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 효소가수분해물에 의한 장내 세균총 개선 및 장관 염증 억제 효과의 효소학적 평가
Enzymological Evaluation of Bowel Inflammation Inhibitory Activity and Intestinal Microbial Flora Improvement by Enzymatic Hydrolysate of Schizandrae Fructus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38 no.4 = no.151, 2007년, pp.363 - 371  

류일환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권태오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이강수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윤용갑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hizandrae Fruits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for treatment of many stress-induced diseas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inhibitory activity of enzymatic hydrolysate of Schizandrae fructus (SC-EX) in growth of tested intestinal microorganism and activity of bowel inf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염증성 장질환의 개선은 일차적으로 장내 미생물 총의 개선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장관 내 미생물총 및 염증성 질환의 개선에 대한 오미자 추출물의 유효성을 분석, 검증하기 위하여 in vitro 배양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동물의 장관 내 세균들은 상호 유기적으로 공생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일부의 균종은 단독배양이 어렵고, 일부 종은 단독 배양 시 특정 선택배지를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in vitro 배양 실험의 단점을 인체 분변의 미생물 총의 변화실험을 병행하여 보완하였다.
  • Schizandra chinensis 열매는 다양한 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온 전통 약재이다. 본 연구는 장관 내 미생물총 및 염증성 질환의 개선에 대한 오미자(Schizandrae fructus) 효소 가수분해물(SC-EX)의 유효성을 분석, 검증하기 위하여 in vitro 실험을 시행하였다. 효소 추출물의 총 lignan의 함량은 0.
  • 으로 전환하는 효소인 cyclooxygenase(COX, EC 1,14,99,1)활성에 대한 SC-EX의 5% 첨가 시각가 95%의 효소 활성이 저해되었다. 이 결과는 앞의 5- LOX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오미자 추출물이 arachidonic acid 대사 경로의 길항 작용하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는 저분자의 유기산이 COX와 LOX의 활성 모두를 저해하였다는 Whitehouse의 보고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균 종의 증가는 무엇을 증가시키는가? 특정 세균 종의 증가는 세균성 항체의 흡착을 증가시키고 이 항체가 류마티스 관절염, 장염 등 염증성 질환을 증가시킨다.3)
Lactobacilli 등의 유익세균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을 막는 장병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장내 세균 총을 구성하는 세균들은 유익 및 유해세균으로 구분된다. Lactobacilli 등의 유익세균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을 막는 장벽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를 colonization resistant라 한다2). 그러나 이 ecosystem은 항생제와 같은 약물 및 식이 등의 변화에 의해 쉽게 붕괴되어 원하지 않는 유해 미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게 된다.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을 포함한 염증성 장질환의 발생에 있어서 장내 세균이 중심적 역할을 한다고 보고한 근거는 무엇인가? 또한, Sator 등5)은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을 포함한 염증성 장질환의 발생에 있어서 장내 세균이 중심적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였다. 그 근거로는 첫째, 장내세균이 많은 위치에서 염증성 장질환이 발생하고, 둘째, 병변의 부위가 지속적으로 대변에 노출시 질환의 활성이 증가하고, 셋째, 실험동물의 이용 시 장내세균이 없으면 염증반응이 시작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장관 내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유해균의 증식은 유익균의 축소에 의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avage D.C. (1977) Microbial ecolog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Annu Rev Microbiol. 31: 107-133. doi: 10.1146/ annurev.mi.31.100177.000543 

  2. Smith H.W. (1975)Survival of orally administered E. coli K12 in alimentary tract of man. Nature. 255: 500-502 

  3. Bradley S.M, Neumann V.C, Barr K, Troughton P.R, Astbury C, Bird HA, Gooi H.C and Wrightsequential V. (1993) Study of bacterial antibody levels and faecal fliora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is taking sulphasalazine. Rheumatology. 32: 683-688 

  4. Severijnen A.J, Kool J, Swaak A.J.G and Hazenberg M.P. (1990) International flora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induction of chronic arthritis in rats by cell wall fragments from isolated Eubacterium aerofaciens strains. Rheumatology. 29: 433-439 

  5. Sator R.B. (1997)Pathogenesis and immune mechanisms of chron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Am. J. Gastroenterol. 92: 5-11 

  6. Samantha P, Glenn G Anthony W, Barry H, Jonathan B and Kieran T. (2003) In Vitro Studies on Colonization Resistance of the Human Gut Microbiota to Candida albicans and the Effects of Tetracycline and Lactobacillus plantarum LPK Curr. Issues Intestinal Microbiol. 4: 1-8 

  7. Bruno F.A, Lankaputhra W.E.V and Shah N.O. (2002) Growth, Viability and Activity of Bifidobacterium spp. in Skim Milk Containing Prebiotics. J. Food Scie. 67: 2740- 2744 

  8. Gwen F, Angeliki V, Kristof V and Vuyst L.D. (2006).Cross- Feeding between Bifidobacterium longum BB536 and Acetate- Converting, Butyrate-Producing Colon Bacteria during Growth on Oligofructose. Appl. Environ. Microbiol. 72: 7835-7841 

