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복합레진의 표면 연마에 의한 표면 거칠기가 표면 색상과 투명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Charisma (Heraeus Kulzer GmbH, Domagen, Germany)의 B1과 A3, Esthet-X (DENTSPLY Caulk, Milford, USA)의 B1과 B3 레진으로 거칠기에 따른 표면 색상을 평가하기위한 직경 8 mm, 두께 5 mm의 시편을 제작하고, Sof-Lex finishing & polishing system (3M, ESPE Dental Products, St. Paul, USA)의 C, M, F 및 SF 디스크로 시편의 한쪽 면을 연마하였으며, 연마 전 Mylar strip으로 압축된 면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 거칠기에 따른 투명도의 차이를 평가하기위한 두께 1 mm의 시편을 Charisma 의 A3로 제작하여, 한쪽 면을 600, 1000. 1500 및 2000번 사포로 연마하였다. 각 시편의 연마 전과 후, 연마면의 CIE $L^{*}a^{*}b^{*}$ 값과 1 mm 시편의 백색과 흑색 배경판 상에서의 Y값을 spectrophotometer 인 Spectrolino (GretagMacbeth, Regensdorf, Switzerland)를 사용해 측정 분석하였으며, 각 시편의 연마 전과 후의 평균 표면 조도 (Ra)값을 Surface Roughness Tester SJ-301 (Mytutoyo, Tokyo, Japan)로 측정했다. $L^{*}$값은 재료와 색상에 상관없이 가장 거친 Sof-lex C 디스크로 연마한 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p < 0.05), Esthet-X B3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Ra값이 감소함에 따라 $L^{*}$값도 낮아졌다. $a^{*}$값은 표면 거칠기에 따라 특정한 변화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b^{*}$값은 Esthet-X B1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Sof-lex SF 디스크로 연마 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p < 0.05), Charisma B1과 Esthet-X B3군에서 Ra값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Contrast ratio 는 1000번과 1500번 사포로 연마한 군 간을 제외한 모든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 < 0.05), 표면 거칠기가 감소함에 따라 contrast ratio도 감소하였다 (R2 = 0.801).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n the surface color and translucency of the composite resins. Two composite resins (Esthet-X, Dentsply, Milford, USA and Charisma, Kulzer, Domagen, Germany)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urface color. Charisma was use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복합레진의 표면 연마에 의한 표면 거칠기 정도가 표면 색상과 투명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 이러한 가정 하에서 본 연구는 복합레진 표면 색상과 투명도가 복합레진의 표면 거칠기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고자 시 행하였다.

가설 설정

  • 번째는 shade guide 제작 시 표면의 높은 광택이나 낮은 Ra값을 가지고 제작된 shade guide는 실제 복합레진으로 수복된 표면에서 얻을 수 있는 표면 거칠기와 차이가 날 수 있으며, 표면 거칠기에 따른 표면 색상의 차이가 발생된다면 최상의 조건에서 시행된 shade matching이라 하더라도 오류가 발생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두 번째는 구강 내에서 칫솔질 외 다른 많은 요인에 의해 수복물 표면이 마모되어 거칠어진 경우 레진 자체의 변색 등 다른 재수복 요인을 배제하더라도 마모에 의한 색상 및 투명도 차이에 의해 재수복이 필요할 수도 있으리 라는 가설이다.
  • 첫 번째 가설은 이전의 연구 결과들과 본 연구결과를 통해 Sof-lex의 SF 디스크에 의해 얻어진 표면의 거칠기 정도라면 Mylar strip과 같은 정도의 표면 거칠기를 가진 주형에 의해 shade guide 제작 시 시각적으로 구분 가능한 색 차는 발생되지 않으리라 사료된다.
  • 본 연구는 두 가지 가설 하에서 시행되었다. 번째는 shade guide 제작 시 표면의 높은 광택이나 낮은 Ra값을 가지고 제작된 shade guide는 실제 복합레진으로 수복된 표면에서 얻을 수 있는 표면 거칠기와 차이가 날 수 있으며, 표면 거칠기에 따른 표면 색상의 차이가 발생된다면 최상의 조건에서 시행된 shade matching이라 하더라도 오류가 발생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두 번째는 구강 내에서 칫솔질 외 다른 많은 요인에 의해 수복물 표면이 마모되어 거칠어진 경우 레진 자체의 변색 등 다른 재수복 요인을 배제하더라도 마모에 의한 색상 및 투명도 차이에 의해 재수복이 필요할 수도 있으리 라는 가설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Lui JL, Low T. The surface finish of the new microfill restorative materials. J Oral Rehab 9:67-82, 1982 

  2. von Noort R, Davis LG. The surface finish of composite resin restorative materials. Br Dent J 10:360-364, 1984 

  3. Toledano M, De La Torre FJ, Osorio R. Evaluation of two polishing methods for resin composites. Am J Dent 7:328-330, 1994 

  4. Weitman RT, Eames WB. Plaque accumulation on composite surfaces after various finishing procedures. JADA 91: 101-106, 1975 

  5. Strassler HE. Polishing composite resins. J Esthet Dent 4:177-179, 1992 

  6. Bollen CM, Lambrechts P, Quirynen M. Comparison of surface roughness of oral hard materials to the threshold surface roughness for bacterial plaque reten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Dent Mater 13:258-269, 1997 

  7. Chan KC, Fuller JL, Hormati AA. The ability of foods to stain two composite resins. J Prosthet Dent 43: 542-545, 1980 

  8. 문은재, 권혁춘. Microfill, Hybrid 복합레진 연마 후 표면조도와 광반사율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보존학회지 19:513-533, 1994 

