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니트릴 화합물은 키랄 의약품의 합성에 사용되는 유용한 중간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 분리균 중에서 4-chloro-3-hydroxy butyronitrile(CHBN)기질로부터 고지혈증 치료제인 Atorvastatin을 합성하는 데에 필요한 4-chloro-3-hydroxy butyric acid(CHBAc)를 생성하는 균주 2종류를 선발하였다. 16S rRNA 분석을 통해서 균 동정을 수행한 결과, 모두 Rhodococcus erythropolis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TLC 분석 결과로부터 CHBN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는 니트릴 히드라타아제(NHase)와 아미다아제(amidase)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리균의 CHBN 분해효소는 ${\varepsilon}$-카프로락탐에 의해서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균체와 세포 추출액에서 모두 기질 분해활성을 나타났다. 기존에 보고된 효소의 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프리머를 제조하고 PCR을 수행함으로써 분리균으로부터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유전자를 확보하게 되었다. 발굴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미 보고된 Rhodococcus erythropolis의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alpha}$-서브유니트과 ${\beta}$-서브유니트 및 아미다아제와 96%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따라서 CHBN기질은 분리균의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효소에 의해서 아미(CHBAm)를 거쳐 산(CHBAc)으로 전환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각종 니트릴 화합물은 키랄 의약품의 합성에 사용되는 유용한 중간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 분리균 중에서 4-chloro-3-hydroxy butyronitrile(CHBN)기질로부터 고지혈증 치료제인 Atorvastatin을 합성하는 데에 필요한 4-chloro-3-hydroxy butyric acid(CHBAc)를 생성하는 균주 2종류를 선발하였다. 16S rRNA 분석을 통해서 균 동정을 수행한 결과, 모두 Rhodococcus erythropolis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TLC 분석 결과로부터 CHBN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는 니트릴 히드라타아제(NHase)와 아미다아제(amidase)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분리균의 CHBN 분해효소는 ${\varepsilon}$-카프로락탐에 의해서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균체와 세포 추출액에서 모두 기질 분해활성을 나타났다. 기존에 보고된 효소의 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프리머를 제조하고 PCR을 수행함으로써 분리균으로부터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유전자를 확보하게 되었다. 발굴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미 보고된 Rhodococcus erythropolis의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alpha}$-서브유니트과 ${\beta}$-서브유니트 및 아미다아제와 96%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따라서 CHBN기질은 분리균의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효소에 의해서 아미(CHBAm)를 거쳐 산(CHBAc)으로 전환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Ethyl (S)-4-chloro-3-hydroxybutyrate is a useful intermediate for the synthesis of Atorvastatin, a chiral drug to hypercholesterolemia. In this research, two 4-chloro-3-hydroxybutyro-nitrile-degrading strains were isolated from soil sample. They were identified as Rhodococcus erythropolis strains by...
Ethyl (S)-4-chloro-3-hydroxybutyrate is a useful intermediate for the synthesis of Atorvastatin, a chiral drug to hypercholesterolemia. In this research, two 4-chloro-3-hydroxybutyro-nitrile-degrading strains were isolated from soil sample. They were identified as Rhodococcus erythropolis strains by 16S rRNA analysis. The nitrile-degrading enzyme(s) were suggested to be nitrile hydratase and amidase rather than nitrilase from the result of thin layer chromatography analysis. The corresponding genes were obtained by PCR cloning method. The predicted protein sequences had identities more than 96% with nitrile hydratase ${\alpha}-subunit$, nitrile hydratase ${\beta}-subunit$, and amidase of R. erythropolis. The 4-chloro-3-hydroxybutyronitrile-hydrolyzing activities in both strains were increased dramatically by ${\varepsilon}-caprolactam$ which was known as good inducer for nitrile hydratase. Both intact cells and cell-free extract could hydrolyze the nitrile compound. So, the intact cell and the enzymes could be used as potential biocatalyst for the production of 4-chloro-3-hydroxybutyric acid.
