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II 화학결합 단원의 학습 어려움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a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ing Difficulties of the Chemical Bond Unit of the Chemistry II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1 no.5, 2007년, pp.447 - 458  

고기환 (석관고등학교) ,  이선경 (서울대학교) ,  강경희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 화학II의 화학결합 단원의 학습 어려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을 살펴보았다. 서울 소재의 1개 학교에서 화학II 수업에 참여한 학생 85명과 교사 1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그 중의 일부 학생들과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화학결합을 구성하는 1) 소단원들 중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소단원, 2) 세부내용 중에서 학습했다고 생각되는 내용, 3) 세부 내용 중에서 이 해하지 못했다고 여기는 내용에 있어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학결합 의 7개 소단원 중에서 학생들이 가장 어렵게 느끼고 있는 단원은 ‘전기음성도'인 것에 반해, 교사가 가르 치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단원은 ‘분자의 모양'이었다. 또한, 화학결합의 32개 세부내용을 교사는 모두 가르쳤 다고 응답한 반면, 학생들은 몇몇 학습내용은 배우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화학 결합의 세부 내 용 중에서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학생들은 ‘쿨롱의 힘'과 ‘쌍극자 모멘트'를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교사는 가르치기 어려운 내용으로 ‘원자간 결합과 분자간 힘의 개념 차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논문에서 는 교사와 학생간이 인식 차이를 인지하고 학습 상의 어려움을 유발하는 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면담 방식을 통해 그 이유를 논의하였고, 이에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ing difficulties of the ‘chemical bond' unit of the Chemistry II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a teacher and his students(85) from the Chemistry II cl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의 발생 근원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 참여한 교사의 수업 분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후속 연구로서 1) 수업 담화 및 활동 등의 수업 장면을 고려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조사와 그 원인을 탐색하고, 2) 학생이 학습 어려움을 겪는 지점에서부터 개념이해를 위한 교사의 수업 계획과 수행 과정에 미시적이고 심층적인 질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는 화학 수업의 실태를 살펴보고, 교수학습을 구체적으로 개선하고,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계발하고, 더 나아가 교사의 전문성 신장의 경로를 이해하는데 공헌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교실 수업의 개선을 위해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 참여한 교사와 학생이 학습한 주제, 학습에의 어려움 등에 관한 인식이나 개념이 어떻게 유사하고 차이가 나는지에 대한 맥락적 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관점을 토대로, 화학결합 단원을 배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과 그 학생들을 지도한 교사의 소단원별 교수학습 시 인식 차이, 수업 시간에 다룬 학습내용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화학결합 단원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소단원 및 학습내용과 교사가 이해시키기 어렵게 생각하는 소단원 및 학습내용과의 차이점과 그 이유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앞에서 밝혔듯이, 화학II의 화학결합 단원 수업에 참여한 구성원인 학생과 교사가 그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를 설문과 면담을 통해 알아본 것으로, 장기적으로 수업 개선을 목표로 한 기초 연구라 할 것이다. 따라서 화학II를 구성 하는 다른 단원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학습 어려움에 대한 인식차를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이를 통해,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소단원 및 학습내용과 교사가 이해시키기 어렵게 생각하는 소단원 및 학습내용과의 차이점과 그 이유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화학결합의 교수-학습을 개선하기 위한 장기적 연구의 일환으로, 수업에 참여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봄으로써 초기 조사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연구의 결과는 후속으로 진행될 수업 관찰과 면담의 연구 설계 및 분석의 초점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교실 수업의 개선을 위해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 참여한 교사와 학생이 학습한 주제, 학습에의 어려움 등에 관한 인식이나 개념이 어떻게 유사하고 차이가 나는지에 대한 맥락적 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관점을 토대로, 화학결합 단원을 배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과 그 학생들을 지도한 교사의 소단원별 교수학습 시 인식 차이, 수업 시간에 다룬 학습내용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화학결합 단원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소단원 및 학습내용과 교사가 이해시키기 어렵게 생각하는 소단원 및 학습내용과의 차이점과 그 이유를 알아보았다.
  • 설문 응답과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서, 수업에서 학생과 교사가 교수학습에 어려움을 겪었던 화학 결합 소단원과 그 이유 및 화학결합 세부 내용과 그 이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결고卜, 화학U 수업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에 참여했던 교사와 학생의 인식이 상당히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수 있었다.
  • 이상의 점들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화학결합 단원을 배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과 그 학생들을 지도한 교사의 소단원별 교수학습 시 인식 차이, 수업 시간에 다룬 학습내용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소단원 및 학습내용과 교사가 이해시키기 어렵게 생각하는 소단원 및 학습내용과의 차이점과 그 이유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화학결합의 교수-학습을 개선하기 위한 장기적 연구의 일환으로, 수업에 참여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봄으로써 초기 조사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 이상의 점들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화학결합 단원을 배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과 그 학생들을 지도한 교사의 소단원별 교수학습 시 인식 차이, 수업 시간에 다룬 학습내용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소단원 및 학습내용과 교사가 이해시키기 어렵게 생각하는 소단원 및 학습내용과의 차이점과 그 이유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교육부 제7차 교육과정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서울, 1998 

