, Suh JS. The accuracy of ICD codes for cerebrovascular diseases in medical insurance claims. Korean J Prev Med 2000; 33(1): 76-82 (Korean) 

  29. New Zealand Health Information Services. Forward and backward mapping tables between ICD-9-CM-A and ICD-10-AM. 2000 [accessed 2005 Sep 11] Available from: URL: http://www.nzhis.govt.nz/documentation/mapping/mappingfiles.html 

  30. Tolonen H, Keil U, Ferrario M, Evans A. Prevalence, awareness and treatment of hypercholesterolaemia in 32 populations: results from the WHO MONICA project. Int J Epidemiol 2005; 34(1): 181-192 

  31. Watson DE, Heppner P, Roos NP, Reid RJ, Katz A. Population-based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and patterns of delivery among family physicians, 1992 to 2001. Can J Psychiatry 2005; 50(7): 398-406 

  32. Personal communication with Dr. Wan-Ho Kim,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National Rehabilitation Hospital, 2005 

  33. Bae SS. On determinants of physician utilization. Korean J Prev Med 1985; 18(1): 13-24 (Korean) 

  34. Flores G, Abreu M, Tomany-Korman S, Meurer J. Keeping children with asthma out of hospitals: parents' and physicians' perspectives on how pediatric asthma hospitalizations can be prevented. Pediatrics 2005; 116(4): 957-965 

  35. Steiner JF, Braun PA, Melinkovich P, Glazner JE, Chandramouli V, LeBaron CW, Davidson AJ. Primary-care visits and hospitalizations for ambulatory-care-sensitive conditions in an inner-city health care system. Ambul Pediatr 2003;3(6):324-328 

  36. Long SK, Coughlin TA, Kendall SJ. Access to care among disabled adults on medicaid. Health Care Finane Rev 2002; 23(4): 159-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