  9. Collado M.C, Gonzalez A, Gonzalez R, Hernandez M, Ferrus M.A and Sanz Y. (2005) Antimicro bial peptides are among the antagonistic metabolites produced by Bifidobacterium against Helicobacter pylori. Inter. J.Antimicro. Agents. 25: 385-391 

  10. Nebra Y and Blanch A.R.A (1999) New Selective Medium for Bifidobacterium spp. Appl. Environ. Microbiol. 65: 5173- 5176 

  11. Donaldson Jr, R.M. (1978) The relation of enteric bacterial population to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disease. In: Sleisenger, M. H., Fordtran, J. S. (eds.): Gastrointestinal disease. W. B. Saunders, Philadelphia, pp. 79-92 

  12. Donaldson Jr R.M. (1964) Normal bacterial populations of the intestine and their relation to intestinal function. N. Engl. J. Med. 270: 938-945, 994-1001, 1050-1056 

  13. Clark J.A and el-Shaarawi A.H. (1993) Evaluation of commercial presence-absence test kits for detection of total coliforms, Escherichia coli, and other indicator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59: 380-388 

  14. Hughes R and Rowland I. (2003) Nutritional and microbial modulation of carcinogenesis. In: Gut flora, nutrition, immunity and health. R. Fuller and G. Perdigon Eds. London: Blackwell Publishing, UK, pp. 208-220 

  15. Garcia A, NiuBo J, Benitez M.A, Viqureira M and Perez J.L. (1996) Comparison of two leukocyte extraction methods for cytomegalovirus Antigenemia Assay. J. Clini. Microbiol. 34: 182-184 

  16. Collier J.G and Flower R.J. (1971) Effect of aspirin on human seminal prostaglandin. Lancet., 852-853 

  17. Hong K.H, Nam E.S and Park S.I. (2004)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Drinkable Yoghurt Added Water Extract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Nutr. 17: 111-119 

  18. Russell J.B. (1992) Another explanation for the toxicity of fermentation acids at low pH: anion accumulation versus uncoupling. J Appl. Bacteriolo. 73: 363-370 

  19. Cherrington C, Hiton M, Mead G.C and Choppa I. (1991) Organic acid: chemistry, antibacterial activity and practical application. Advan. Microbial Physiolo. 32: 87-107 

  20. Rhee Y.K, Kim D.H and Han M.J. (1998) Inhibitory effect of Zizyphi fructus on $\beta$ -glucuronidase and trytophanase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korean J. Food Sci.Technol. 30: 199-205 

  21. Murai K, Hisamitsu K, Imamura L and Kobaashi K. (1994)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to rats of various undigestible saccharide on fecal pH, water contents and enzyme activity. Bifidobacteria and Microflora 13: 91-98 

  22. Bauer H.G, Asp N.G, Oste R Dahlqvist A and Fredlund P.E. (1979) Effect of dietary fiber on the induction of colorectal tumors and fecal $\beta$ -glucuronidase activity in the rat. Cancer Research. 39: 3752-3756 

  23. Takada H, Hirooka Y and Yamamoto M. (1982) Effect of $\beta$ -glucuronidase inhibitor on azoxymethane-induced colonis carcinogenesis in rat, Cancer Research. 42: 331-334 

  24. Hawksworth G, Drasar B.S and Hill M.J. (1971) Intestinal bacteria and the hydrolysis of glycosidic bond, J.Med.microbiol. 4: 451-459 

  25. Cole C.B, Fuller A.K and Rowland I.R. (1985) The influence of the host on expression of intestinal microbial enzyme activity involved in metabolism of forreign compound. J.Appl.Bactriol. 59: 549-553 

  26. Gadelle D, Raibud P and Sacquet E. (1985) $\beta$ -glucuronidase activities of intestinal bacteria determined both in vitro and in vivo in gnotobiotic rat. App.Envir.Microbiol. 49: 682-685 

  27. Fujisawa T and Mori M. (1996) Influence of bile salts on aglucuronidase activity of intestinal bacteria. Letter in Appl. Microbiol. 22: 271-274l 

  28. Whitehouse M.W, Macrides T.A, Kalafatis N, Betts W.H, Haynes D.R and Broadbent J. (1997)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 lipid fraction (Lyprinol) from the NZ Greenlipped Mussel. Inflammophamacology. 5: 237-246 

  29. Steele V.E, Holmes C.A, Hawk E.T, Kopelovich L, Lubet R.A, Crowell J.A, Sigman C.C and Kelloff G.J. (1999) Lipoxygenase inhibitors as potential cancer chemopreventives.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8: 467-483 

  30. Gunning W.T, Kramer P.M, Steele V.E and Pereira M.A. (2002) Chemoprevention by lipoxygenase and leukotriene pathway inhibitors of vinyl carbamate-induced lung tumors in mice. Cancer Res. 62: 4199-4201 

  31. Ghosh J and Myers C.E. (1999) Central role of arachidonate 5-lipoxygenase in the regulation of cell growth and apoptosis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Adv. Exp. Med. Biol. 469: 577-58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