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주 왕경지구 금동풍탁(金銅風鐸)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of Poong-Tag(Wind Bell) from Winggyeong Site, Cyeongju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19, 2006년, pp.67 - 72  

정영동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실) ,  강형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  허일권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  조남철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주 왕경지역에서 출토된 금동풍탁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분석법(ICP)으로 주성분 및 미량성분 10개 원소를 분석한 결과 풍탁의 소지는 Cu와 Sn의 합금으로서 조성비는 92:4 이었다. 그외 8종(Pb, Zn, Fe, Ag, Ni, As, Sb, Co)의 미량성분은 모두 0.2% 이하로서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Cu와 Sn 광석을 고순도로 정련하여 풍탁을 제조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풍탁의 납동위원소비는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로 측정하였고, 기존의 한국, 중국 및 일본의 납광석의 산지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풍탁 제조에 사용한 원료 산지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납동위원소비에 의한 원료광석의 산지는 일치하지 않고 있어 판단이 어려워 단정적으로 기술할 수 없었다.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 놓고자 한다. 또한 풍탁의 미세조직을 관찰한 결과 일반적인 주조조직에서 볼 수 있는 dendrite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특별한 열처리 공정은 발견되지 않았다. 풍탁에 대한 이러한 일련의 과학 분석 결과는 향후 시대적, 지역적으로 풍탁의 비교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lead isotope ratio of Poong-Tag(wind bell) bell excavated from Wanggyeong site, Gyeongju have analyzed by ICP and TIMS. The analysis result of chemical composition of Poong-Tag shows that it consists of 92:4 ratio of Cu:Sn. Other 8 minor elements(Pb, Zn, Fe, Ag, Ni,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풍탁의 납동위원소비를 분석하고 산지를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납동위원소비에 의한 원료광석의 산지는 Figure 1, Figure 2 및 Figure3의 결과에서 보듯이 일치하지 않고 있어 단정적으로 기술할 수 없으므로 향후의 연구과제로 남겨 놓고자 한다.
  • 그 결과 Figure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풍탁(①)은 한국남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으나 Figure 2에서는 한국남부 영역에 서 다소 떨어져 있어 있다. 따라서 두 결과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한국남부일 가능성만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건에 대하여는 앞으로 방연석의 납동위원소비 데이터의 축적이 이루어지면 데이터를 다시 비교해서 그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두 결과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므로 한국남부일 가능성만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건에 대하여는 앞으로 방연석의 납동위원소비 데이터의 축적이 이루어지면 데이터를 다시 비교해서 그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주 왕경지구 유적에서 출토된 금동풍탁의 소지금속을 대상으로 과학 분석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풍탁 표면의 도금층은 시료 채취가 어려워 분석할 수 없었다.
  • 본 연구에서는 금속제품 중 풍탁에 관심을 가지고 과학 분석을 실시코자 하였다. 풍탁은 백제, 통일신라, 고려 및 조선조의 각 시대를 통하여 석탑의 4개 모서리에 작은 구멍을 뚫고 매달은 종(鐘) 형태의 장식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실물은 그리 많지 않다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