  2. Tsapatlis, M.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97, 74, 922-925 

  3. Taber, K. 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98, 20, 597-608 

  4. Taber, K. S. Educational Studies 2001, 27, 159-171 

  5. Gillespie, R.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97, 74, 862-864 

  6. Hurst, O.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2002, 79, 763-764 

  7. Nahum, T. L., Mamlok-Naaman, R.; Hofstein, A. Science Education 2007, 30, 579-603 

  8. Butts, B.; Smith, 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87, 17, 192-201 

  9. Peterson, R.; Treagust, D.; Granett, P.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986, 16, 40-48 

  10. Kiokaew, 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 Columbia, 1989 

  11. Taagepera, M.; Arasasingham, R.; Potter, F.; Soroudi, A.; Lam, G.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2002, 79, 756-762 

  12. Taber, K. S.; Watts, M. Research and Practice in Europe 2000, 1, 329-353 

  13. Vinner, 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997, 34, 97-129 

  14. Boo, H. 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8, 35(5), 569-581 

  15. Peterson, R. F.; Treagust, D. F.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89, 66, 459-460 

  16. Griffiths, A.; Preston, 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992, 29, 611-628 

  17. Herron, J. D. The chemistry classroom; Formulas for successful teaching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 C., American. 1996 

  18. Harrison, A. G.; Treagust, D. F. Science Education 2000, 84, 352-381 

  19. Taber, K. S. Chemical misconceptions-Prevention, diagnosis and cure; Theoretical background Royal Society of Chemistry: London, U. K., 2002; Vol. 1 

  20. Barker, V.; Millar, R.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0, 22(11), 1171-1200 

  21. Nicoll, 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00, 23(7), 707-730 

  22. Birk, J. P.; Kurtz, M. J.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99, 76(1), 124-128 

  23. Furio, C.; Calatayud, M. L.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96, 73(1), 36-41 

  24. 홍미영 대한화학회지 2006, 50(5), 394-403 

  25. Nussbaum, J.; Novak, J. Science Education 1976, 60, 535-550 

  26. Novick, S.; Nussbaum, J. Science Education 1978, 62, 273-281 

  27. Traianou, A. Understanding teacher expertise in primary science; a sociocultural approach Sense publishers: Rotterdam, Taipei, 2007 

  28. Wenglinsky, H. How teaching matter's; bringing the classroom back into discussions of teacher quality; Educational Testing Service: Princeton, 2000 

  29. Carter, C. S.; Brickhouse, N. W.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89, 66(3), 223-225 

  30. Kirkwood, V.; Symington, D.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96, 73(4), 339-343 

  31. 이은주 고등학교 화학 교육과정에 대한 화학 교사들의 인식과 학습내용 및 학습지도방법에 대한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2. De Jong, O.; Van Driel, J. H.; Verloop, 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05, 42(8), 947-9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