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산업현장을 중심으로 -
The Health Effects of Industrial Noise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29 no.2, 2007년, pp.131 - 137  

김정만 (한국산업위생학회, 동아대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건강진단 결과 사후관리 및 근로자의 소음성 난청에 대한 인식 관련 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건강진단 결과 유소견자로 판정된 경우에는 보호구 착용, 직종변경, 요양 신청(장애보상급여)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있다.
  • 그리고 소음에 의한 비이질환 영향으로 소음의 생리적, 사회심리적 영향과 특히 혈압에 미치는 영향과 비소 음에 의한 직업성 난청 및 청각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건강진단 결과 사후관리 및 근로자의 소음성 난청에 대한 인식 관련 연구와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소음의 특성, 이러한 소음을 적절히 평가하기 위한 산업 위생학적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 여기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업장 근로자에게 노출되는 소음의 특성 및 이러한 소음을 적절히 평가하기 위한 산업위생학적 방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작업환경 중 소음은 1995-2000년 최근의 작업환경측정 결과에서 소음의 노출기준 초과율이 1995 년의 3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김규상, 김양호, 최정근, 박정선, 문영한, '소음특수건강 진단 자료를 이용한 순음청력검사 평가,' 예방의학회지, 32(1), 30-39(1999) 

  2. '근로자건강진단 안내,' 노동부(1999) 

  3. '소음 작업장 소음성 난청 유병율,' 한국산업안전공단 (1999) 

  4. 김준연, 김병수, 이채언, 전진호, 이종태, 김진옥, '제조업 산업장의 소음 작업환경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예방의학회지, 19(1), 16-30(1986) 

  5. 강성규, 지영구, 안연순, 김형옥, 하미나, 권호장, 백남종, 김성아, 홍윤철, 김재용, 강대희, 조수헌, 하은희, '우리나라 직업병의 현황과 실태,' 한국산업안전공단(2002) 

  6. 김해준, 강병석, '단시간 소음 폭로 후 청력손실 및 회복양상에 관한 연구,' 해양의학, 5(1), 43 - 56(1983) 

  7. 오치엽, 최찬오, 김기창, '공중근무자 및 정비근무자의 소음성 난청에 대한 임상 청각학적 고찰,' 해양의학, 9(2), 77 - 92(1989) 

  8. 고우경, 이만용, 황광수, '활주로 근무자들의 청각학적 고찰,' 항공의학, 27(2), 67 -70(1979) 

  9. 오희철, 육순오, 박지관, 이학용, '해군 함상근무자의 청력 손실 및 형태에 관한 연구,' 해양의학, 4, 81-92 (1981) 

  10. 박기현, 윤상원, 우훈영, 나승훈, 반영덕, 정진선, 'O군항 공장교의 소음성난청에 대한 임상청각학적 고찰,'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27(1), 20 - 27(1984) 

  11. 김헌, 조수헌, 임현술, '군복무시 사격 및 포격훈련에 의 한 소음폭로력이 청력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24(1), 86-92(1991) 

  12. 이재광, 장진희, 안철남, 조정진, '군복무를 마친 20대 성인 남자의 소음성 난청의 유병률 및 그 요인-한 회사 입사 예정자를 중심으로,' 가정의학회지, 16(6), 373 - 380 (1995) 

  13. 이수진, '공군 조종사 및 지상 근로자의 청력손실과 위험요인,' 항공우주의학, 9(2), 176-184(1999) 

  14. 김정현, 이원근, 한현미, 최충곤, 박근철, '민항조종사의 연령 및 총 비행시간이 청력에 미치는 영향,' 항공우주의학, 11(3), 153-159(2001) 

  15. 고상백, 김규상, 장세진, 차봉석, 박종구, 강동묵, 김재용, 김수근, 최홍열, '노동시장의 불안정과 채용시 건강진단: 난청을 중심으로,' 대한산업의학회지, 14(1), 57-68(2002) 

  16. 김지용, 유준현, 이정권, '소음폭로가 지역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 가정의학, 10(11), 1-9(1989) 

  17. 이경종, 박재범, 장재연, 조선미, 이세휘, 김종구, 이순영, 곽정자, 정호근, '항공기 소음이 지역 주민들에게 미치는 건강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1(4), 534-545(1999) 