Ethyl (S)-4-chloro-3-hydroxybutyrate is a useful intermediate for the synthesis of Atorvastatin, a chiral drug to hypercholesterolemia. In this research, two 4-chloro-3-hydroxybutyro-nitrile-degrading strains were isolated from soil sample. They were identified as Rhodococcus erythropolis strains by 16S rRNA analysis. The nitrile-degrading enzyme(s) were suggested to be nitrile hydratase and amidase rather than nitrilase from the result of thin layer chromatography analysis. The corresponding genes were obtained by PCR cloning method. The predicted protein sequences had identities more than 96% with nitrile hydratase ${\alpha}-subunit$, nitrile hydratase ${\beta}-subunit$, and amidase of R. erythropolis. The 4-chloro-3-hydroxybutyronitrile-hydrolyzing activities in both strains were increased dramatically by ${\varepsilon}-caprolactam$ which was known as good inducer for nitrile hydratase. Both intact cells and cell-free extract could hydrolyze the nitrile compound. So, the intact cell and the enzymes could be used as potential biocatalyst for the production of 4-chloro-3-hydroxybutyric aci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토양 분리균과 균주은행으로부터 분양받은 Rhodococcus 균 중에서 Fig. 1과 같이 4-chloro-3-hydroxy butyronitrile(CHBN)을 가수분해하여 4-chloro-3-hydroxy butyric acid(CHBAc)를 생성할 수 있는 균을 선별흐卜고 해당니트릴 분해효소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안 방법
4 mL 부피의 10 mM 인산칼륨 완충용액 (pH 15)으로현탁하였다. 균 현탁액에 CHBN 기질 10 piL를 첨가하고 3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박막크로마토그래피 (TLC) 방법을 통해 CHBN 기질과 분해산물을 분석하였다. TLC 결과로부터 CHBN 기질을 분해하여 산(CHBAc)를 생성하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균 현탁액에 CHBN 기질 10 piL를 첨가하고 30℃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박막크로마토그래피 (TLC) 방법을 통해 CHBN 기질과 분해산물을 분석하였다. TLC 결과로부터 CHBN 기질을 분해하여 산(CHBAc)를 생성하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방법으로 측정 하였다. CHBN 분해반응을 수행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 20 卩1를 실리카 유리판에 첨가하고 혼합용매 (hexane : ethyl acetate : acetic acid = 2:3: 0.5)를 이용하여 물질을 전개하였다. 전개된 유리판에 발색시약(9.
5)를 이용하여 물질을 전개하였다. 전개된 유리판에 발색시약(9.2 mL /^-anisaldehyde, 3.75 mL acetic acid, 338 mL 95% ethanol, 12.5 mL sulfuric acid)을 적시고 가열하면서 발색반점을 관찰하였다.
선발된 분리균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위해서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분리균의 배양액 50 mL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모은 후 염색체 DNA를 분리하고 이것을 주형 DNA로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반응을 수행하였다. 분리균의 배양액 50 mL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모은 후 염색체 DNA를 분리하고 이것을 주형 DNA로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또한, 514F(5'- CGTGCCAGCAGCCGCGGT-3, )와 1492R (5'-TACGGY- TACCTTGTTACGACTT-3') 프리머를 사용하였다.
PCR 반응을 다음 조건에서 수행하였다(열 변성, 95℃, 1 분; 냉각, 50℃, 1분; 합성반응, 72℃, 1분). 반응액의 아가로스 전기영동을 수행하고 젤로부터 예상 크기 (약 1.
냉각, 50℃, 1분; 합성반응, 72℃, 1분). 반응액의 아가로스 전기영동을 수행하고 젤로부터 예상 크기 (약 1.0 kb)의 DNA 조각을 추출하여 염 기서열을 분석 하였다. BLAST Search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된 염기서열과 가장 유사한 DNA 염기서열을 찾음으로써 선발된 분리균의 동정을 수행하였다.
CHBN 기질의 분해 정도를 정량적 으로 측정 하기 위 해 서기체 크로마토그래프] (GC)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리균 No.
5)에 현탁하고, 초음파로 분쇄하여 세포추출액을 제조하였다. 각 세포추출액의 단백질 농도를 Bradford 방법으로 정량한 후, 세포추출액 0.1 mL와 인산칼륨 완충액(pH 7.5) 0.1 mL를 섞고 CHBN 기질 20 皿 를 첨가한 후, 3UC에서 회전시키며 반응을 수행하였다. 일정한 시간동안(0, 0.