  9. 이재용, 신동훈. 전구치 겸용 혼합형 복합레진 두 가지 연마법에 따른 표면 조도. 대한치과보존학회지 128:369-377, 2003 

  10. Park SH, Noh BD, Ahn HJ, Kim HK. Celluloid stripfinished versus polished composite surface: difference in surface discoloration on microhybrid composite. J Oral Rehab 31:62-66, 2004 

  11. Wilson F, Heath JR, Watts DC. Finishing composite restorative materials. J Oral Rehab 17 :79-87, 1990 

  12. Hondrum SO, Fernandez R Jr. Contouring, finishing, and polishing class 5 restorative materials. Oper Dent 22:30-36, 1997 

  13. Chung KH. Effects of finishing and polishing procedures on the surface texture of resin composites. Dent Mater 10:325-330, 1994 

  14. Ozgunaltay G, Yazici AR, Gorucu J. Effect of finishing and polishing procedures on the surface roughness of new tooth-coloured restoratives. J Oral Rehab 30:219-224,2003 

  15. Roeder LB, Tate WH, Powers JM. Effect of finishing and polishing procedures on the surface roughness of packable composites. Oper Dent 25:534-543,2000 

  16. Yap AUJ, Lye KW, Sau CW. Surface characteristics of tooth-colored restoratives polished utilizing different polishing systems. Oper Dent 22:260-265, 1997 

  17. Setcos JC, Tarim B, Suzuki S. Surface finish produced on resin composites by new polishing systems. Quint Int 30:169-173, 1999 

  18. Bouvier D, Duprez JP, Lissac M. Comparative eveluation of polishing systems on the surface of three aesthetic materials. J Oral Rehab 24:888-894, 1997 

  19. Yap AUJ, Sau CW, Lye KW. Effect of finishing/polishing time on the surface characteristics of toothcoloured restoratives. J Oral Rehab 25:456-461, 1998 

  20. Filho HN, D'Azevedo MTFS, Nagem HD, Marsola FP. Surface roughness of composite resins after finishing and polishing. Braz Dent J 14:37-41, 2003 

  21. Reis AF, Giannini M, Lovadino JR, Ambrosano GM. Effect of various finishing systems on the surface roughness and staining susceptibility of packable resins. Dent Mater 19: 12-18, 2003 

  22. Hachiya Y, Iwaku M, Hosoda H, Fusayama T. Relation of finish to discoloration of composite resins. J Prosthet Dent 53:811-814, 1984 

  23. Okazaki M, Douglas WH. Comparison of surface layer properties of composite resins by ESCA, SEM, and xray diffractometry. Biomaterials 5:284-290, 1984 

  24. Carlen A, Nikdel K. Wennerberg A, Holmberg K, Olsson J. Surface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biofilm formation on glass ionomer and composite resin. Biomaterials 22:481-487, 2001 

  25. Dodge WW, Dale RA, Cooley RL, Duke ES. Comparison of wet and dry finishing of resin composites with aluminum oxide discs. Dent Mater 7: 18-20, 1991 

  26. Fruits TJ, Miranda FJ, Coury TL. Effect of equivalent abrasive grit sizes utilizing differing polishing motions on selected restorative materials. Quint Int 27:279-285, 1996 

  27. Powers JM, Tate WH. Surface roughness of composites and hybrid ionomers. Oper Dent 12:53-58, 1996 

  28. St Germain HA, Meiers JC Jr. Surface roughness of light-activated glass-ionorner cement restorative materials after finishing. Oper Dent 21:103-109,1996 

  29. Pedrini D, Candido MSM, Rodrigues AL Jr. Analysis of surface roughness of glassionomer cements and compomer. J Oral Rehab 30:714-719,2003 

  30. Wilder AD Jr, Swift EJ Jr, May KN Jr, Thompson JY, McDougal RA. Effect of finishing technique on the microleakage and surface texture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restorative materials. J Dent 28: 367-373,2000 

  31. Yap ADJ, Wong ML, Lim ACY. The effect of polishing systems on microleakage of tooth-coloured restoratives. Part 2: composite and polyacid-modified composite resins. J Oral Rehab 27:205-210, 2000 

  32. Bertrand MF, Leforestier E, Muller M, Pegurier LL, Bolla M. Effect of surface penetrating sealant on surface texture and microhardness of composite resins. J Biomed Mater Res 53:658-663, 2000 

  33. Ferracane JL, Condon JR, Nitchem JC. Evaluation of subsurface defects created during the finishing of composites. J Dent Res 71: 1628-1632,1992 

  34. Cho LR, Yi YJ, Heo SJ. Effect of tooth brushing and thermal cycling on a surface change of ceromers finished with different methods. J Oral Rehab 29:816-822, 2002 

  35. O' Brien WJ, Johnston WM, Fanian F, Lambert S. The surface roughness and gloss of composites. J Dent Res 63:685-688, 1984 

  36. Campbell PM, Johnston WM, O'Brien WJ. Light scattering and gloss of an experimental quartz-filled composite. J Dent Res 65 :892-894, 1986 

  37. HF Albers. Tooth-colored restoratives. 8th ed., Alto books, Santa Rosa, CA, p10:1-10:22, 1996 

  38. Grajower R, Revah A, Sorin S. Reflectance spectra of natural and acrylic resin teeth. J Prosthet Dent 36:570-579, 1976 

  39. Seghi RR, Hewlett ER, Kim J. Visual and instrumental colorimetric assessments of small color differences on translucent dental porcelain. J Dent Res 68: 1760-1764, 1989 

  40. Report of Councils and Bureaus. New American Dental Association Specification No. 27 for direct filling resins. JADA 94:1191-1194, 1977 

  41. 황인남, 이광원, 광주압복합레진의 두께에 따른 투명도 차이가 수복물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존학회지 24:604-613,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