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 신체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mpacts of Physical Health on Health Behaviors of The Korean Rural Elderly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5 no.3 = no.229, 2007년, pp.57 - 69  

이정화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김경신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김경명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physical health on health behaviors of the rural elderly. In this study, physical health is measured self-rated health and farmer symptoms. The specific question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What are the general tendencies of health behav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함께 주관적 건강상태와 객관적 건강상태를 통한 간접효과를,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객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에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노인의 건강상태가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함께 주관적 건강상태와 객관적 건강상태를 통한 간접효과를,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와 객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에 농촌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주관적 건강상태, 농부증이 미치는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주관적, 객관적 건강이 농촌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노인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개인적, 사회적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셋째, 사회인구학적 배경과 주관적, 객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사회인구학적 배경 변인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교육수준(β=.
  • 여기에서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모델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관련 변인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경로분석을 한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지수를 위주로 모델을 해석하고자 한다.
  • 하였다. 이를 통해 농촌노인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개인적, 사회적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농촌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에 노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주관적 건강상태, 객관적 건강상태(농부증)가 미치는 직접 간접적인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신체적 건강이 농촌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림 1> 참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강수균.구향숙.김정모.박경규.전영숙.최경희.박선희 (2003).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관심도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2(2), 53-72 

  2. 고정수.성장훈 (2004).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건강증진행위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4(2), 121-131 

  3. 구미옥.강영실.김은심.안황란.오현숙.은영 (2002).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노인 건강증진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2(3), 384-394 

  4. 김남진 (2000). 예비노인 집단과 노인집단간의 건강관심도 및 건강행위, 주관적인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연구. 보건교육.보건증진학회지, 17(2), 99-110 

  5. 김득희.황경열 (1998). 농촌과 도시 노인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건강상태간의 관계 연구. 특수교육연구, 21, 95-126 

  6. 김병성.전해성.차인준 (1995). 일부 농촌 주민의 농부증 및 농기계사고. 인제대학교 지역사회의학연구소 연구논문집, 1, 31-40 

  7. 김숙경 (2004).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23, 179-202 

  8. 김오남 (2003). 농촌노인의 건강수준,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8(2), 5-22 

  9. 김정남 (2004). 농촌노인의 영적 안녕과 희망, 지각된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8(2), 342-357 

  10. 김혜령 (2003). 일 도시지역 노인의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3(5), 544-552 

  11. 김효정.채선옥.박영숙.우선혜 (2001). 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및 건강개념과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5(2), 262-274 

  12. 김희자.김주현.박연환 (2000). 일 지역 농촌 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12(4), 573-583 

  13. 농림부 (2002). 농촌지역의 노인복지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4. 민경진.김근조.차춘근 (2001). 일부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8(2), 01-26 

  15. 박대식.김화순 (2001). 농촌 노인들의 농부증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3(1), 111-120 

  16. 박은숙, 김순자, 김소인, 전영자, 이평숙, 김행자, 한금선 (1998).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학회지, 28(3), 638-649 

  17. 박정숙 (2004). 노인 건강증진대학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 증진행위, 건강상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4(7), 1194-1204 

  18. 박정숙.오윤정 (2005). 농촌형 노인 건강증진프로그램이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5(5), 943-954 

  19. 박태진.이가영(1996). 농부증의 정신적 원인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지역사회의학연구소 연구논문집, 4, 37-55 

  20. 보건복지부(2006). 제 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새로마지 플랜2010 

  21. 성정숙.박재순 (2005).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건강상태. 노인간호학회지, 7(1), 71-78 

  22. 소정숙 (2003). 일부 도시.농촌 노인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송경애.이소영 (2000). 한국노인과 미국이민 한국노인의 건강상태 지각과 건강증진행위. 기본간호학회지, 7(3), 401-414 

  24. 송영신.이미라.안은경 (1997). 노인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 27(3), 541-549 

  25. 엄기욱(2005). 지방화시대의 노인보건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모색, 2005년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41-55 

  26. 윤순덕.한경혜 (2004).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섬리적 복지. 한국노년학, 24(2), 57-77 

  27. 은영.구미옥 (1999). 일지역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건강통제위 및 건강통제위 반응 유형. 대한간호학회지, 29(3), 625-638 

  28. 이경숙 (1998). 노인의 건강지각과 건강증진행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무식.이미영.양선희.신동훈.서석권 (1998). 농촌 노인에서의 농부증과 우울정도와의 관련성. 계명의대논문집, 17(3), 354-366 

  30. 이정화 (2006). 농촌노인의 성과 연령에 따른 신체적.정신적.사회적 건강의 상호관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7(2), 15-30 

  31. 이정화.한경혜 (2003). 농촌노인의 일과 여가활동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농촌사회, 13(1), 209-238 

  32. 이정화.한경혜.박공주.이한기 (2003). 사회적 환경으로서의 지원망 특성이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농촌계획, 9(3), 1-7 

  33. 이종순 (2006. 04. 14). 농민 10명중 4명 '농부증' 으로 고통......대책마련 시급. 농민신문. http://www.nongmin.com 

  34. 장성훈 (1998). 충주지역 전업농민의 농부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중원지역 발전연구원, 3, 74-90 

  35. 장인순 (2003). 일부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7(1), 35-46 

  36. 장인순 (2004). 일부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영적안녕, 우울, 주과적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0(2), 91-98 

  37. 전미영 (2003). 통합적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3(3), 1-13 

  38. 전제균.문미숙 (2001).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와 관련된 변수 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3(1), 107-114 

  39. 조소영.김점자 (1996). 한국농촌노인의 건강증진관리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0(2), 146-161 

  40. 조정민.전미영.김명희 (2006). 일 지역 초등학생이 지각한 경제상태와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 95-103 

  41. 차승은.한경혜.이정화 (2002). 농촌 노인의 지각된 건강과 신체.정신.사회적 건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연령 집단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3(1), 173-190 

  42. 최연희 (2004).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1(2), 87-100 

  43. 최은영.김지영.김혜숙 (2003).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생활만족도 및 가족지지와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5(1), 7-16 

  44. 한경혜.윤순덕 (2001) 자녀와의 동.별거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1(2), 163-178 

  45. 한경혜.이정화.Ryff, C..Marks, N..옥선화.차승은 (2003). 한국 중년기 남녀의 건강상태 및 건강 관리 행동 : 성별, 연령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1), 213-229 

  46. 홍대용 (1996). 시설원예지역 하우스병의 실태진단 및 예방 (하우스 종사자의 농부증 발생에 미치는 요인 분석).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농업연구소보, 30(2), 411-415 

  47. Bergner, M. (1985). Measurement of health status. Medical Care, 23(5), 696-704 

  48. Brubaker, B. H. (1983). Health Promotion: a Linguistic Analysi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April, 1-13 

  49. Bryant L. L., Beck, A., & Fairclough D.L. (2000). Factors that Contribute to Positive perceived health in an Older Population.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2(2), 169-192 

  50. Combs, A. W., & Snygg, D. (1971). Individual Behavior : A perceptual Approach to Behavior(rev. ed), New York: Karper & Brothers 

  51. Farmer, M. M., & Ferraro, K. F. (1997). Distress & perceived health: Mechanism of health declin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9(september), 298-311 

  52. Pencer, N. J. (1982).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Norwalk, CT: Appleton-Century-Crofts 

  53. Rowe, J. W., & R. L. Kahn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 433-440 

  54. Willits, F. K., & Crider, D. M. (1988). Health rating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later middle years. Journal of Gerontology, 43(5), 172-176 

  55. http://kosis.nso.go.kr (통계청.2005 사회통계조사)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