  18. 조성일, 김정순, 임현술, 정해관, 최병순, '소음폭로가 일 부 지역주민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역학회지, 12(2), 153 -164(1990) 

  19. 김상아, 구민성, 한병규, 박웅섭, 정상혁, '공항주변 주거 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 및 주관적 소음 인지도에 대한 상관성 연구,' 정신신체의학, 8(2), 181 - 190(2000) 

  20. 유승훈, 김형종, 홍상모, 주영수, 송병호, '전투기 및 사 격장 소음에 의한 지역 주민의 청력 변화 조사-A pilot survey,' 대한청각학회지, 6(1), 45 -49(2002) 

  21. 한상환, 조수헌, 고경심, 권호장, 하미나, 주영수, 신명희, '군용 항공기 이륙소음이 청력, 혈압, 스트레스 및 주관 적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예방의학회지, 30(2), 356-368(1997) 

  22. 김형석, 전준호, Ulf Lundberg, '소음 Stress에 의한 뇨증 Catecholamine의 분비량 변화,' 예방의학회지, 26(4), 565 - 573(1993) 

  23. 하대유, 김용관, 한경임, '청각 스트레스가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면역학회지, 7(1), 11-25(1985) 

  24. 김금재, '소음 스트레스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간호학회지, 19(2), 135-146(1989) 

  25. 박경옥, 이명선, '산업장의 소음폭로수준과 근로자의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련성,' 예방의학회지, 29(2), 239 - 254(1996) 

  26. 송상욱, 구정완, 이원철, '청력장애가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8(3),466-476(1996) 

  27. 김광종, 차철환, '산업장 소음의 강도 및 주파수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2), 181-191(1991) 

  28. 심철구, 노재훈, 박정균, '소음측정방법에 따른 평가소음도 비교,' 한국산업위생학회지, 5(2), 128-136(1995) 

  29. 양홍석, 이광묵, 원정일, '소음노출량측정기의 Set Up 방법간의 시간가증평균값(TWA)의 차이,' 한국산업위생학회지, 5(2), 193 - 199(1995) 

  30. 정지연, 박승현, 이광용, 이나루, 유기호, 박정선, 정호근, '자동차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 직무 및 누적소음기 설정 시 차이에 따른 작업자의 소음노출 평가,'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1(3), 190-197(2001) 

  31. 김규상, 김소연, 조영숙, 정호근, '소음 특수건강진단에 서의 순음청력검사 방법 및 평가의 적정성-청력정도관리 순음청력검사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산업의학회지, 13(3), 262 - 273(2001) 

  32. 남궁원자, '소음성난청 관리를 위한 판정기준 간의 비교,'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1) 

  33. '작업환경측정 및 정도관리규정,' 노동부(2003) 

  34. 박경회, 맹광호, '소음으로 인한 직업성난청에 관한 조 사 연구,' 한국의 산업의학, 10(4), 1 -20(1977) 

  35. 최현림, '소음작업장에서 근무하는 난청 유소견 근로자들의 소음성난청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대학원(1995) 

  36. 함완식, '소음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이 청력손실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9) 

  37.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Manikin for simulated in-situ airborne acoustic measurements. ANSI, S 3.36. ANSI, New York(1985) 

  38.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Measurement of real-ear protection of hearing protectors and physical attenuation of earmuffs, Rev ed. ANSI, S 3.19. ANSI, New York(l979) 

  39.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ardization. Acoustics Determination of occupational noise exposure and estimation of noise-induced hearing impairment(ISO 1999). Geneva: ISO(1990) 

  40. Rehm S. Research on extra-aural effects of noise since 1978, in G. Rossi(ed.)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gress on Noise as a Public Health Problem, 572 - 548(1983) 

  41. Roeser RJ, Valente M, Hosford-Dunn H. Audiology Diagnosis. New York: Thieme Medical Publishers(2000) 

  42. Watson, J. E., 'Bilateral asymmetry in noise hearing loss,' Ann Otol Rhinal Laryngol, 76, 1040 -1042(1967) 

  43. Staloff, R. T., Staloff, J., Occupational hearing loss 2nd ed. New York: Marcel Dekker ,.Inc 73 - 92(1993)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