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의료기관 이용에 있어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Health-Promotion Behavior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Older Adult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3 no.4, 2019년, pp.179 - 190  

김규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BK21PLUS 인간생명-사회환경 상호작용 융합사업단) ,  김한결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BK21PLUS 인간생명-사회환경 상호작용 융합사업단) ,  이현실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정책관리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a.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에 따른 의료이용의 관계를 파악하고, 건강증진 행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노인의 건강관리 및 증진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인식에 따라 의료기관 이용 양상에 변화가 있었고, 건강증진 행위에서도 마찬가지로 의료기관 이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관적 건강인식이란 무엇인가? 주관적 건강인식은 응답자 스스로가 전반적인 건강 상태 평가를 통해 총체적인 건강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의료이용에 대한 예측 등을 할 때 활용이 용이하다[8]. [9]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좋음’ 27.
노인인구의 건강관리가 향후 우리 나라의 중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예측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뿐만 아니라 의료기술의 발달과 생활환경의 향상, 그리고 치료 중심의 개념에서 예방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건강관리와 증진의 중요성이[1] 강조되어 국민 스스로가 건강수준을 유지하고 증진할 수 있는 환경으로 형성되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는 인구 고령화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어 노인인구가 2035년에 28.7%, 2065년은 42.5%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2] 향후 노인인구의 건강관리가 중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예측된다. 노인인구는 신체적, 정신적 기능이 감소하고 사회적 지위의 상실과 같은 큰 변화를 경험하며 질병 및 만성질환의 발생 위험도가 높은 시기이다[3].
노인성 만성질환이 빈번히 발생하는 노인들에게 건강증진 행위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건강증진 행위는 건강을 관리 및 증진을 위해 이뤄지는 행위로서 건강한 생활양식에서 얻을 수 있다[11]. 노인의 생활양식은 건강증진과 관련이 있는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신체활동과 영양관리가 보고된다[12]. 신체활동은 주로 운동을 일컬으며 만성질환의 유병률과 우울,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영양관리는 비만, 각종 암 등의 질병을 감소 또는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이러한 긍정적 효과를 고려해볼 때, 이를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노인성 만성질환이 빈번히 발생하는 노인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M. Lee, S,I. Choi(2012), Effect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elderly women on the life satisfaction level.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2(7);203-214.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6), Future Population Forecast 

  3. S.J. Yu, C.Y, Kang, Y.R. Kim(2015), Correlation of quality of life in the health condition of Korean elderly: Perceived, physical, mental health statu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9(2), 47-56. 

  4. W.D. Sun, H.J.Song, N.M. Hwang, E.J. Kang, Y.J. Suh, T.I. Kim, D.J. Kim (2005),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system for older Korean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04-17) 

  5. OECD(2016), OECD Health Statistics 2016. 

  6. G.S. Jeon, E.S. Choi, H.Y. Lee(2010), Gender-related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by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4(2);182-196. 

  7. G.C. Yoo, N.Y. Kim(2007), Correlation analysis of health-related behaviors, medical use and medical expense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8. J. Tsai, E.S. Ford, C. Li, G. Zhao, L.S. Balluz(2010), Physical activity and optimal self-rated health of adults with and without diabetes. BMC public health, Vol.10(1);365. 

  9. K.H. Jung, et al(2014), 2014 National Survey on Elderly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2014) 

  10. N.J. Pender, S.N. Walker, K.R. Sechrist, M. Frank-Stromborg(1990), Predicting health-promoting lifestyles in the workplace. Nursing research, Vol39(6);326-332 

  11. N. PENDER(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Appleton &Lange, East Norwalk, Znd ed, pp.9-11. 

  12.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0), Office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Healthy people(2020) 

  13. M.H. Oh, K.N. Kim(2012), Preferences, frequency and consumption of vegetables, fruits & milk, and practices of dietary guidelin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buk area. J Hum Ecol, Vol.16(2);43-54. 

  14. C.H. Kim, K.J. Park, K.H. Kim(2013), Relationship of Self-perceived Heal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Life Style Pattern on Elder's. Korea Society for Wellness. Vol(8)4;35-44. 

  15. Y.J. Choi, C. Kim, Y.S. Park(2007),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physical health,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Seoul.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0(3);270-280. 

  16. H.S. Kim(2007), A study on self-rated health,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 Gernontological Nursing, Vol8(2);187-187. 

  17. K.S. Woo, J.H. Seo, G.S. Kim, Y.J. Shin(2012),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health risk behavior and health status on medical care utilization by the elderly.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Vol.22(4);497-521. 

  18. R. Choi, B.D. Hwang(2014), Health Care Utilization of Age Group in the Elderly on the Korean Health Panel.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8(3), 49-61. 

  19. C. Pu, Y.M. Bai, Y.J. Chou(2013), The impact of self­rated health on medical care utilization for older people with depressive symptom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Vol.28(5);479-486. 

  20. B.Y. Jeon, S.M. Kwon, H.J. Lee, H.S. Kim(2011),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the disabled elderl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1(1);171-188. 

  21. J.H. Yoon, R.Z. Lee, M.J. Kim(2017), The relationship of self-rated health condition to stress recognition, health related habits, serum biochemical indices, and nutritional intakes in Korean healthy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ol.30(1);83-95. 

  22. H.R. Kim(2013), Nutrition transition and shiting diet linked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policy issues. In Health Welf Policy Forum, Vol.198(4);27-37. 

  23. J.S. Yoo, J.E. Lim, S.U. Cho, H.R. Shin, S.W. Park(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of the elderly and medical costs-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and self-rated health. Korean Society for the Sociology of Sport, Vol.(30)3;1-18. 

  24. S.R. Do, E.S. Shin(2012), Increasing medical utiliza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elderl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ssue&focus. Vol167(0);1-8 

  25. J. Kim, S. Park(2012), Impact of Level of Physical Activity on Healthcare Utilization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2(2);199-2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