1 mL를 섞고 CHBN 기질 20 皿 를 첨가한 후, 3UC에서 회전시키며 반응을 수행하였다. 일정한 시간동안(0, 0.5, 1, 1.5, 2, 3, 4, 5, 6 시간) 반응을 수행하고 1 N 염산 0.1 mL를 넣어줌으로써 반응을 중지시켰다.
분당 20。(2의 속도로 증가시킨 후, 2분 동안 최종온도에서 유지하는 조건으로 GC분석을 수행하였다.
수행하였다. PCR 반응을 다음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열변성, 95℃, 1분; 냉각, 43℃, 1분; 합성반응, 72℃, 2분). 합성된 DNA 조각의 아가로스 전기영동을 수행하고 젤로부터 예상하는 크기 (a-, 0서브유니트, 약 0.
Rhodococcus 속의 세균이 생산하는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a■서브유니트, [3■서브유니트과 아미다아제의 서열을[4, 8, 11] 비교분석하여 얻어진 공통의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디자인한프리머(니트릴 히드라타아제 a-서브유니트, F-5'-GATCCA- TATGTCAGTAACGATCGAC-3', R-5'-GATCGAATTCGA- CGGTGGGGACCTG-3';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伊서브유니트, F-5'-GATCCATATGGATGGAGTACACGAT-3', R-5'-GAT- CGAATTCGGCCGCAGGCTCGAG-3'; 아미다아제, F-5'- GATCCATATGGCGACAATCCGACCT-3', R-5'-GATGAA- TTCAAGGCGGGGCTGAGTTG-3'X 이용흐]■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을 다음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열변성, 95℃, 1분; 냉각, 43℃, 1분; 합성반응, 72℃, 2분).
PCR 반응을 다음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열변성, 95℃, 1분; 냉각, 43℃, 1분; 합성반응, 72℃, 2분). 합성된 DNA 조각의 아가로스 전기영동을 수행하고 젤로부터 예상하는 크기 (a-, 0서브유니트, 약 0.6 kb; 아미다아제, 약 1.5 kb)의 PCR 산물을 추출하여 pGEM-T 벡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각 샘플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염기서 열로부터 아미노산 서 열을 읽고 Meg- Alignm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존에 보고된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였다.
5 kb)의 PCR 산물을 추출하여 pGEM-T 벡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클로닝하였다. 클로닝된 각 샘플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염기서 열로부터 아미노산 서 열을 읽고 Meg- Alignme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존에 보고된 효소의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였다.
균주은행으로부터 분。J받은 균주 11개와 토양^서 분리된 균주 8개를 e-카프로락탐이 첨가된 LB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균체를 얻고, 이들 균체가 지닌 CHBN 분해 활성을 조사하였다(Table 1). 균체를 이용한 호소반응을 30。。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고 박막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서 물질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19개의 균주 중에서 3개가 CHBN 기질을 분해하여 (CHBAc)을 생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Table 1, Fig.
분리균주의 배양시간에 따른 효소 생산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카프로락탐이 첨가된 LB배지에서 48시간동안 배양하면서 6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미생물 균체의 CHBN 기질 분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8시간 이상 배양하면 배양된 균체(4 mL 배양액에 해당되는 균체)가 반응에 사용한 기질(10 卩L)을 모두 산으로 전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자료 미제시).
분리균주의 유도물질에 따른 효소 발현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벤조니트릴과 £-카프로락탐을 첨가하여 분리균을 배양하였다. 분리균을 3(TC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미생물 균체의 CHBN 분해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e-카프로락탐을 첨가한 경우에는 분해 활성이 나타났으나, 벤조니트릴만 첨가하였거나, 둘 다 배제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는 분해 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Fig.
분리균주의 균체를 초음파분쇄기로 깨고 원심분리하여 수용성 분획과 불용성 분획으로 나눈 후, 각각의 분획에 대한 CHBN 분해활성을 조사하였다. 균체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두 분획에서 모두 CHBN 분해활성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불용성 분획에서는 CHBAm가 뚜렷이 관찰되었다(Fig.
또한, GC 분석을 통해서 수용성 분획의 CHBN 기질 분해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Fig. 6). 분리균 No.
