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경: 여러 가지 고형암으로부터 전이된 폐암 환자에 있어서 수술적 절제는 중요한 치료 방법 중 하나다. 이를 토대로 본원에서 1996년부터 2005년까지 37명의 환자에서 시행한 전이성 폐암의 수술적치료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환자의 입원기록과 수술기록, 병리기록지 등을 통하여 나이, 성별, 무병생존기간, 수술 방법, 폐 전이 병소 개수, 림프절 전이 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생존곡선과 생존율간의 비교는 각각 Kaplan-Meier life table과 log-rank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37명의 환자 중 34명에서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다. 원발 종양은 암종이 25명, 육종이 10명, 다른 종류가 2명이었으며 폐 전이 개수는 1개가 25명, 2개 이상이 12명이었다. 완전 절제가 가능했던 환자 군에서 수술후 3년 생존율은 50.5%, 5년 생존율은 35.9%으로 나타났다. 원발 종양의 종류에 따라 생존율을 비교하였을 때 암종에서의 3년 생존율은 64.5%, 5년 생존율은 45.6%로 나타났으나 육종에서의 3년 생존율은 17.5%로 낮게 나타났다. 반면, 수술 방법, 폐 전이 개수, 림프절 전이 여부, 추가 항암치료 여부와 암종에서 무병생존 기간 등은 생존율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론: 전이성 폐암은 완전 절제가 가능할 경우 잘 선택된 일부 환자에서 수술에 따른 사망률이나 이환율은 낮으면서도 높은 장기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는 질환이다. 전이성 폐암의 수술 후 예후인자 등에 대한 차후 장기적인 추적관찰과 무작위 전향적 비교 연구 등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urgical resection is an important modality in the treatment of pulmonary metastases from various solid tumors. We analyzed 37 patients who underwent surgical treatments of pulmonary metastases in our hospital from 1996 to 2005. Material and Method: Age, sex, disease free interval, ope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저자들은 본원에서 10년간 시행한 전이성 폐암의 수술적 치료에 따른 생존율 분석을 통해 그 의의와 치료 성적을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원발성 종양이 치료되어야 하며 3. 다른 장기로의 전이된 증거가 없어야 하고 4. 방사선학적으로 폐 전이는 한쪽 폐에만 국한되어야 한다. 하지만 수술과 마취의 기술이 발전하고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최근에는 이런 수술의 적응증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Putnum JB. Metastatic cancer to the lung. In: DeVita VT, Hellman S, Rosenberg SA. Cancer: principles and practice of oncology. 6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01; 2670-89 

  2. Barney JD, Churchill EJ. Adenocarcinoma of the kidney with metastasis to the lung cured by nephrectomy and lobectomy. J Urol 1939;42:269-76 

  3. Thomford NR, Woolner LB, Clagett OT, et al. The surgical treatment of metastatic tumors in the lungs. J Thorac Cardiovasc Surg 1965;49:357-63 

  4. Viadana E, Bross IDJ, Pickren WJ. Cascade spread of blood-borne metastases in solid and nonsolid cancers of humans. In: Weiss L, Gilbert HA. Pulmonary metastasis. Hague-Boston: Nijhoff Medical Division. 1978;142-67 

  5. Weiss L, Grundman E, Torhorst J, et al. Haematogenous metastatic patterns in colonic carcinoma: an analysis of 1541 necropsies. J Pathol 1986;150:195-203 

  6. Suemasu K, Yoneyama T, Naruke T, et al. Clinical and basic studies on the treatment of cancer metastasis. Jpn J Cancer Chemother 1987;14:561-6 

  7. Ehrenhaft JL, Lawrence MS, Sensenig DM. Pulmonary resection for metastatic lesions. Arch Surg 1958;77:606-12 

  8. Mountain CF, McMurtrey MJ, Hermes KE. Surgery for pulmonary metastasis: a 20-year experience. J Thorac Cardiovasc Surg 1984;38:323-9 

  9. Kondo H, Okumura T, Ohde Y, Nakagawa K. Surgical treatment for metastatic malignancies. Pulmonary metastasis: indications and outcomes. Int J Clin Oncol 2005;10:81-5 

  10. Pastrino U, McCormack PM, Ginsberg RJ. A New staging proposal for pulmonary metastases: The results of analysis of 5,206 cases of resected pulmonary metastases. Chest Surg Clin N Am 1998;8:197-202 

  11. Kang JH, Paik HC, Lee JG, Chung KY. Analysis of pulmonary metastases according to a new staging proposal. Korean J Thorac Cardiovasc Surg 2001;34:615-20 

  12. Ercan S, Nichols FC 3rd, Trastek VF, et al. Prognostic significance of lymph node metastasis found during pulmonary metastsectomy for extrapulmonary carcinoma. Ann Thorac Surg 2004;77:1786-91 

  13. Saito Y, Omiya H, Kohno K, et al. Pulmonary metastasectomy for 165 patients with colorectal carcinoma: a prognostic assessment. J Thorac Cardiovasc Surg 2002;124:1007-13 

  14. Briccoli A, Rocca M, Salone M, et al. Resection of recurrent pulmonary metastases in patients with osteosarcoma. Cancer 2005;104:1721-5 

  15. Choong PF, Pritchard DJ, Rock MG, et al. Survival after pulmonary metastasectomy in soft tissue sarcoma. Prognostic factors in 214 patients. Acta Orthop Scand 1995;66:561-8 

  16. Kawai A, Fukuma H, Beppu Y, et al. Pulmonary resection for metastatic soft tissue sarcomas. Clin Orthop 1995;310:188-93 

  17. Anraku M, Yokoi K, Nakagawa K, et al. Pulmonary metastases from uterine malignancies: results of surgical resection in 133 patients. J Thorac Cardiovasc Surg 2004;127:1107-12 

  18. Rena O, Papalia E, Oliaro A, et al. Pulmonary metastases from epithelial tumors: late results of surgical treatment. Eur J Cardiothorac Surg 2006;30:217-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