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식염 고추장 양조시 항균물질 혼합첨가의 영향
Effect of Combined Use of various Anti-microbial Materials on Brewing of Low Salted Kochujang 원문보기

한국응용생명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0 no.4, 2007년, pp.287 - 294  

박선주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동한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금농도를 9%에서 6%로 줄이고 항균물질로 알코올과 겨자, 키토산을 혼합첨가 하여 제조한 저식염 고추장의 숙성중의 효소활성도와 미생물상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숙성 중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식염 9%인 대조구에서 심하였고, 숙성 중에 효모수는 증가하였으나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로 효모수를 조절할 수 있었다. 고추장 숙성 중 ${\beta}-amylase$ 활성은 항균물질 첨가시 증가하였으나 ${\alpha}-amylase$protease 활성은 조금 감소하였다. 고추장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L차 a-, b-값이 증가하였으며 알코올 첨가 고추장이 $({\Delta}E)$값의 변화가 적었다. 적정산도는 항균물질의 첨가로 숙성 후기에 저하되었으며, 산화환원전위의 저하는 대조구에서 심하였다. 고추장 숙성 중 총당의 감소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에서 적어 환원당량이 많았으며, 숙성 후기의 알코올의 생성은 알코올에 키토산을 혼합 첨가한 고추장(EC)에서 높았다. 고추장 숙성 중기까지 아미노태 질소는 증가하였고, 숙성중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은 알코올-겨자-키토산 혼합 첨가구(EMC)에서 적었다. 12주 숙성된 고추장을 관능 평가한 결과 색과 향기에서 알코올(E) 또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가 좋아 저식염 고추장 제조시 알코올 또는 알코올-겨자를 혼합 첨가하는 것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양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 of combined use of anti-microbial materials, such as ethanol, mustard and chitosan, on the quality of low salted kochujang was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at $20^{\circ}C$ for 12 weeks. Viable cells of yeast increased remarkably during fermentation, but increasing ratio was 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발효특성2。) 에 이어서 저식염 고추장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이들 항균물질을 첨가농도와 혼합비를 달리하여 첨가하고, 숙성 중의 발효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 고추장. 고추장 제조는 찹쌀가루에 엿기름과 물을 혼합하여가 열 호화시킨 후 식염농도 9%인 일반고추장을 대조구로 하였다. 저식염 고추장은 식염농도를 6%로 줄인 후 식염의 일부를 알코올(4%), 알코올에 겨자(1%) 또는 키토산(1%)을 혼합하거나 알코올에 겨자와 키토산을 각각 0.
  • (lightness), "redness), b(yellowness)값과 AE = (Lo-L|)2+(a0- al)2+(b0-bl)2]l/2 값으로 표시하였다. 고추장의 산화환원전위는고추장을 2배로 희석한 후 ORP-metei(Orion525A+, USA)를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수분활성도는 Rotronic ag hygroskop(BT- RS1, Swis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생균수. 생균수 측정은 고추장 1g을 멸균 생리식염수로 10 진법에 따라 희석한 후 전보18)와 같이 호기성 세균은 tryptic soy agar, 통성 혐기성 세균은 APT agar에 평판 도말한 후 1.5% agar를 덮어 중층하였고, 효모는 rose bengal agar 배지를사용하여 평판 도말법으로 301에서 1-3일간 배양한 후 계수하였다.
  • 고추장 제조는 찹쌀가루에 엿기름과 물을 혼합하여가 열 호화시킨 후 식염농도 9%인 일반고추장을 대조구로 하였다. 저식염 고추장은 식염농도를 6%로 줄인 후 식염의 일부를 알코올(4%), 알코올에 겨자(1%) 또는 키토산(1%)을 혼합하거나 알코올에 겨자와 키토산을 각각 0.8% 혼합첨가하고, 나머지 원료는 Table 1과 같이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을 5 /의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20℃에서 12주간 숙성시켰다.

대상 데이터

  • 재료. 고추장 제조에 사용한 찹쌀과 대두, 고춧가루, 엿기름은 농협 하나로마트에서 구입하였으며, koji는 토박이순창식품 (주)에서 제조한 밀가루 koji를 이용하였다. 식염은 재제염(NaCl 88%, 오복), 알코올은 무수알코올(순도 99.
  • 고추장 제조에 사용한 찹쌀과 대두, 고춧가루, 엿기름은 농협 하나로마트에서 구입하였으며, koji는 토박이순창식품 (주)에서 제조한 밀가루 koji를 이용하였다. 식염은 재제염(NaCl 88%, 오복), 알코올은 무수알코올(순도 99.8%, Merck), 겨자는 분말 겨자(겨자 100%, 오뚜기), 키토산은 탈아세틸화도 82.2% 이상인 키토산 분말(10 cp, 바이오테크)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관능검사. 12주간 숙성시킨 고추장에 대하여 20명의 panel을대상으로 맛, 향기, 색과 종합적인 기호도 4가지 항목을 최고 7점에서 최저 1점으로 7단계 평점하게 하여 얻은 성적을 SAS packagee로 분산분석을 하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의해 통계 처리하였다.