R. erythropolis 균으로부터 이미 보고된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a-서브유니트와 0서브유니트 및 아미다아제 유전자를비교분석하여 [4, 8, 11] PCR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머를제작하고 분리균의 염색체에 대한 PCR 반응을 수행한 결과, 예상된 크기의 DNA 조각을 얻게 되었다. 확보된 DNA 조각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기존의 효소와 비교해 본 결과, 분리균 No.
예상되는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효소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확보하였다.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재조합 효소의 대량생산과 효소개량을 수행하면, 고지혈증 치료제인 Atorvastatin 생산에 필요한 ethyl (S)-4-chloro- 3-hydroxybuyrate의 산업적 생산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분리균의 CHBN 분해효소는 £-카프로락탐에 의해서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균체와 세포 추출액에서 모두 기질 분해활성을 나타났다. 기존에 보고된 효소의 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프리머를 제조하고 PCR을 수행함으로써 분리균.으로부터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유전자를 확보하게 되었다.
R. erythropolis No. 5와 R. erythropolis No. 7 균이 CHBN 기질의 분해에 관여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유전자를 지니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들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확인하기 위해서 PCR 클로닝을 수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실험에 사용된 분양균주와 토양 분리균주는 (주)이큐스팜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부터 제공받았다 . 반응 기질인 4- chloro-3-hydroxy butyronitrile(CHBN)과 표준물질로 사용된 4-chloro-3-hydroxy butyTamide(CHBAm)와 4-chloro-3-hydroxy butyric acid(CHBAc)는 (주)이큐스팜으로부터 제공받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부터 제공받았다 . 반응 기질인 4- chloro-3-hydroxy butyronitrile(CHBN)과 표준물질로 사용된 4-chloro-3-hydroxy butyTamide(CHBAm)와 4-chloro-3-hydroxy butyric acid(CHBAc)는 (주)이큐스팜으로부터 제공받았다. 그 밖의 시 약은 일반 시약급으로 사용하였다.
분리균의 배양액 50 mL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모은 후 염색체 DNA를 분리하고 이것을 주형 DNA로 사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또한, 514F(5'- CGTGCCAGCAGCCGCGGT-3, )와 1492R (5'-TACGGY- TACCTTGTTACGACTT-3') 프리머를 사용하였다.
중간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 분리균 중에서 4- chloro-3-hydroxy butyronitrile(CHBN)기질로부터 고지혈증치료제인 Atorvastatin을 합성호}는 데에 필요한 4-chloro-3- hydroxy butyric acid(CHBAc)를 생성하는 균주 2종류를 선발하였다. 16S rRNA 분석을 통해서 균 동정을 수행한 결과, 모두 Rhodococcus erythropolis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TLC 분석 결과로부터 CHBN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는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NHase)와 아미다아제 (amidase)인것으로 추정되었다.
기존에 보고된 효소의 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프리머를 제조하고 PCR을 수행함으로써 분리균.으로부터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유전자를 확보하게 되었다. 발굴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미 보고된 Rhodococcus erythropolis^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a-서브유니트과 0-서브유니트 및 아미다아제와 96%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데이터처리
0 kb)의 DNA 조각을 추출하여 염 기서열을 분석 하였다. BLAST Search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된 염기서열과 가장 유사한 DNA 염기서열을 찾음으로써 선발된 분리균의 동정을 수행하였다.
이론/모형
균체와 세포추출물의 CHBN 기질에 대한 분해활성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측정 하였다. CHBN 분해반응을 수행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 20 卩1를 실리카 유리판에 첨가하고 혼합용매 (hexane : ethyl acetate : acetic acid = 2:3: 0.
성능/효과
본 연구에서는 토양 분리균 중에서 4- chloro-3-hydroxy butyronitrile(CHBN)기질로부터 고지혈증치료제인 Atorvastatin을 합성호}는 데에 필요한 4-chloro-3- hydroxy butyric acid(CHBAc)를 생성하는 균주 2종류를 선발하였다. 16S rRNA 분석을 통해서 균 동정을 수행한 결과, 모두 Rhodococcus erythropolis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TLC 분석 결과로부터 CHBN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는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NHase)와 아미다아제 (amidase)인것으로 추정되었다. 분리균의 CHBN 분해효소는 £-카프로락탐에 의해서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균체와 세포 추출액에서 모두 기질 분해활성을 나타났다.
