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of affecting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5, 2018년, pp.341 - 349  

이명숙 (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  한미라 (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의 우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 대상자는 C도 농촌지역의 65세 이상 여성노인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1.0을 이용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평균나이는 76세로 42.9%가 우울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자의 우울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요인은 연령(p=.008, OR=1.146), 경제상태(p=.004, OR=.123), 동거 가족수(p=.013, OR=.020), 사회 활동수(p=.012, OR=.436), 진단 받은 질병수(p<.001, OR=3.847), 시력(p=.023, OR=3.867), 사회적 지지 하부영역 중 가족의 지지(p=.048, OR=.707)였으며, 설명력은 68.6%였다. 이상의 결과는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우울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근거 및 융복합적 중재 방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으며, 향후 농촌거주 여성노인의 시력장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significant convergence factors of affecting depression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 A total of 161 elderly women aged 65 and over were collect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WIN 21.0. The result indicated that 42.9% of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인구 · 사회학적 특성과 함께 건강관련 요인인 주관적 건강 및 기능 상태를 투입하고, 정신 · 심리적 특성으로 사회 활동과 사회적지지가 농촌 여성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이들 변수가 농촌 여성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력의 소멸관계나 상대적 중요성을 파악하여 농촌 여성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율적인 관리 및 중재의 전략적 방향과 지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력을 확인하여 우울 예방과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및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연령, 경제 상태, 동거 가족수, 사회 활동수, 진단 받은 질병수, 시력, 가족의 지지가 우울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그 영향력을 규명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인구 · 사회학적 특성과 함께 건강관련 요인인 주관적 건강 및 기능 상태를 투입하고, 정신 · 심리적 특성으로 사회 활동과 사회적지지가 농촌 여성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 63 이었다. 진단 받은 질환은 우울을 제외하고 대상자가 의사로부터 진단받았다고 보고한 질병의 수를 조사하였다. 신체적 기능 상태는 보행 시 보조기구 사용은 항상 사용 1점, 사용하지 않음 4점, 시력, 청력은 전혀 보지(듣지)못함 1점, 전혀 문제없음 4점으로 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기능상태가 좋은 것으로 처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주되는 우울의 특성은 무엇인가? 우울은 생물학적,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경제력 상실, 배우자 사별, 신체적 활동과 기능저하로 인한 의존성 증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등 노화 관련 특성이나 사회적인 요인들로 인해 나타난다[8]. 우울의 특성으로 간주되는 피로감, 수면장애, 신체적 문제 등은 노인에게 있어서 우울 없이도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노인우울은 노화에 따른 자연스런 현상으로 보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우울장애로 인식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있다[9]. 우울이 방치되면 인지기능의 저하로 치매 유병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기능 감소, 삶에 대한 흥미와 관심 저하, 활동수준의 저하를 초래하여 노인들을 점차 사회로부터 고립되게 만들고 자살까지 초래될 수 있어 자살의 중요 영향인자로 보고 있다[2].
우울의 발생 요인은 무엇인가? 우울은 생물학적,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경제력 상실, 배우자 사별, 신체적 활동과 기능저하로 인한 의존성 증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등 노화 관련 특성이나 사회적인 요인들로 인해 나타난다[8]. 우울의 특성으로 간주되는 피로감, 수면장애, 신체적 문제 등은 노인에게 있어서 우울 없이도 나타날 수도 있기 때문에 노인우울은 노화에 따른 자연스런 현상으로 보는 경향이 있으며, 이로 인해 우울장애로 인식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있다[9].
여성 노인의 우울정도가 남성 노인에 비해 큰 이유는 무엇인가? 노인의 우울정도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다는 보고도 있지만[5], 일반적으로 여자노인이 남자노인에 비해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6, 7]. 특히 여성노인은 남성노인에 비해 평균수명이 길고, 사회적 지지망의 크기 감소 등에 따라 우울 위험성이 증가하므로 이러한 정서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여성노인의 우울에 관심을 가져야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J. T. Baek, H. Y. Lee, & Y. C. Cho. (2016). Relating factors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the elderlies in urban area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5), 506-515. DOI: 10.5762KAIS.2016.17.5.506 

  2. E. K. Kim. (2015). Comparison of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by reg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4(6), 811-827. DOI: 10.5934/kjhe.2015.24.6.811 

