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성, 연령, 기질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 발달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Gender, Age, Temperament, Mothers' Emotionality, and Emotional Development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5 no.2 = no.228, 2007년, pp.133 - 145  

안라리 (광양보건대학 유아교육과) ,  김희진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emotional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in children ages three to fiv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the children such as gender, age, and temperament, as well as their mothers' emotionality, in relation to e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7)의 도구는 부모와 또래가 등장하는 행복, 슬픔, 분노의 간단한 이야기 9가지를 듣고 이에 대한 조절 전략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에서는 두려움을 첨가하여 동성 또래와 이성 또래, 교사, 부모가 대상으로 제시된 기쁨, 슬프 분노, 두려움 정서를 유발하는 그림 카드를 제시하고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질문하였다. 두려움을 첨가한 이유는 두려움은 유아가 가장 많이 느끼는 부정적 정서 중 하나이고(Salovey & Sluyter, 1997), 본연구에서 측정한 정서 인식 내용 역시 기쁨, 슬픔, 분노, 두려움 네 가지 기본 정서들을 측정하였으므로 이들과 측정 내용에서 동일 측면을 평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 분석 기준은 사회적 지원 요청, 문제해결, 회피, 내면화 반응, 외면화 반응으로 구분되었다. 연구에서는 또래, 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유아가 선택하는 정서 조절전략을 범주별로 살펴보았다. 분석 시에는 Roth와 Cohen(1986)의 접근-회피의 이원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사회적 지원 요청과 문제해결은 긍정적 정서 조절전략으로 회피, 내면화 반응, 외면화 반응은 부정적 정서 조절전략으로 합산하여 유아의 정서 조절전략을 알아보았고 점수 범위는 1-24점 사이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찰 및 면접을 통하여 유아의 정서발달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만 3, 4, 5세 유아를 모두 포함시킴으로서 연령적 발달 경향성을 포괄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유아의 기질적 특성도 전반적인 정서발달과 관련됨에도 불구하고 정서성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고, 사회화의 주요한 담당자인 어머니의 양육 행동도 일반적인 양육 행동에 초점을 둔 것이 대부분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정서반응성을 함께 살펴봄으로서 상호 관련되어있는 두 측면과 유아의 정서 발달과의 관련성을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 또한, 유아의 기질적 특성도 전반적인 정서발달과 관련됨에도 불구하고 정서성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고, 사회화의 주요한 담당자인 어머니의 양육 행동도 일반적인 양육 행동에 초점을 둔 것이 대부분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정서반응성을 함께 살펴봄으로서 상호 관련되어있는 두 측면과 유아의 정서 발달과의 관련성을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정리하면, 본 연구의 목적은 만 3, 4, 5세 유아의 개인 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 발달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유아기 정서 발달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교사 및 부모에게 정서 발달의 중요성을 알림으로써 적절한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1. 유아의 개인 변인과 유아의 정서 발달은 관계가 있는가? 1T. 유아의 성에 따라 유아의 정서 발달은 차이가 있는가? 1-2.
  • 유아의 연령에 따라유아의 정서 발달은 차이가 있는가? 1-3. 유아의 기질과유아의 정서 발달은상관관계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 발달은 상관관계가 있는가? 3. 유아의 개인 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이 유아의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 유아의 기질과유아의 정서 발달은상관관계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정서성과 유아의 정서 발달은 상관관계가 있는가? 3. 유아의 개인 변인 및 어머니의 정서성이 유아의 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강기숙, 이경남(2001).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사려성이 유아의 자기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2(4), 115-132 

  2. 곽혜경, 조복희(1999).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통제책략과 유아의 자기통제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0(1), 165-176 

  3. 김민화, 곽금주, 성현란, 심희옥, 장유경(2003). 영아기 정서 단어의 습득에서 기질과 양육태도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39-55 

  4. 김순정(2000). 어머니의 정서 표현 수용 태도와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지현, 이순형(2004). 3세 및 5세 유아의 또래 갈등 상황에 따른 정서표현 행동. 대한가정학회지, 42(4), 29-43 

  6. 박성연(1998). 영아가 정서성 및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른 3세 아동의 행동억제. 대한가정학회지, 36(4), 19-33 

  7. 박성은, 박성연(2001). 아동의 초기 정서성, 양육행동 및 모자녀 애착과 남녀 아동의 행동억제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29-47 

  8. 서현아, 김소연(2002). 그림책과 관련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1-33 

  9. 신혜정(2000).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대처반응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양연숙, 조복희(2001). 타인양육 영아의 정서조절: 격리 및 타인양육 특성과 어머니 및 영아 특성의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3), 67-81 

  11. 우수경(2002). 유아의 정서능력과 관련변인간의 구조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2. 이지선, 정옥분(2002). 부모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기 자녀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3(1), 17-35 

  13. 이지은(1996). 아동의 정서 표출 규칙 사용 능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이현민(1998).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태도,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정서지능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혜련, 최보가(2002). 학령전 아동의 정서이해와 부모의 정서표현성 및 아동정서 수용태도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0), 103-112 

  16. 조은진(1997). 한국 유아들의 친사회적 행동: 사회인지 발달과의 관계. 교육학연구, 35(5), 219-238 

  17. 천희영(1992). 한국 아동의 기질 유형화와 어머니 양육태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8. 한유미, 손경화(2004).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1), 197-206 

  19. 한유진, 유안진(1998). 부모의 정서 규제와 이동의 정서 표출 규칙 이해. 대한가정학회지, 36(11), 61-72 

  20. 황선희(2003). 유아의 대처능력에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4), 73-205 

  21. Aldwin, C. (1994).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New York: Guilford Press 

  22. Ashiabi, G. S. (2000). Promoting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preschool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8(2), 79-84 

