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북 부안군 채석강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Aids for Geological Fieldwork Based on Chaeseokgang Area, Buan-gun, Jeonbuk,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8 no.7, 2007년, pp.747 - 761  

박재문 (전북과학고등학교) ,  양우헌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이 연구는 격포 채석강 지역의 야외지질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야외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교육적 효과를 최대화하려는 것이다. 야외지질학습 자료 개발 대상인 격포 채석강(전북)은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에 위치한다. 채석강의 퇴적층(백악기)은 규모가 크고 뚜렷한 퇴적구조가 해식절벽에 나타나 있다. 이러한 뚜렷한 퇴적구조는 지구과학의 야외지질 학습 자료로서 중 고등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교육적 활용이 가능하다. 5단계 야외학습모델을 과학고 지구과학과 관련된 동아리반 학생 13명에게 적용하였다. 또한 야외 학습자료와 관련된 자료들을 이용한 실내수업 내용이 야외수업에 참여 하지 않은 학생 37명에게 발표되었다. 적용 결과, 두 수업그룹 모두에게 야외학습교육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실제적인 학습이해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aids and materials for geological fieldwork and to maximize their effects in educating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site of geological fieldwork, Kyokpo Chaeseokgang area, is located in Byunsan national park in Jeonbuk Province. The sedimentary succession of C...

주제어

참고문헌 (20)

  1. 교육인적자원부(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6 과학. 대한교과서, 서울, 244 p 

  2. 맹승호, 2004, 야외 지질 학습 수업모형에 관한 고찰. 함께하는 지구과학 교육, 3(1), 55-64 

  3. 맹승호, 위수민, 2005, 경기도 시화호 탄도 해안과 한염 지역이 야외 지질 답사 수업모형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9-27 

  4. 박진홍, 정진우, 조규성, 이병주, 2000, 중.고등학생을 위한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야외활동 지도 방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1(1), 13-21 

  5. 이창진, 정상원, 2005, 충북 괴산군 두타산 일대의 야외지질조사 학습장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6(1), 41-57 

  6.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 2002, 야외 지질 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8), 649-658 

  7. 조성권, 이철우, 손영관, 황인걸, 1995, 퇴적학. 우성, 서울, 512 p 

  8. 지호선, 2004, 격포 지역의 야외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학생들의 반응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논문, 84 p 

  9. 홍정수, 장남기, 1997, 중등학교 과학과 야외활동의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1), 85-92 

  10. Chun, S.S. and Kim, S.B., 1995, The Cretaceous Kyokpori formation, SW Korea: sub lacustrine steep-sloped delta facies.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1, 215-236 

  11. Huntoon, J.E., Bluth, G.J.S., and Kennedy, W.A., 2001, Measuring the effects of a research-based field experience on undergraduates and K-12 teacher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9 (3), 235-248 

  12. Kean, W.F. and Enochs, L.G., 2001, Urban field geology for K-8 teacher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9 (4), 358-363 

  13. Kim, S.B., 2000, Sedimentary processes and environments of the Kyokpori formation(cretaceous), SW Korea.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0 p 

  14. Kim, S.B., Chough, S.K., and Chun, S.S., 1999,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s of the cretaceous Kyokpori formation, southwest Korea. Korea Sedimentology Research Group, Field Trip Guide Book, Seoul, 71 p 

  15. Kim, S.B., Chough, S.K., and Chun, S.S., 2003, Tectonic controls on spatio-temporal development of depositional systems and generation of fining-upward basin fills in a strike-slip setting: Kyokpori Formation (cretaceous), south-west Korea. Sedimentology, 50, 639-665 

  16. Lock, R., 1998, Fieldwork in the life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 663-642 

  17. Munn, B.J., Tracy, R.J., and Jenks, P.J., 1995, A Collaborative approach to petrology field trips.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3, 381-384 

  18.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 13-17 

  19.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 (6), 325-331 

  20. Orion, N. and Hofstein, A., 1994,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10), 1097-1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