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가루 첨가량에 따른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Made with Yam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3 no.6, 2007년, pp.884 - 890  

이정애 (계명문화대학 식품영양조리과) ,  박금순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민소득의 향상과 함께 소비자의 고품질 식품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마를 이용한 젤리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기계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마젤리의 pH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마 가루 첨가량에 따라 약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점도는 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흡광도는 마를 첨가할수록 높아져 투명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마젤리의 색도는 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되었으며 b값은 증가하였다. Texture는 마 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력성과 씹힘성이 낮아졌으며 응집성은 증가되었다. 관능검사에서 매끈한 정도는 대조군이 6.60으로 가장 높았으며 마 가루 첨가 젤리군에서는 마 가루 2g 첨가 젤리가 가장 높았으며 깔끔한 맛에서도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외관의 기호도는 대조군이 6.10, 마 가루 2g 첨가 젤리가 5.70, 마 가루 4 g 첨가 젤리 4.80이 나타났으며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마 가루 2 g 첨가 젤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마 가루 4 g 첨가 젤리가 높게 나타났다. 마젤리의 이화학적 및 기계적 특성검사, 기호도 검사결과 마를 이용한 젤리 제조시 마 가루$2{\sim}4$ g 첨가가 가장 적정한 양으로 유도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ng various concentration of yam powder (Y0:0g, Y1:2g, Y2:4g, Y3:6g, Y4:8g, Y5:10g)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lly. The pH of the samples ranged from 5.61 to 5.70, and this pH range was stable. As for the v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부드러운 감촉과 씹기 쉽고 삼키기 쉬워 유아나 노약자용 식품으로의 개발도 가능하다(Lyu HJ 와 Oh MS 2002), 젤리에 관한 연구로는 carrageenan을 첨가한 젤리와 몰드 샐러드 제조에 관한 연구(Paik JE 등 1996), 펙틴을 이용한 과즙젤리(Choi JY 등 1994), 오미자 추출액을 이용한 젤리 제조에 관한 연구(Kim JE 과 Chun HJ 1990), 버섯을 이용한 젤리의 품질특성에 대한 연구(Jung GT 등 2001), 녹용 첨가에 따른 망고젤리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에 대한 연구(Eun YR 등 2005), 유지 및 키토산 첨가에 의한 다양한 전분으로 제조한 오미자 젤리의 품질특성(Lyu HJ 와 Oh MS 2005), 난소화성 전분젤리 의 품질 특성에 대한 연구(Kang NE 등 2006), 누에분말(Kim AJ 등 2006a), 뽕잎분말(Kim AJ 등 2006b), 오디 분말(Kim AJ 등 2007a), 동충하초 분말(Kim AJ 등 2007b)을 첨가하여 젤리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을 연구한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지향적인 식품소재로 효능을 지닌 마를 이용한 젤리를 제조함으로써 유아 및 학생 뿐만 아니라 노년층들의 간식이나 후식으로서의 이용도를 높혀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육창수. 1972. 본초학. 고문사. 서울. P 154 

  2. Choi IS, Lee LS, Koo SJ. 1992. Study on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Dioscorea batatas decaisne starch. Korean J Soc Food Sci 8(1):57-63 

  3. Choi JY, Song ES, Chung HK. 1994. A study of texture properties and preferences of fruit pectin jelly. Korean J Dietary Culture 9(3): 259-266 

  4. Chun HJ. 1995. Influence of carrageenan addit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omija extract jelly. Korean J Soc Food Sci 11(1): 33-36 

  5. Eun YR, Choi BS, Park GS. 2005.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ngo-jelly added with antler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1(6): 859-866 

  6. Heo HY, Joo NM, Han YS. 2004. Optimization of jelly addition green tea powder using 0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0(1): 112-118 

  7. Jung GT, Ju IO, Choi JS, Choi YK. 2001. study on preparation and quality of jellies using mushrooms. Korean J Food & Nutr 14(5): 405-410 

  8. Kang NE, Lee IS, Cho MS. 200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resistant starch. Korean J Food & Nutr 19(4): 532-538 

  9. Kim AJ, Yuh CH, Bang IS, Park SH. 2000.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jelly with silkworm powder. J East Asian Soc Life 16(3): 308-314 

  10. Kim AJ, Yuh CH, Bang IS, Woo KJ. 2006b. Study on preparation and quality of jelly using mulberry leaf powder. Korean Food Cookery Sci 22(1): 56-61 

  11. Kim AJ, Yuh CH, Bang IS. 2007b.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dongchunghacho jelly with assorted increments of psecilomyces jaonica powder. Korean J Food & Nutr 20(1): 40-46 

  12. Kim AJ, Yuh CH, Bang IS, Park HY, Lee GS. 2007a. An investigation the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ddi jelly using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 Nutr 20(1): 27-33 

  13. Kim HS. 1993.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with doughnut of yam(dioscorea batatas) in Korea. Korean J Soc Food Sci 9(2): 74-77 

  14. Kim IH, Son HJ, Chung KM. 2006. Viscosity of yam suspension by drying methods and additives. Korea J Food Sci Technol 38(3): 444-447 

  15. Kim JE, Chun HJ. 1990. A study on making jelly with omija extract. Korean J Soc Food Sci 6(3): 17-24 

  16. Lee TH, Lee YH, Yoo MS, Rhee KS. 1991. Instrument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lly. Korean J Food Sci Technol 23(3): 336-340 

  17. Lim SJ, Kim PJ. 1995. Development of recipe for preparations of dioscorea japonia thumb and their hypoglycemic effects on diabetes mellitus patients. Korean J Soc Food Sci 11(3): 267-273 

  18. Lyu HJ, Oh M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jelly prepared with various starch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5): 534-542 

  19. Lyu HJ, Oh M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jelly prepared with various starches by the addition of oil and chitosan. Korean J Food Cookery Sci 21(6): 877-887 

  20. Oh Y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now crab cream soup with yam and potato as a thickening agents. The Korean J of Culinary Research 13(1): 112-118 

  21. Paik JE, Joo NM, Sim YJ, Chun HJ. 1996. Studies on making jelly and mold salad with grape extract. Korean J Soc Food Sci 12(3): 291-294 

  22. Park BH, Cho H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 made with dioscores japonica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2): 173-180 

  23. Park SH, Joo NM. 2006. Optimization of jelly with addition of moranda citrifolia(noni)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2(1): 1-11 

  24. Seog HM, Park YK, Nam YJ. 1990.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tato yam(D. bulbifera) starches. Korea J Food Sci Technol 22(7): 753-761 

  25. Shin SR. 2004.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yam snack by processing method. Korean J of Food Preserv 11(4): 516-521 

  26. Sim YJ, Paik JE, Joo NM, Chun HJ. 1995. Influence of Carrageenan and Pectin addition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Omija Extract Jelly. Korean J Food Cookery Sci 11(4): 362-3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