  3. National Health Big Data Hub. (2016). Depression. https://www.opendata.hira.or.kr 

  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4). Global health estimates 2014 summary tables-DALY by cause, age and sex, by WHO region, 2000-2012. https://www.who.int/entity/healthinfo/global_burden_disease/GHE_DALY_Global_2000_2012.xls?ua1 

  5. S. Wiktorsson et al. (2018). Few sex differences in hospitalized suicide attempters aged 70 and abov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5(1), 141. DOI: 10.3390/ijerph15010141 

  6. S. H. Lee. (2013). Comparativ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sex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3), 500-512. DOI: 10.5932/JKPHN.2013.27.3.500 

  7. S. Maji. (2018). Society and 'good woman': A critical review of gender difference in dep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0020764018765023. DOI: 10.1177/0020764018765023 

  8. J. H. Yoo & H. Y. Sung. (2009).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2), 717-728. 

  9. K. C. Lim & S. H. Kim. (2012).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in older Koreans: Comparison of young-old and old-ol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1(1), 1-10. 

  10. B. W. Chang & T. Y. Jang. (2018).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planned exercise on their self efficacy,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2), 293-298. DOI: 10.14400/JDC.2018.16.2.293 

  11. J. I. Kim. (2014). Predictiv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physical function, and social support of elders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6(3), 231-241. DOI: 10.17079/jkgn.2014.16.3.231 

  1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6).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ttp://www.kosis.kr 

  13. H. R. Kim. (2014). Comparison of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isk factors between elders i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Society Living Environment System, 21(1), 108-120. DOI: 10.21086/ksles.2014.02.21.1.108 

  14. M. S. Song, S. K. Kim, & N. C. Kim. (2011).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elderly women's depression and physical fitnes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3(1), 37-43. 

  15. H. W. Kang & K. M. Park. (2012). Comparison of correlates of depression in late-lif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1), 129-143. 

  16. H. A. Kim. (2011). The impacts of elderly women's physical health on their depress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buk. 

  17. A. M. Boerema, A. Kleiboer, A. T. Beekman, K. van Zoonen, H. Dijkshoorn, & P. Cuijpers. (2016). Determinants of help-seeking behavior in depression: a cross-sectional study. BMC Psychiatry, 16(78), 1-9. DOI: 10.1186/s12888-016-0790-0 

  18. S. E. Lee & B. H. Kim. (2016). Predictors of depression in community dwelling older women living alon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8(1), 1-11. DOI: 10.17079/jkgn.2016.18.1.1 

  19. S. E. Kim & S. A. Kim. (2013). A predictive model of depression in rural elders-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3), 442-451. DOI: 10.4040/jkan.2013.43.3.442 

  20. H. J. Kim. (1994). An Effect of muscle strength training program on strength, muscle enduranc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B. S. Kee.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n version.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 298-307. 

  22. Y. J. Kim. (2017). The influence of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for older women i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339-349. DOI: 10.15207/JKCS.2017.8.10.339 

  23. S. E. Kim & S. A. Kim. (2013). A predictive model of depression in rural elders-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3(3), 442-451. DOI: 10.4040/jkan.2013.43.3.442 

  24. J. A. Son, S. R. Suh & M, Kim. (2015).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rural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7(1), 56-64. DOI: 10.17079/jkgn.2015.17.1.56 

  25. K. J. Kwon & J. Y. Bae. (2016).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in rural area.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4(4), 71-88. 

  26. N. H. Noran et al. (2009). Severity of visual impairment and depression among elderly Malaysians. Asia-Pacific Journal of Public Health, 21(1), 43-50. DOI: 10.1177/1010539508327353 

  27. S. Y. Tasi, S. Y. Cheng, W. M. Hsu, Y. P .T. Su, J. H. Liu, & P. Chou. (2003). Association between visual impairmen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102(2), 86-90. 

  28. E. S. An & S. M. Song. (2017). The effects of welfare services experience by the low-income senior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family conflicts and depress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0), 9-18. DOI: 10.14400/JDC..2017.15.10.9 

  29. J. N. Sohn. (2013). Factors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s in community dwelling older people. Journal of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2(2), 107-116. DOI: 10.12934.jkpmhn.2013.22.2.107 

  30. Y. M. Kim & Y. M. Ko. (2018). Effects of separated children support on depression in one-person households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265-277. DOI: 10.15207/JKCS.2018.9.3.265 

  31. H. Y, O. Lee, K. Beum, & Y. Gim. (2016). Effects of online social relationship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5), 623-637. DOI: 10.5392/JKCA.2016.05.6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