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역할, 접근성, 그리고 젠더화된 공간성
Gender Roles, Accessibility, and Gendered Spatiality 원문보기

대한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42 no.5, 2007년, pp.808 - 834  

김현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젠더차별적인 접근성 경험의 다양한 측면들을 규명하고자 한다. 사회적으로 구축된 성역할이 어떻게 남성과 여성간의 접근성 경험을 다르게 만드는가를 특히 자녀를 가진 맞벌이부부의 비교를 통해 다루었다. 미국 Portland 지역의 개인통행데이터 및 시간지리학에 토대를 둔 시 공간 접근성의 GIS기반 지오컴퓨테이션 결과를 이용해 경험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성평등적인 사회로 변하고 있다는 일반적 기대와는 달리 가정 내 성별 분업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성역할이 여성과 남성의 접근성 경험을 차별적으로 구조화하는 방식과 그러한 접근성 경험이 다시 젠더화된 공간성의 형태를 띠게 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젠더화된 공간성, 특히, 집-중심적이고 공간적으로 제한적인 여성의 특징을 활동공간 및 접근성공간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 양자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남성 배우자보다 많은 가사 부담과, 더 중요하게는, 퇴근 후 탁아시설/학교에 가서 자녀를 데려오는 행위의 시간적 제약이 여성의 가능한 활동공간을 보다 집 근처로 제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접근성 공간의 시공간적 맥락 분석은 젠더화된 공간성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행위결과는 개인이 직면하고 있는 제약들에 대한 명확한 인식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실현된 활동공간은 제약의 산물일 수도 있지만, 또한 선택의 결과물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행위결과를 제약수준의 직접적인 표현으로 취급해서는 안 된다. 행위결과가 제약수준을 그대로 반영한다는 기대나, 발현된 결과로부터 제약수준을 그대로 유추해낼 수 있다는 가정은 문제가 있다.공간의 생산 및 재생산을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한국 정부는 주택시장 관리 체제 및 제도 하에서 '스케일 도약(jumping scales)' 구체적으로 '스케일 하강'을 통해 여러 지리적 스케일에서의 주택 공간 생산 및 재생산에 대한 헤게모니를 가지게 되었다. 한국 정부는 주택 개발에 대한 다스케일적(multiscalar) 정책을 사용함과 동시에 중앙 정부, 지방 자치단체, 정부 산하 주택 관련 기관, 그리고 한국 다국적 기업(재벌) 간의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제도적 네트워킹을 통해 '스케일 도약' 능력을 점점 더 획득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지리적 스케일은 분석의 공간 단위 또는 범주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지리적 스케일은 사회적 내포(social inclusion), 사회적 배제(social exclusion), 정당화(legitimation)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사회적으로 그리고 정치적으로 연대할 또는 배제할 기관 또는 조직을 선택하는 것 자체가 조직 네트워킹시의 공간적 스케일의 선택과 범위의 결정을 수반하며, 이는 '정치의 스케일 공간성(scale spatiality politics)'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다양한 형태의 '규제의 스케일'을 전개해 온 한국 정부는 정부의 주택 개발 논리의 정당화를 위해 재벌, 고소득층, 중산층을 의사결정 과정에 포함시켰으나, 국지적 스케일에서의 서민 조직들과 사회소외계층을 의사결정 과정으로부터 제외시켰다.위축 등, 전형적인 세포예정사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세포의 괴사도 일부 확인되었으나 그다지 현저하지 않았으며, apoptotic body와 함께 대식세포가 산재되어 있었다. 방사선(X-선)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elucidate manifold dimensions of gendered accessibility experiences. How gender roles(household responsibilities) differentiate accessibility experiences between women and men is explored through the comparison of married dual-earner couples' parental status, using the US Port...

주제어

참고문헌 (26)

  1. Bums, L.D., 1979, Transportation, Temporal, and Spatial Components of Accessibility, Lexington Books, Lexington, MA 

  2. Dijst, M. and Vidakovic, V., 2000, Travel time ratio: the key factor of spatial reach, Transportation, 27(2), 179-199 

  3. England, K., 1988, Gender Relations and the Suburbanization of Clerical Work, Ph.D.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4. England, K., 1996, Mothers, wives, workers: the everyday lives of working mothers, in England, K.(ed.), Who Will Mind the Baby?, Routledge, London, 109-122 

  5. Hagerstrand, T., 1970, What about people in regional science?, Papers of the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4, 7-21 

  6. Hanson, S. and Pratt, G., 1990, Geographic perspectives on the occupational segregation of women, National Geographic Research, 6(4), 376-399 

  7. Hanson, S. and Pratt, G., 1995, Gender, Work and Space, Routledge, New York 

  8. Johnston-Anumonwo, I., 1992, The influence of household type on gender differences in work trip distance, Professional geographer, 44(2), 161-169 

  9. Kim, H.M. and Kwan, M.P., 2003, Space-time accessibility measures: a geocomputational algorithm with a focus on the feasible opportunity set and possible activity duration,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5(1), 71-91 

  10. Kim, H.M., 2005a, Recovery of temporal dimension in measuring space-time accessibility: a GIS-based geocomputational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8(2), 157-176 

  11. Kim, H.M., 2005b, A GIS-based analysis of spatial patterns of individual accessibility: a critical examination of spatial accessibility measure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0(5), 514-532 

  12. Kwan, M.P., 1998, Space-time and integral measures of individual accessibility: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a point-based framework, Geographical Analysis, 30(3), 191-216 

  13. Kwan, M.P., 1999a, Gender and individual access to urban opportunities: A study using space-time measures, Professional Geographer, 51(2), 210-227 

  14. Kwan, M.P., 1999b, Gender, the home-work link, and space-time patterns of non-employment activities, Economic Geography, 75(4), 370-394 

  15. Kwan, M.P., 2000, Gender differences in space-time constraint, Area, 32(2), 145-156 

  16. Miller, H.J., 1991, Modelling accessibility using spacetime prism concepts with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5(3), 287-301 

  17. Nelson, K., 1986, Labor demand, labor supply, and the suburbanization of low wage office work, in Scott, A.J. and Storper, M.(eds.), Production Work and Territory, Allen and Unwin, Boston, 149-171 

  18. Palm, R. and Pred, A., 1974, A time-geographic perspective on problems of inequality for women, Working Paper No.236,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ley, Institute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Berkeley, CA 

  19. Pickup, L., 1984, Women's gender-role and its influence on their travel behaviour, Built Environment, 10, 61-68 

  20. Tivers, J., 1985, Women Attached: The Daily Lives of Women with Young Children, Croom Helm, London 

  21. Tivers, J., 1988, Women with young children: Constraints on activities in the urban environment, in Little, J., Peake, L., and Richardson, P.(eds.), Women in the Cities: Gender and the Urban Environment, New York University Press, New York, 84-97 

  22. Turner, T. and Niemeier, D., 1997, Travel to work and household responsibility: new evidence, Transportation, 24(4), 397-419 

  23. Turner, J. and Grieco, M., 2000, Gender and time poverty: the neglected social policy implications of gendered time, transport and travel, Time & Society, 9(1), 129-136 

  24. Villoria, O.G., 1989, An Operational Measure of Individual Accessibility for Use in the Study of Travel-Activity Patterns, Ph.D.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25. Weber, J., 2001, Evaluating the Effects of Context and Scale on Individual Accessibility: a Multilevel Approach, Ph.D.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26. Weber, J. and Kwan, M.P., 2002, Bringing time back in: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ravel time variations and facility opening hours on individual accessibility, Professional Geographer, 54(2), 226-2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