  23. Bonello, P. J. (1998). Emotional competence in children with ADHD: The contribution of symptom sever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yne State University 

  24. Casey, R. J. (1993), Children's emotional experience: Relation among experience, self report, and understan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9(1), 119-129 

  25. Cassidy, J., Park, R., Butkoysky, L., & Braungrat, J. (1992). Family-peer connections: The role of emotional expressiveness within the family and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 Child Development, 63(3), 603-618 

  26. Causey, D. L., & Dubow, E. F. (1992). Development of a self-report coping measur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1), 47-59 

  27. Creasey, G., Ottlinger, K., DeVico, K., Murray, T., Harvey, A, & McInnis, M. H. (1997). Children's affective responses, cognitive appraisals, and coping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 negative affect of parents and peer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67, 39-56 

  28. Crick, N. R., Casas, J. F., & Mosher, M. (1997). Relational and overt aggression in pre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33(4), 579-588 

  29. Crockenberg, S. B. (1985). Toddler's reaction's to maternal anger. Merrill-Palmer Quarterly, 31, 361-373 

  30. Cummings, E. M., Vogel, D., Cummings, J. S., & EI­-Sheikh, M.(1989). Children's responses to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of anger between adults. Child Development, 60, 1392-1404 

  31. Denham, S. A., Blair, K. A., DeMulder, E., Levita, J., Sawyer, K., Auerbach-Major, S., & Queenan, P. (2003). Preschool emotional competence: Pathway to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74(1), 238-256 

  32. Denham, S. A., & Couchoud, E. (1990a). Young preschooler's ability to identify emotion in equivocal situations. Child Study Journal, 20(3), 153-170 

  33. Denham, S. A., & Couchoud, E. (1990b). Young preschooler's understanding of emotions. Child Study Journal, 20(3),171-182 

  34. Denham, S. A., Mitchell-Copeland, J., Strandberg, K., Auerbach, S., & Blair, K. (1997). Parental Contributions to Preschoolers' Emotional Competenc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Motivation and Emotion, 21(1), 63-86 

  35. Denham, S. A., Zoller, D., & Couchoud, E. A. (1994). Preschooler's causal understanding of emotion and its socializ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0, 928-936 

  36. Dunn, J., & Bown, J. (1994). Affect expression in the family,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 and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s. Merrill-Palmer Quarterly, 40, 120-137 

  37. Eisenberg, N., & Fabes, R. A. (1994).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Relation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anger behavior. Merrill-Palmer Quarterly, 40, 138-156 

  38. Eisenberg, N., Fabes, R. A., Bernzweg, J., Karbon, M., Poulin, R, & Hanish, L. (1993). The relation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Child Development, 64, 1418-1438 

  39. Fabes, R., Eisenberg, N., Karbon, M., Carlo, G., Schaller, M., & Miller, P. A (1991). The relations of parent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es to children's vicious emotional responding. Child Development, 62, 1393-1408 

  40. Fox, N. A., & Davidson, R. J. (1988). Pattern of brain electrical activity during facial signs of emotion in 10-month-old infant. Developmental Psychology, 24(2), 230-236 

  41. Gnepp, J., & Hess, D. L. R. (1986). Children's understanding of display rules for expressive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22(1), 103-­108 

  42. Halberstadt, A. G. (1986). Family socializ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tyles and skil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4), 827-836 

  43. Harris, P. L., & Gross, D. (1988). Children's understanding of real and apparent emotion. In W. Astington., P. L. Harris, & D. R. Olson, (Eds.). Developing theories of mind (pp. 295-31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Hestense, L. L., Kontos, S., & Bryan, Y. (1993).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in child care centers varying in qualit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295-307 

  45. Hubbard, J. A. (2001). Emotion expression processes in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e role of peer rejection, aggression, and gender. Child Development, 72(5), 1426-1438 

  46. Hyson, M. C. (1994).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context: The contribution of family, school, and cultur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6(4), 1047-1055 

  47. Isley, S. L., O'Neil, R., & Parke, R. D. (1996). The relations of parental affect and control behavior to children's classroom acceptance: A concurrent and predictive analysi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7, 7-23 

  48. Kopp, C. B. (1989).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A developmental view. Developmental Psychology, 25, 343-354 

  49. Kostlink, M. J., Whiren, A. P., Sorderman, A. K., Stein, L. C., & George, K. (2005). 유아를 위한 사회정서 지도 (박경자, 김송이, 권연희 공역). 서울: 교문사. (원서 2002 출판) 

  50. Lindsey, E. W., & Colwell, M, J, (2003). Preschooler's emotional competence: Links to pretend and physical play. Child Study Journal, 33(1), 39-52 

  51. Ramsey, R. (1986). Possession dispute in preschool classroom. Child Study Journal, 16, 173-181 

  52. Roberts, W., & Strayer, J. (1996). Empath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 Child Development, 67, 449-470 

  53. Roth, S., & Cohen, L. J. (1986). Approach, avoidance, and coping with stress. American Psychologist, 45(4), 489-493 

  54. Saarni, C. (1989a). Children's understanding of strategie control of emotional expression in social transaction. In C. Saarni., & P. Harris, (Eds.).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 (pp. 181-207). New York: Cambridge Universuty Press 

  55. Saarni, C. (1989b).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arent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PACES). Unpublished Manuscript, Sonama State Universi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17-301) 

  56. Saarni, C., Mumme, D. L., & Campos, J. J. (1998). Emotional development: Action,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In W. Damon., R. M. Lerner., K. Deanna., R. S. Siegler., N. Eisenberg., I. E. Sigel., & A. K. Renninger, (5th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3 (pp. 237-309).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57. Salovey, P., & Sluyter, D. A. (1997).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al implication. New York; Basic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