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장교 케이블 진동저감을 위한 능동제어시스템
Active Control System for Mitigation of Cable Vibration in Cable-Stayed Bridges 원문보기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20 no.5, 2007년, pp.557 - 563  

황인호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철오 (한라산업개발(주)) ,  이종한 (한양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이종세 (한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장교 케이블은 구조적으로 휨강성과 감쇠력이 작아 풍우에 의해 쉽게 유해진동이 발생한다. 이러한 풍우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부가댐퍼를 장착하여 케이블의 감쇠력을 증가시키는 제어시스템이 널리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댐퍼를 케이블의 정착부 부근에 설치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충분한 감쇠력을 발휘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수동제어시스템 보다 효과적으로 풍하중에 의한 케이블 진동을 제어하기 위한 능동제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능동제어시스템은 케이블의 정착단에 베어링 장치를 장착하여 케이블 단부에서 횡방향 변위가 가능하도록 모델링 하였으며, 앵커리지 내부에 장착된 능동댐퍼를 이용하여 적절한 제어력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능동제어를 위하여 최적제어 이론을 이용 LQG 조정기를 설계하였으며, 수치해석은 실제 교량인 서해대교의 최장 케이블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의 댐퍼 시스템과 수동, 능동 댐퍼 부착에 따른 케이블의 진동제어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제안된 능동제어시스템은 효과적으로 사장교 케이블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시스템임을 입증하였으며, 기존의 부가댐퍼 시스템 보다 효과적으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in-wind induced cable vibration can cause serious problems in cable-stayed bridge. External dampers attached to the cables have become widely accepted as an effective means for stay-cable vibration suppression. For very long stay-cables, however, such damper systems are rendered ineffective, a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사장교 케이블의 효과적인 진동제어를 위한 능동제어시스템을 제안하고, 무차원 변수를 사용하여 모델링하였다. 능동제어를 최적 Feedback 제어 이론을 이용하여 LQ 조정기와 칼만 상태 추정기를 병합하여 만든 LQG 조정기를 설계하여 사용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사장교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케이블의 감쇠율을 확보하며 기존 제어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효과적인 제어성능을 가진 능동제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케이블 정착부에 적층고무베어링과 같은 유동이 가능한 장치와 구조물의 진동 응답에 따라 외부에서 제어력을 공급하여 구조물의 진동제어가 효과적으로 가능한 능동댐퍼로 구성된 사장교 케이블 능동제어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상태-공간방정식을 이용하여 능동제어시스템 행렬을 구하였다.

가설 설정

  • 여기서 甲。)는 E[ W{t)W{t+ r)] = 5(r)인 Zero-mean Gaussian White Noise로 가정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풍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분포하중 /(X, £)을 다음과 같이 1차 모드로 가정하였다.
  • 분석하였다. 기존 부가댐퍼시스템의 댐퍼 부착 위치( %疽는。이로 가정하였으며, 제안된 시스템은 시스템 변수( 祯丄)를 0〕로 가정하였으며, 이때 적층 고무 베어링의 전단강성은 2.6xl04N/m이고 댐핑계수는 5.6X 104N . s/m으로 케이블 장력에 의한 압축력과 좌굴에 충분히 저항하도록 설계하였다.
  • 능동제어를 최적 Feedback 제어 이론을 이용하여 LQ 조정기와 칼만 상태 추정기를 병합하여 만든 LQG 조정기를 설계하여 사용하였다. 제안된 능동제어 시스템의 제어성능 및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풍하중을 가정하고, 실제 교량인 서해대교의 최장케이블을 대상으로 동적거동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풍하중에 의한 초기 거동은 제안된 시스템에서 다소 높게 발생하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존의 부가댐퍼 시스템에 비하여 수동제어시스템의 경우는 50%, 능동제어시스템의 경우는 75%정도 향상된 진동제어성능을 발휘였다.
  • 제안된 사장교 케이블 진동제어시스템의 동적해석을 위해 상태 공간방정식 (State-Space Equation)을 유도하였으며, 외력인 풍하중을 가정하였다. 식 (10)으로부터 제안된 사장교 케이불 진동제어 시스템의 선형 상태공간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안상섭, 정운용 (2001) 특수 교량 케이블 부재의 진동 저감 기준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도로공사 도로연구소, 도로연01-32 

  2. 황인호, 이종세 (2006) 사장교의 케이블 진동저감을 위한 수동 제어시스템,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26 (5), pp.881-885 

  3. Irvine, H. M. (1981) Cable Structures, MIT Press, Cambridge. Mass 

  4. Johnson, E. A., Spencer, B. F., Jr., Fujino, Y. (1999) Semi active Damping of Stay Cables: a Preliminary Study. Proc. 17th Int. Modal Analysis Conf, Society for Experimental Mechanics, Inc., Bethel, Conn., pp.417-423 

  5. Kovacs, I. (1982) Zur Frage der Seilschwingungen und der Seildampfung. Die Bautechnik. 10, pp. 325-332, (in German) 

  6. Krenk, S. (2000) Vibrations of a Taut Cable with an External Damper. J. Applied Mech., ASME, 67, pp.772-776 

  7. Main, J. A., Jones, N. P. (1999) Full-Scale Measurements of Stay Cable Vibration. In Larsen. Larose, and Livesey(eds.), Wind Eng. into the 21st Century, Balkema, Rotterdam, pp.963-970 

  8. Main, J. A., Jones, N. P. (2002) Free Vibrations of Taut Cable with Attached Damper. I: Linear Viscous Damper. J. Eng. Mech., 128(10), pp.1062-1071 

  9. Pacheco, B. M., Fujino, Y., Sulekh, A. (1993) Estimation Curve for Modal Damping in Stay Cables with Viscous Damper. J. Struct. Eng., ASCE, 119(6). pp.1961-1979 

  10. Watson, S. C., Stafford, D. (1988) Cables In Trouble. Civil Eng., ASCE, 58(4), pp.38-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