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소시비수준이 콩의 생육 및 isoflav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levels on Growth and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1 no.5, 2006년, pp.445 - 450  

이미자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박종철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오영진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경호 (농촌진흥청) ,  김형순 (서남대학교 환경화학공학부) ,  이상복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김정곤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질소 시비수준이 생육시기별 식물체 및 종실에서 isoflavone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생육시기에 따른 식물체에서 isoflavone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시비 수준에 따른 일반생육은 50%증비구가 다른 처리에 비하여 가장 좋았는데, 엽수 및 엽면적이 표준비의 72.7개, $619.7cm^{2}$에 비하여 81.9개와 $723cm^{2}$으로 증가하였다. 2. 수량 관련 형질 중에서 협수 및 종실수는 50%증비에서 개체당 31.9개와 72.3개로 가장 많았으며, 수량도 246 kg/10a로 다른 시비구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무비와 N무비구에서는 협수가 24.9개/개체와 25.1개/개체, 립수는 60.3개/개체과 51.1개/개체, 수량은 181.0 kg/10a과 178.0 kg/10a으로 낮았다. 3. 생육시기에 따른 isoflavone 함량은 잎, 줄기, 뿌리에서 개화이후부터 립비대기(R5)까지는 감소하다가 이후 수확기(R7)까지 다시 증가하였다. 4. 식물체 부위별 isoflavone 함량은 뿌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5. 시비수준에 따른 종실의 isoflavone 함량은 무비, N무비 및 50% 감비의 경우가 표준비나 증비보다 다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itrogen fertilization effect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isoflavone content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nd isoflavone analyzed by HPLC with photodiode array (PDA) detector and reverse-phase $C_{18}$ column. Fertilization levels were no-fertilization, no nitrogen, 50% decrea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2)되고 있으나 생육시기나 시비수준에 따른 함량변화에 대한 연구결과는 비교적 많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육시기별 콩 과 콩 식물체의 isoflavone 함량변화를 알아보고, 질소시비 수준이 콩의 생육, 수량 및 isoflav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특수목적 콩 및 고품질 콩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질소 시비수준이 생육시기별 식물체 및 종실에서 isoflavone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생육시기에 따른 식물체에서 isoflavone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lin, D., S. Junming, C. Ruzheng, and D. Huiru. 1995. The preliminary analysis of isoflavone content in chinease cultivars. Soybean Genetics Newsletter 

  2. Arthur, C. E. and F. K. William. 1983. Effect of environment and variety on composition. J. Agric. Food Chem. 31 : 394-396 

  3. Barnes, S. and H. C. Blair. 1996. Genistein for use in inhibiting osteroclasts. Us. patent. 550 : 6211 

  4. Choi, J. S., T. W. Kwon, and J. S. Kim. 1996. Isoflavone contents in some varieties of soybean. Foods and Biotechnology. 5(2) : 167-169 

  5. Choi, Y. B. and H. S. Sohn. 1998. Isoflavone content in korean fermented and unfermented soybea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 745-750 

  6. 최희돈, 김성수, 홍희도, 이진열 2000. 나물콩 품종별 콩나물의 물리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비교. 한국농화학회지 43 : 207-212 

  7. Harrison, G. G. and S. Cho. 1999. Chaging global patterns and implications of soybean consumption. 8th asian congress of nutrition, Aug.29-Sep.2. Seoul, Korea 

  8. Kim, S. R. and S. D. Kim. 1996. Studies on soybean isoflavones : I. content and distribution of isoflavones in Korea soybean cultivars. J. Agric. Sci. 38 : 155-165 

  9. 김성란, 홍희도, 김성수. 1999. 콩 및 콩 제품 중의 isoflavone 함량과 특성, 한국콩연구회지. 16 : 35-46 

  10. Kodou, S., Y. Fleury, D. Welti, U. T. Magnolato, and K. Kitamura. 1991. Malonyl isoflavone glucosides in soybean seeds. Agric. Biol, Chem. 55 : 2227-2233 

  11. Kosslak, R. M., R. Bookland, J. Barkei, H. E. Paaren, and E. R. Appelbaum, 1987. Induction of Bradirhizobium japonicum common nod genes by isoflavones isolated from gkycine max. Proc. Natl. Acad. Sci. 84 : 7428-7432 

  12. Levitzki, A. and A. Gazit. 1995. Tyrosine kinase inhibition: An approach to drug development. Science 267 : 1782-1787 

  13. Morris, P. F., M. E. Savard, and E. W. B. Ward. 1991, Identification and accumulation of isoflavonoids and isoflavone glucosides in soybean leaves and hypocotyls in resistance responses to phytophtora megasperma f. sp. glycinea. Physiol. Molecular Plant Phathol. 39(3) : 229- 244 

  14. Murphy, P. A. 1982. Phytoestrogen content of processed soybean products. J. Food. Tech. 36, 60-64 

  15. 이수경, 이민준, 윤선, 권재중.2000. 한국 중년여성의 대두식품을 통한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 조사.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48-956 

  16. 소은희, 구장환, 박금룡, 이영호. 2001. 콩 품종의 isoflavone 함량과 항산화 활성. 한국작물학회지 33 : 35-39 

  17. Record, I. R., E. Iver, and J. K. Mcinerny. 1995.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enistein in vitro. Nutr. Biochemistry 6 : 481-485 

  18. Richard, A. D. and L. P. Nancy. 1995. Stress-induced phenylpropanoid metabolism. The Plant Cell 7 : 1085-1097 

  19. Tony, J. V., Y. Xinhua, W. B. Tom, C. J. Chung-Ja, I. R. Jackson, and M. B. Sylvie. 2002. Potassium fertilization effects on isoflavone concentrations in soybean [Glycine max(L) Merr.]. J Aggri. and Food Chem. 50 : 3501-3506 

  20. Walter, E. D. 1941. Genistein (an isoflavone glycoside) and its aglycone, genistein from soya beans. J. AM. Chem. Soc. 65 : 3273-3275 

  21. Yamashita, Y., S. Kawada, and H. Nakano. 1991. Induction of mammalian topoisomerase II dependent DNA cleavage by nonintercalative flavonoids genistein and orobol. FEBS letter 288 : 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