이론/모형

  • 2로 여과한 것을 조효소액으로 하였다. 효소활성도는 a-amylase의 경우 Fuwa의 blue value 변법"에 준하여 측정한 후 활성도는 반응 10분 전후의 흡광도 차이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표시하였고, p-amylasee 고추장 1 g에서 1시간 반응 후 생성되는 환원당을 DNS법으로 정량하여 glucose량(|imole)2로, protease는 Anson 등의 방법a)에 준하여 pH 3.0, 7.2(편의상 산성, 중성 protease 로 함)로 구별하여 측정한 후 고추장 1 g에서 30분에 생성하는 tyrosine량(μmole)으로 활성도를 나타냈다.
  • 일반성분. 고추장의 일반성분은 기준미증분석법23)준하여 수분은 1051 건조법, 식염은 Mohr법, pH는 시료 10g을 동량의 증류수로 희석하여 pH-meter로 직접 측정하였고, 적정산도는 pH를 측정한 시료에 0.1 N NaOH를 가하여 pH 8.3이 될 때까지 적정하여 그 소비 m/수로 표시하였다. 총당은 가수분 해후 환원당과 같이 Somogyi변법으로, 알코올은 산화법, 아미노태질소는 Formol적정법, 암모니아태질소는 Folin법으로 정량하였다.
  • 3이 될 때까지 적정하여 그 소비 m/수로 표시하였다. 총당은 가수분 해후 환원당과 같이 Somogyi변법으로, 알코올은 산화법, 아미노태질소는 Formol적정법, 암모니아태질소는 Folin법으로 정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ee, T. S. (1979) Studies on the brewing of kochujang (red papper paste) by the addition of yeasts. J. Korean Agri. Chem. Soc. 22, 65-90 

  2. Cho, H. O., Kim, J. G., Lee, H. J., Kang, J. H. and Lee, T. S. (1981) Brewing method and composition of traditional kochujang (red pepper paste) in junrabook-do area. J. Korean Agric. Chem. Soc. 24, 21-28 

  3. Cho, H. O., Park, S. A. and Kim, J. G. (1981) Effect of traditional and improved kochujang koji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319-327 

  4. Choi, J. Y., Lee, T. S. and Noh. B. S.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chujang prepared with mixture of meju and koj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25-131 

  5. Oh, H. I., Shon, S. H. and Kim, J. M.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prepared with Aspergillus oryzae, Bacillus licheniformis and Saccharomyces rouxi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57-363 

  6. Lee, J. M., Jang, J. H., Oh, N. S. and Han, M.S. (1996) Bacterial distribution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60-266 

  7. Jung, Y. C., Choi, W. J., Oh, N.S. and Han, M. S. (1996) Distribu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yeasts in traditional and commerci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53-259 

  8. Lee, K. S. and Kim, D. H. (1985) Trial manufacture of lowsalted kochujang (red pepper soybean paste) by the addition of alcohol.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146-154 

  9. Kwan, D. J., Jung, J. W., Kim, J. H., Park, J. Y., Yoo, J. Y., Koo, Y. J. and Chung, K. S. (1996) Studies on establishment of optimal aging time of Korean traditional kochujang. Agric. Chem. Biotech. 39, 127-133 

  10. Yeo, Y. K. and Kim, Z. U. (1978)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processing conditional of Ko-Choo-Jang (red pepper paste). J. Korean Agric. Chem. Soc. 21, 16-21 

  11. Kim, Y. S., Cha, J., Jung, S. W., Park, E. J. and Kim, J. O. (1994)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new quality indices for industry-produced koji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453-458 

  12. Moon, T. W. and Kim, Z. U. (1988) Some chemical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of kochujang from various starch sources. J. Korean Agric. Chem. Soc. 31, 387-393 

  13. Shin, D. H., Kim, D. H., Choi, U., Lim, M. S. and An, E. Y. (199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7-912 

  14. Kim, Y. S. (1993) Studies on the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Ph. D. thesis, University of King Sejong, Seoul, Korea 

  15. Oh, J. Y., Kim, Y. S. and Shin, D. H. (2002)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w-salted kochujang with natural preservative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35-841 

  16. Yamamoto, Y., Higashi, K. and Yoshii, H. (1984)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on food spoilage bacteria.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1, 531-535 

  17. Kim, D. H. and Lee, J. S. (2001) Effect of condimen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53-360 

  18. Kim, D. H. and Yang, S. E. (200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 salted kochujang prepared with sub-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7-104 

  19. Shin, D. H., Ahn, E. Y., Kim, Y. S. and Oh, J. A. (200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containing horseradish or mustard.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50-1357 

  20. Kim, D. H. (2005)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 salted kochujang prepared with mixture of sub-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49-455 

  21. Fuwa, H. A. (1954) A new method for microdetermination of amylase activity by the use of amylose as the substrate. J. Biochem. 41, 583-588 

  22. Anson, M. L. (1938) Estimation of pepsin, trypsin, papain and cathepsin with hemoglobin. J. Gen. Physiol. 22, 79-89 

  23. Institute of Miso Technologists. (1968) Official methods of miso analysis Tokyo, Japan. pp. 1-34 

  24. SAS Institute. (1992)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itute, Cary, NC, USA 

  25. James, M. J. (2000) Modern Food Microbiology (6th ed.) APAC. Nevada, USA. pp. 45-47 

  26. Kim, D. H., Yook, H. S., Youn, K. C., Sohn, C. B. and Byun, M.W. (2001) Changes of microbiological and gener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kochujang (fermented hot pepper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72-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