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균물질을 첨가한 저식염 된장의 저장성
Effects of Anti-Microbial Materials on Storages of Low Salted Doenja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1, 2013년, pp.1864 - 1871  

김정례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연경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동한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된장에 알코올 또는 겨자, 마늘을 단독 또는 혼합 첨가하고 식염농도를 6%로 줄인 저식염 된장의 저장중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된장의 amylase 활성은 저장 중에 서서히 저하되었으나 protease의 활성은 저장 4주 이후에 감소되었다. 된장의 효모수는 겨자나 알코올의 첨가로 저장 중에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세균수의 차이는 없었다. 된장의 산화 환원전위는 저장 8~12주까지 증가하였으며,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식염 10%인 대조구와 메주된장에서 심하였다. 된장은 저장중 L-과 b-값이 서서히 저하되었고 a-값은 증가하였으며, 마늘의 첨가로 저장 중에 색도의 변화가 적었다. 저식염 된장에 알코올이나 겨자의 첨가로 저장 중에 가스발생은 억제되었으며, 된장 저장중 pH는 알코올 첨가구에서 높아 적정산도가 낮았다. 된장의 산가는 저식염 된장에서 높았으나 알코올-마늘 혼합 첨가구에서 낮았다. 항균물질의 첨가로 된장 저장중의 환원당은 높았으나 알코올은 겨자 첨가구에서 감소가 심하였다. 아미노산성 질소는 알코올 첨가구에서 감소가 심하였고 암모니아성 질소는 알코올과 겨자 첨가구에서 낮았다. 16주 저장시킨 된장의 맛과 향기, 종합적인 기호도는 알코올 또는 마늘을 첨가한 저식염 된장이 양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additives on the quality of low salted doenjang was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mylase activity gradually decreased during storage and protease activity decreased after four weeks. The number of yeast was lower in the mustard or ethanol added groups without a difference in bacter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된장 담금 시 식염의 일부를 알코올이나 마늘, 겨자의 단독 또는 혼합 첨가로 대체하여 제조한 저식염 된장의 숙성중의 품질 특성(18)에 이어서 숙성된 된장을 포장하여 30℃에서 저장하면서 가스발생과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여 이들 항균물질이 저식염 된장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염식 된장 제조 시, 소금의 농도를 줄이는 대신 부원료로 첨가할 수 있는 것은? 최근에는 소금의 과잉섭취가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장류 등 발효식품 제조에도 소금의 농도를 낮추려는 저식염화에 관한 연구(8,9)가 시도되고 있으나 소금농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숙성・저장 과정에서 미생물의 증식에 의한 이상발효로 가스발생 등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된장 제조 시 소금 농도를 줄이면서 항균활성이 있는 알코올(10)이나 마늘(11), 겨자(12) 등을 부원료로 첨가하면 숙성・저장 중에 이상발효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저식염 된장의 제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저식염 된장의 숙성・저장에 항균활성이 있는 알코올과 마늘, 겨자 등을 첨가하고 이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다.
저장 중 된장의 pH를 관찰한 결과, 저장 중기에 pH가 저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적정산도가 감소하였던 이유는 무엇인가? 2 mL/10 g이었으나, 알코올 첨가 된장은 산도 변화가적어 대조구나 메주된장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한편 저장중기에 pH가 저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적정산도가 감소하였던 이유는 이 기간에 완충능이 있는 아미노산성질소 등이 감소되고 생성된 유기산의 일부가 알코올과 ester화되었기 때문이며, 저장중 지나친 산도의 감소는 유해균이 증식할 가능성이 있다. 적정산도의 변화를 Table 2의 미생물상과 비교하여 보면 된장 저장중 적정산도의 증가는 세균보다는 효모 증식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된장 제조 시, 소금의 농도를 낮추는 저식염화 시도 시 나타나는 문제점은? 최근에는 소금의 과잉섭취가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장류 등 발효식품 제조에도 소금의 농도를 낮추려는 저식염화에 관한 연구(8,9)가 시도되고 있으나 소금농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숙성・저장 과정에서 미생물의 증식에 의한 이상발효로 가스발생 등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된장 제조 시 소금 농도를 줄이면서 항균활성이 있는 알코올(10)이나 마늘(11), 겨자(12) 등을 부원료로 첨가하면 숙성・저장 중에 이상발효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저식염 된장의 제조가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ee KI, Moon RJ, Lee SJ, Park KY. 2011. The quality assessment of doenjang added with Japanese apricot, garlic and ginger, and samjang.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472-477. 

  2. Jung BM, Roh SB. 2004. Physicochemical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green tea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32-139. 

  3. Park JS, Lee MY, Kim JS, Lee TS. 1994. Compositions of nitrogen com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09-615. 

  4. Kim SH, Kim ST, Kim BH, Kang SK, Jung ST. 2000. Fermentation of doenjang prepared with sea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65-1370. 

  5. Park SK, Seo KI, Shon MY, Moon JS, Lee YH.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me-made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Korean J Soc Food Sci 16: 121-127. 

  6. Joo HK, Oh KT, Kim DH. 1992. Effects of mixture of improved meju, Korean traditional meju and natto on soybean paste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5: 286-293. 

  7. Eum BW, Kwak BY, Kim SY, Shon DH, Lee KH. 2003. Enhancement of chitooligosaccharides in doenjang (soybean paste) and kanjang (soybean sauce) using Bacillus subtilis koji and Rhizopus oryzae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91-296. 

  8. Hong CX, Katoh H. 1993. On the quality of soy sauce made by Chinese method of low salt-solid fermentation - Evaluation by analytical data -. J Brew Soc Japan 88: 811-817. 

  9. Mok CK, Song KT, Lee JY, Park YS, Lim SB. 2005. Changes in microorganisms and enzyme activity of law salt soybean paste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Food Engin Prog 9:112-117. 

  10. Yamamoto Y, Higashi K, Yoshii H. 1984.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on food spoilage bacteria. Part II. Studies on growth inhibition of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for low salt food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1: 531-535. 

  11. Kim DH, Lee JS. 2001. Effect of condiment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53-360. 

  12. Han SM, Kim DH. 2008. Effect of combined use of anti-microbial materials on storage of low salted kochujang.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281-287. 

  13. Kim ND. 1996. Study on the browning and it′s inhibition in soybean paste (doenjang). PhD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14. Kwak EJ, Lim SI. 2003. Effect of addition time of antibrowning agents on browning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495-500. 

  15. Lee SK, Kim ND, Kim HJ, Park JS. 2002. Development of traditional doenjang improved in colo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00-406. 

  16. Lee KY, Kim HS, Lee HG, Han O, Chang UJ. 1997.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Kochujang through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analyse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588-594. 

  17. Kim JS, Choi SH, Lee SD, Lee KH, Oh MJ. 1999. Quality changes of sterilized soybean paste during its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69-1075. 

  18. Lee S, Kim DH. 2012.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salted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92-599. 

  19. Kim GT, Hwang YI, Lim SI, Lee DS. 2000. Carbon dioxide production and quality changes in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nd hot pepper-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807-813. 

  20. Institute of Miso Technologists. 1968. Official methods of miso analysis. Tokyo, Japan. p 1-34. 

  21. Fuwa HA. 1954. A new method for microdetermination of amylase activity by the use of amylose as the substrate. J Biochem 41: 583-603. 

  22. Anson ML. 1938. Estimation of pepsin, trypsin, papain and cathepsin with hemoglobin. J Gen Physiol 22: 79-89. 

  23. James MJ. 2000. Modern Food Microbiology. 6th ed. APAC Publishers, NV, USA. p 45-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