발굴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미 보고된 Rhodococcus erythropolis^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a-서브유니트과 0-서브유니트 및 아미다아제와 96%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따라서 CHBN기질은 분리 균의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효소에 의해서 아미 (CHBAm)를 거쳐 산(CHBAc)으로 전환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30。。에서 24시간 동안 수행하고 박막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서 물질분석을 수행한 결과, 총 19개의 균주 중에서 3개가 CHBN 기질을 분해하여 (CHBAc)을 생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Table 1, Fig. 2). 이 중에서 기질 분해활성이 크고 재현성이 있는 분리 균주 No.
분리균주 No. 5와 No. 7의 16S rRNA에 대한 염기서열 (-920 bp)을 분석한 결과, 둘 다 Rhodococcus 균의 16S rRNA와 매우 높은 상동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R. erythropolis EPW十의 16S rRNA와 각각 99.9%, 100%의 상동성을 보였다(Fig. 3). 이 결과로부터 분리균주를 각각 Rhodococcus erythropolis No.
3). 이 결과로부터 분리균주를 각각 Rhodococcus erythropolis No. 5오} Rhodococcus erythropolis No. 7로 명명하였다.
벤조니트릴과 £-카프로락탐을 첨가하여 분리균을 배양하였다. 분리균을 3(TC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고 미생물 균체의 CHBN 분해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e-카프로락탐을 첨가한 경우에는 분해 활성이 나타났으나, 벤조니트릴만 첨가하였거나, 둘 다 배제한 배지에서 배양한 경우에는 분해 활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Fig. 4). 이것은 £-카프로락탐에 의해서 CHBN 기질 분해 효소의 발현이 유도되어진다는것을 보여주었다.
분해활성을 조사하였다. 균체를 이용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두 분획에서 모두 CHBN 분해활성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불용성 분획에서는 CHBAm가 뚜렷이 관찰되었다(Fig. 5, lane 4 and 8). 이것은 R.
7의 경우에도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에 의해서 니트릴 기질이 분해되어짐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아미다아제가 불용성 분획보다는 수용성 분획에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하였다.
erythropolis 균으로부터 이미 보고된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a-서브유니트와 0서브유니트 및 아미다아제 유전자를비교분석하여 [4, 8, 11] PCR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프리머를제작하고 분리균의 염색체에 대한 PCR 반응을 수행한 결과, 예상된 크기의 DNA 조각을 얻게 되었다. 확보된 DNA 조각의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기존의 효소와 비교해 본 결과, 분리균 No. 5의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서브유니트와 件서브유니트 및 아미다아제는 기존 효소(AAP57640, P22984) 와 각각 아미노산이 2개 , 1개 , 17개씩 차이를 보여서 99.0%, 99.5%, 96.7%의 상동성을 지녔다. 분리균 No.
erythropolis (AAP57640). C. Amidases of Rhodococcus No. 5 and No. 7 were compared with that of R. erythropolis (P22984).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균주은행에서 분양받은 균과 토양 분리균으로부터 CHBN 분해활성을 지닌 균을 두 종류 찾아내었으며, 이들 균에서 CHBN의 분해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효소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확보하였다.
16S rRNA 분석을 통해서 균 동정을 수행한 결과, 모두 Rhodococcus erythropolis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TLC 분석 결과로부터 CHBN 기질을 분해하는 효소는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NHase)와 아미다아제 (amidase)인것으로 추정되었다. 분리균의 CHBN 분해효소는 £-카프로락탐에 의해서 발현이 유도되었으며, 균체와 세포 추출액에서 모두 기질 분해활성을 나타났다. 기존에 보고된 효소의 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프리머를 제조하고 PCR을 수행함으로써 분리균.
으로부터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유전자를 확보하게 되었다. 발굴된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미 보고된 Rhodococcus erythropolis^ 니트릴 히드라타아제 a-서브유니트과 0-서브유니트 및 아미다아제와 96% 이상의 상동성을 보였다. 따라서 CHBN기질은 분리 균의 니트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효소에 의해서 아미 (CHBAm)를 거쳐 산(CHBAc)으로 전환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분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8시간 이상 배양하면 배양된 균체(4 mL 배양액에 해당되는 균체)가 반응에 사용한 기질(10 卩L)을 모두 산으로 전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자료 미제시).
