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문제해결자와 비효율적인 문제해결자의 기술적 문제해결 활동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Effective and Ineffective Problem Solver'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ctivit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0 no.3, 2007년, pp.93 - 108  

김태훈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  노태천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공업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의 목적은 효율적인 기술적 문제해결과 관련 있는 특성을 구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위하여 대전 소재 C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기술적 문제해결 활동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문제해결자와 비효율적인 문제해결자의 문제해결 활동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기술적 문제의 효율적인 문제해결자와 비효율적인 문제해결자는 문제해결 활동 중에서 해결 방안 모형화하기 활동과 문제점 확인하기 활동의 소요 시간, 결과 평가하기 활동의 빈도와 소요 시간에서 차이를 보인다. 효율적인 문제해결자가 비효율적인 문제해결자보다 해결방안 모형화하기 활동과 문제점 확인하기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며 결과 평가하기 활동은 낮은 빈도와 적은 시간을 소비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which are related with effective solution of technological problems. For this, an effective problem solver and an ineffective problem solver have been compared in terms of the problem solving activity with a population of students who are 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술적 문제해결력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에서는 기술적 문제해결력을 무엇으로 보고 있었는가? 기술적 문제해결력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에서는 기술적 문제해결력을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상에서 제시되는 능력(Johnson, 1994; Varnado, 2005), 문제해결 과정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Yi, 1996), 문제해결 각 단계에서 요구 되는 능력(김희필, 2004) 등으로 보고 있었다. 이 밖의 여러 연구들에서도 기술적 문제해결력이라는 용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기술적 문제해결의 과정과 단계, 절차의 개념 및 행위의 결과인 능력을 포함시켜 기술적 문제해결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이한규, 2006).
문제해결을 무엇을 위한 필수적인 사항인가? 문제해결은 기술 혁신의 최적화와 기술적 교양(Technological Literacy)의 개발을 위하여 필수적인 사항이다(Waetjen, 1989). 또한 다양한 관점과 여러 가지 맥락 속에서 기술적 문제에 대해 심사숙고하는 유능한 문제해결자를 기술적 교양인으로 정의하고 있다(ITEA, 1996).
효율적인 기술적 문제해결과 관련 있는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론는?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기술적 문제의 효율적인 문제해결자와 비효율적인 문제해결자는 문제해결 활동 중에서 해결 방안 모형화하기 활동과 문제점 확인하기 활동의 소요 시간, 결과 평가하기 활동의 빈도와 소요 시간에서 차이를 보인다. 효율적인 문제해결자가 비효율적인 문제해결자보다 해결방안 모형화하기 활동과 문제점 확인하기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며 결과 평가하기 활동은 낮은 빈도와 적은 시간을 소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희필. (2004). 기술 교과 교육의 목표와 내용 구성을 위한 기술적 능력의 구성 요인.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송현순. (2001). 초등학생의 실과 문제해결에 대한 미시발생학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이성왕. (1987). 물리 문제 해결 과정에서의 전문가와 초심자의 사고 과정의 비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한규. (2006).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최유현. (2004). 기술과 교육을 위한 기술적 문제해결 모형의 개발. 교육과정평가연구, 7(2), 361-383 

  6. 홍미영. (1995). 문제와 문제해결자의 특성이 화학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Custer, R. L., Valesey, B. G., & Burke, B. N. (2001). An assessment model for a design approach to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2(2), 5-20 

  8. Gustafson, B. J. Rowell, P. M., & Rose, D. P. (1999). Elementary children's concepts of structural stability: Three here study.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1(1), 27-44 

  9. Hutchinson, J. & Karsnitz, J. R. (1994). Design and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 New York : Delmar Pub 

  10. ITEA (1996). Rationale and structure for the study of technology. VA: Author 

  11. ITEA (2000).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VA: Author 

  12. Johnson, S. D. (1987). Teaching problem solving. School Shop, 46(7), 15-17 

  13. Johnson, S. D. (1994). Research on problem solving instruction: What works, what doesn't. The Technology Teacher, 53(8), 27-36 

  14. Reeve, A. M. (2001). Developing standards-based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New Paradigm of Technology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Age. 91-107 

  15. Savage, E., & Sterry, L. (1990). A conceptual framework for technology education. Reston, VA: The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6. Varnado, T. E. (2005). The effects of a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ctivity on FIRST LEGO league participants' problem solving style and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irginia Tech, Blacksburg, Virginia 

  17. Waetjen, W. B. (1989).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 proposal.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34464) 

  18. Welch, M. (1996). The strategies used by ten garde 7 students working in single sex dyads to solve a technological probl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cGill University of Montreal 

  19. Yi, S. B. (1996). Problem solving in technology education at the secondary level as perceived by technology educators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s Sta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hio Stat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