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병원에서 치료시 발생하는 소음특성
Characteristics of Noise Radiated at Dental Clinic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1 no.12, 2009년, pp.1123 - 1128  

지동하 ((주)우림엔지니어링) ,  최미숙 (초당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과병원에서 가동되는 기기소음이 환자들에게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어 치료시(스케일링, 치아제거) 및 비치료시(기기만 가동) 소음특성(소음도,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여 PSIL, NR과 같은 평가방법으로 분석하고 환자들의 기기소음에 대한 반응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치료기기로부터 1 m 떨어진 거리에서 측정한 소음도의 범위는 67.7~78.3 dB(A)로 4 k (Hz) 이상의 고주파성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소음에 민감한 반응(기분이 거슬리거나, 병원방문을 망설임, 소름이 돋움, 깜짝 놀람)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SIL에 의한 소음 평가 및 설문조사 결과 환자와 치과종사자의 대화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NR곡선에 의한 평가 결과 NRN에 의한 각 실의 소음기준(ISO) 중 작업장의 소음기준(NRN 60~70 dB(A))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의 소음공포증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방음보호구 제공, 저소음 저진동 장비의 선택, 마스킹 효과 등의 다양한 대책을 수립 제공하면 치과의료서비스 질을 개선하고 치과병원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ise radiated from medical treatment at dental clinic will affect the patients. On such point of view, We investigated the noise characteristics in case of medical treatment (scaling, tooth eliminating) and non-medical examination (idling) and also evaluated the degree of indoor noise using the e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소음 측정방법은 “소음∙진동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7)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측정시 소음계의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1.2 m의 높이에 삼각대로 고정하여 설치하였고, 병원 내 각종 진료기기로부터 1 m 떨어진 지점에서 30 초간 측정하였다.
  • 이 연구는 치과병원에서 발생하는 치료 시(스케일링, 치아 제거) 및 비치료 시(기기만 가동) 가동되는 치료기기의 소음이 치과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PSIL, NR과 같은 평가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치과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의 기기소음에 대한 반응을 설문조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 분석에 사용된 주파수 범위는 31.5~12 k Hz까지의 1/3옥타브밴드로 각 치료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측정∙분석하였으며 소음의 평가는 PSIL과 NR곡선을 이용하였다.
  • 이러한 관점을 기초로 이 연구는 치과병원에서 가동되는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소음도 및 주파수 특성에 대한 측정∙분석을 통하여 치과병원에서 치료 시 발생하는 소음의 영향을 파악하여 치과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와 병원근무자의 대화에 미치는 정도를 평가하고 치료시 소음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PSIL과 NR로 평가하였으며3~5) 치과병원 방문자들의 치과병원에서 발생하는 기기소음에 대한 반응을 파악하기 위하여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2 m의 높이에 삼각대로 고정하여 설치하였고, 병원 내 각종 진료기기로부터 1 m 떨어진 지점에서 30 초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소음계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현장에서 녹음하였으며, 녹음된 신호를 시험실에서 분석용 프로그램(SVAN)을 이용하여 소음특성을 분석하였다. 치과 치료시 소음 측정은 Fig.
  • 치과병원에서 치료시 가동되는 각종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소음특성에 대한 측정은 치료 행위를 하는 경우(스케일링, 치아제거) 및 비치료 상태(기기만 가동)의 경우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치과병원 이용자의 소음에 대한 반응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 회화음역인 500, 1,000, 2,000, 4,000 Hz의 음압도를 산술평균한 값을 이용하여 회화 방해도를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Klumpp & Webster가 제안한 PSIL(Preferred Speech Interference Level)을 이용하여 기기발생소음의 회화방해도를 파악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병원을 이용하는 방문자들과 치과병원종사자 사이의 대화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데이터처리

  • 치과병원에서 치료시 가동되는 각종 기기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치과병원 방문자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는 치료 목적으로 치과병원을 방문하는 환자 16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식으로 조사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인 SPSS(V.1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음의 악영향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현대인은 쾌적한 환경에서 삶을 영위하고 싶은 욕망에 비하여 건설공사장, 도로교통, 항공기, 아파트 층간소음,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소음원에 노출되어 있다. 결국, 소음은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심리적으로 불안을 느끼게 되며 짜증을 증가시키는 등 직∙간접적으로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1).
치과병원에서 발생하는 진료기기의 소음에 반복적으로 노출시 얻게되는 위험은 무엇인가? 치과병원에서 발생하는 진료기기의 소음은 반복적으로 되풀이되는 강한 소음으로 대부분의 치과병원 방문자들은 높은 불쾌감과 반복적으로 노출시 청력장애의 위험을 안고 있다2).
본 연구에서 소음 측정방법은 어떻게 되는가? 소음 측정방법은 “소음∙진동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7)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측정시 소음계의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1.2 m의 높이에 삼각대로 고정하여 설치하였고, 병원 내 각종 진료기기로부터 1 m 떨어진 지점에서 30 초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소음계를 통해 들어오는 신호를 현장에서 녹음하였으며, 녹음된 신호를 시험실에서 분석용 프로그램(SVAN)을 이용하여 소음특성을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김정만, “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산업현장을 중심으로,” 대한환경공학회지, 29(2), 131-137(2007) 

  2. 김득성, 전형준, 장서일, “충격성 소음에 대한 주관적 반응-건설 공사장 소음을 중심으로,” 한국소음진동공학회지, 18(7), 746-755(2008) 

  3. 정일록, 김재용, 윤세철, 이태호, 최신 소음. 진동, 신광문화사, pp. 40-44(2002) 

  4. 주덕훈, 국정훈, 김재수, “석재가공시 발생하는 소음의 특성에 관한연구,” 한국 소음진동공학회지, 17(8), 708-719(2007) 

  5. 윤재현, 국정훈, 김재수, “댐 수차발전기 소음의 전달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30(7), 705-711(2008) 

  6. 정성화, 송근배, 장현중, 송경희, “치과병원 내원 환자들의 만족도 평가를 위한 구조 모형,”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4(1), 49-58 (2000) 

  7. 환경부, 소음?진동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 환경부 고시 제 2008-22호(200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