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CDIS에 의한 외끌이 기선저인망 어선의 투양망 조업 과정의 실시간 모니터링
Real-time monitoring of net setting and hauling process in fishing operations of Danish seine vessel using ECDIS 원문보기

한국어업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v.43 no.4, 2007년, pp.347 - 354  

이대재 (부경대학교 해양생산시스템관리학부) ,  변덕수 (한국해양수산연수원 운항교육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on the real-time monitoring of net setting and hauling process for fishing operations of Danish seine vessel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as an application of a PC based ECDIS system. Tracking of fishing process was performed for the large scale Danish seine vessel of G/T 9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조업하는 모든 어선의 동적거동상황과 EEZ 출어선의 EEZ 입역 및 출역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제주도 근해 어장에서 조업하는 대형 외끌이 기선저인망 어선을 대상으로 모든 어로작업상황에 대한 선박의 이동궤적을 실시간으로 수록, 분석함으로써, 이들 어선의 원격 모니터링 및 추적, 식별에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조업하는 어선의 동적 거동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제주도 근해 어장에서 조업하는 대형 외끌이 기선저인망 어선을 대상으로 모든 어로작업 상황에 대한 선박의 이동궤적을 실시간으로 수록하여 이들 어선의 추적 및 식별에 필요한 기초적인 정보를 분석, 고찰하였다. 제주도 인근해역에서 총 23회에 걸쳐 실시된 외끌이 기선저인망 어선의 어로작업정보를 토대로 각 조업시에 대한 항주궤적을 ECDIS에 의해 처리, 분석한 결과, 매 투망시 형성되는 투망궤적의 형상은 마름모꼴이었고, 그 궤적을 선회하며 항주하는 평균 속력, 평균소요시간, 평균거리 및 평균소해면적은 각각 8.
  • 이 조업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자선의 선내에서는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나, 자선 밖의 장소, 특히, 육상의 선주나 어선의 조업상황을 관리, 감독해야 하는 행정당국에서 이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이들의 정보를 전파나 위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 정부당국에서는 인공 위성을 이용하여 어선의 안전 및 조업상황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VMS 장치의 상용화를 추진하 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광역 AIS network를 구성하여 조업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AIS 정보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중이다. 보통 AIS 장치의 경우, 선속 14 knots 이하의 속력으로 항행하는 선박에서는 10sec 간격으로 동적정보가 갱신되지만, 항주속력이 14 knots 이하이면서 침로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선 저인망 어선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항법 및 어로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한 정보는 어떤 방법을 통하여 실시간 추적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가? 이와 같이 기선 저인망 어선에 탑재되어 있는 각종 항법 및 어로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종합적으로 수집, 분석하면 조업어선의 위치, 침로, 속력 등과 같은 동적정보는 물론 각종 조업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특히, 이들의 정보를 NMEA0183 format의 디지털신호로 변환시켜 ECDIS에 입력한 후, 전자해도 화면상에 중첩시켜 표시하면 자선의 어로작업에 대한 동적거동과 조업상황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추적 및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우리나라 어업 무선국이나 어업 지도선 등에서는 어떠한 정보를 기반으로 어선조업정보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을 구축, 운용하고 있는가? 현재 우리나라 어업 무선국이나 어업 지도선 등에서는 어선의 안전조업규정 및 업무처리 지침에 따라 EEZ(exclusive economic zone) 수역에 출어하는 어선의 정오위치, 어획실적 등과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매우 제한적인 어선조업정보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을 구축, 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설비를 갖춘 모든 선박이 자선의 조업상황을 어업 지도선이나 어업 무선국 등에 보고하는 시스템을 활용하면 조업어선에 대한 동적거동 및 어로활동상황 등을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지만, 실제 이들 조업어선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고, 그 정보의 신뢰도에도 많은 문제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300톤 이상의 외항선 및 여객선 등에서는 VHF 전파의 가시권 범위 내에서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어떤 시스템이 구축, 운용되고 있는가? 이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선박안전법의 적용을 받는 2톤 이상의 모든 선박을 대상으로 선박의 각종 정보가 자선의 의지에 관계없이 자동으로 보고되는 새로운 시스템, 즉, 선박위치 자동발신장치를 강제적으로 탑재시키기 위한 법적기준을 마련하여 추진 중에 있다. 현재 300톤 이상의 외항선 및 여객선 등에 있어서는 VHF(very high frequency) 전파의 가시권 범위 내에서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광역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시스템이 구축, 운용되고 있지만, 모든 연근해 어선에 대해서도 VMS(vessel monitoring system)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 추진 중에 있다(MOMAF,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Lee, D.J. and K.S. Kim, 2004. Detection, identification and surveillance system development of illegal fishing vessels in inshore fishing ground. J. Kor. Fish. Soc., 37, 337-344 

  2. MOMAF, 2006. Promotion Plan of VMS, 1-7 

  3. Lee, B.G., and D.J. Lee, 1993. Coastal trawl fishing. Tae- Hwa Publishing Company, Busan, 89-90 

  4. Lee, H.O., 2007. Improvement of fishing efficiency of Danish seine to ratio of buoyancy by sinking force. Master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49 

  5. Lee, B.G., S.W. Park and J.K. Kim, 1983. Introduction to inshore and coastal fishing. Tae-Hwa Publishing Company, Busan, 284-293 

  6. Kaneda, Y., 1995. Fisheries and fishing methods of Japan. Seizando-Shoten, Tokyo, 16-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