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초(나문재 및 퉁퉁마디)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I)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xtract/Fractions of Suaeda asparagoides and Salicornia herbacea Extracts(I)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33 no.3, 2007년, pp.145 - 152  

박수남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전소미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김소이 (서울산업대학교 자연생명과학대학 정밀화학과) ,  안정엽 ((주)생그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함초 추출물(나문재퉁퉁마디)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나문재 추출물의 free radical(1,1-diphenyl-2-picrylhy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100 % ethanol 추출물(329.33 ${\mu}g/mL$) < 50% ethanol 추출물(40.73) < ethylacetate 분획(13.87) < ethylacetate 분획에서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7.80) 순으로 증가하였다. 퉁퉁마디의 경우,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ethylacetate 분획 및 aglycone 분획이 각각 23.21 및 28.50 ${\mu}g/mL$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나문재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 ethanol 추출물($OSC_{50}$, $0.99{\mu}g/mL$) < ethylacetate 분획(0.05) < aglycone 분획(0.03)순으로, aglycon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퉁퉁마디의 경우, ethylacetate 분획 및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의 ROS 소거활성은 각각 0.10 및 0.20 ${\mu}g/mL$이었다. 나문재 및 퉁퉁마디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100 % ethanol 나문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sim}100{\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ethylacetate 분획에서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은 50${\mu}g/mL$ 농도에서 $\tau_{50}$이 310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퉁퉁마디의 경우는 ethylacetate 분획에서 비교적 큰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나문재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Sueada asparagoides and Salicornia herbacea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free radical(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y($FSC_{50}$) of extract/fractions of Sueada asparagoides was in the order: 100 % ethanol extract(32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리-서, 본 연구에서는 함초인 나문재 및 퉁퉁마디의 활성 분획을 추출하여 피부노화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以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작용, 총항산화능 및 free radical 소거 활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몇 가지 다른 항산화세들의 황산화능을 대조군으로 하여 나문재와 퉁퉁마디의 항산화능을 비교 평가하고 활성산仝에 의한 피부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소새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알아보았다. 이와 함께 몇 가지 다른 항산화세들의 황산화능을 대조군으로 하여 나문재와 퉁퉁마디의 항산화능을 비교 평가하고 활성산仝에 의한 피부노화를 방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기능성 화장품소새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C. Fantone and P. A. Ward,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 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 Am J. Path, 107, 397 (1982) 

  2. K. J. A. Davies, Protein damage and degradation by oxygen radical, J. Biol. Chem, 262, 9895 (1987) 

  3. C. S. Foote, Photosensitized oxidation and singlet oxygen; consequences in biological systems, ed. W. A. Pryor, 2, 85, Acdemic press, New York (1976) 

  4. S. N. Park,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1989) 

  5. S. N. Park,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3, 75 (1997) 

  6. S. N. Park, Protective effect of isoflavone, genistein from soybean on singlet oxygen induc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3), 510 (2003) 

  7. S. N. Park,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aicalein, component fro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1), J. Korean Ind. Eng. Chem, 14(5), 657 (2003) 

  8. K. Scharffetter-Kochanek, Photoaging of the connective tissue of skin: its prevention and therapy, antioxidants in disease mechanism and therapy, ed. H. Sies, 38, 639 (1997) 

  9. R. M. Tyrrell and M. Pidoux, Singlet oxygen involvement in the inactivation of cultured human fibroblast by UVA and near visible radiations, Photochem Photobiol., 49, 407 (1989) 

  10. G. F. Vile and R. M. Tyrrell, UV A radiationinduced oxidative damage to lipid and protein in vitro and in human skin fibroblasts is dependent on iron and singlet oxygen,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18, 721 (1995) 

  11. K. Scharffetter-Kochanek, M. Wlaschek, K. Briviba, and H. Sies, Singlet oxygen induces collagenase expression in human skin fibroblasts, FEBS Lett., 331, 304 (1993) 

  12. M. Wlaschek, K. Briviba, G. P. Stricklin, H. Sies, and K. Scharffetter-Kochanek, Singlet oxygen may mediate the ultraviolet A in induced synthesis of interstitial collagenase, J. Invest. Dermatol., 104, 194 (1995) 

  13. A. Oikarinen, J. Karvonen, J. Uitto, and M. Hannuksela, Connective tissue alterations in skin exposed to natural and therapeutic UV-radiation, Photodermatology, 2, 15 (1985) 

  14. A. Oikarinen and M. Kallioinen, A bi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collagen in sunexposed and protected skin, Photodermatology, 6, 24 (1989) 

  15. L. H. Kligman, UV A induced biochemical changes in hairless mouse skin collagen: a contrast to UVB effects, ed. F. Urbach, 209, Valdemar, Overland Park (1992) 

  16. J. W. Choi, S. I. Kim, J Y. Kim, H. J Yang, K. H. Lee, and S. N. Park, Antioxidative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1),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2(3), 181 (2006) 

  17. B. H. Lee, Y. H. Moon, B. C. Jeong, K. S. Kim, and S. N. Ryu, Growth characteristics and it's potentiality of use of halophyte, Suaeda asparagoides MIQ, Korean J. Intl. Agri., 14(2), 87 (2002) 

  18. Y. C. Jo, J H. Ahn, S. M. Chon, K. S. Bae, T. J and D. S. Kang, Studies on phannacological effects of glasswort (Salicomia herbacea L.), Korean J. Med. Crop. Sci., 10, 93 (2002) 

  19. J. G. Min, K. T. Kim, J. H. Kim, T. J. Kim, and J. H. Park, Physi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ities of Salicomia herbacea leaf extracts, Nutraceut. Food, 7, 261 (2002) 

  20. S. H. Park and K. S. Kim,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flavonoids from Salicomia herbacea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1), 120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