후속연구
릴 히드라타아제와 아미다아제 효소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확보하였다.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재조합 효소의 대량생산과 효소개량을 수행하면, 고지혈증 치료제인 Atorvastatin 생산에 필요한 ethyl (S)-4-chloro- 3-hydroxybuyrate의 산업적 생산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17)
Banerjee, A., R. Sharma, and U. Banerjee. 2002. The nitrile-degrading enzymes: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Appl. Microbiol. Biotechnol. 60: 33-44
Brady, D., A. Beeton, J. Zeevaart, C. Kgaje, F. van Rantwijk, and R. A. Sheldon. 2004. Characterisation of nitrilase and nitrile hydratase biocatalytic systems. Appl. Microbiol. Biotechnol. 64: 76-85
DeSantis, G, Z. Zhu, W. A. Greenberg, K. Wong, J. Chapli, S. R. Hanson, B. Farwell, L. W. Nicholson, C. L. Rand, D. P. Weiner, D. E. Robertson, and M. J. Burk. 2002. An enzyme library approach to biocatalysis: development of nitrilases for enantioselective production of carboxylic acid derivatives. J. Am. Chem. Soc. 124: 9024-9025
Duran, R., M. Nishiyama, S. Horinouchi, and T. Beppu. 1993. Characterization of nitrile hydratase genes cloned by DNA screening from Rhodococcus erythropolis. Biosci. Biotechnol. Biochem. 57: 1323-1328
Heinemann, U., D. Engels, S. Burger, C. Kiziak, R. Mattes, and A. Stolz. 2003. Cloning of a nitrilase gene from the Cyanobacterium Synechocystis sp. strain PCC6803 and heterologous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ncoded protein. Appl. Environ. Microbiol. 69: 4359-4366
Huang, W., J. Jia, J. Cummings, M. Nelson, G. Schneider, and Y. Lindqvist. 1997. Crystal structure of nitrile hydratase reveals a novel iron centre in a novel fold. Structure 5: 691-699
Hughes, J., Y. C. Armitage, and K. C. Symes. 1998. Application of whole cell Rhodococcal biocatalysts in acrylic polymer manufacture. Antonie van Leeuwenhoek 74: 107-118
Ikehata, O., M. Nishiyama, S. Horinouchi, and T. Beppu. 1989. Primary structure of nitrile hydratase deduced from the nucleotide sequence of a Rhodococcus species and its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Eur. J. Biochem. 181: 563-570
Nagasawa, T., H. Shimizu, and H. Yamada. 1993. The superiority of the 3rd-generation catalyst, Rhodococcus rhodochrous J1 nitrile hydratase, for industrial production of acrylamide. Appl. Microbiol. Biotechnol. 40: 189-195
Nagasawa, T., M. Wieser, T. Nakamura. H. Iwahara, T. Yoshida, and K. Gekko. 2000. Nitrilase of Rhodococcus rhodochrous J1. Eur. J. Biochem. 267: 138-144
O'Mahony, R., J. Doran, L. Coffey, O. J. Cahill, G. W. Black, and C. O'Reilly. 2005. Characterisation of the nitrile hydratase gene clusters of Rhodococcus erythropolis strains AJ270 and AJ300 and Microbacterium sp. AJ115 indicates horizontal gene transfer and reveals an insertion of IS1166. Antonie van Leeuwenhoek 87: 221-232
Yamada, H. and M. Kobayashi. 1996. Nitrile hydratase and its application to industrial production of acrylamide. Biosci. Biotech. Biochem. 60: 1391-1400
Yamamoto, K. and K. I. Komatsu. 1992.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itrilase responsible for the enantioselective hydrolysis from Acinetobacter sp. AK 226. Agric. Biol. Chem. 55: 1459-1466
Yamamoto, K., K. Oishi, I. Fujimatsu, and K. Komatsu. 1991. Production of R-(-)-mandelic acid from mandelonitrile by Alcaligenes faecalis ATCC 8750. Appl. Environ. Microbiol. 57: 3028-3032
Yamamoto, K., Y. Ueno, K. Otsubo, K. Kawakami, and K. Komatsu. 1990. Production of S-(+)-ibuprofen from a nitrile compound by Acinetobacter sp. strain AK226. Agric. Biol. Chem. 55: 1459-146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