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구강건조증과 우울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Xerostomia and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4 no.3, 2007년, pp.51 - 60  

장종화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숙향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xerostom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people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xerostomia and depress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238 subjects(86.5%), who were 65 years or older with mean age of 73.6 years. Data was collected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다가오는 고령사회에 대비한 효율적인 만성질환대책 마련을 위하여 노령인구에게서 흔히 유발되는 구강건조증과 밀접한 관련 요인을 찾아보아 질병의 진단. 치료.
  •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조증세와 우울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향후 구강건조증을 해결하기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서울 소재 복지센터에 등록한 노인 238명(86.
  • 연구는 다소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노인의 구강 건강을 증진 유지시키는데 중요한 요인인 구강건조증과 우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노년기의 구강건강문제에 실제적인 해결 방안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권호근, 김영남, 김백일, 유자혜. 기초생활수급 대상 노인들의 구강건강상태 조사연구. 대한구강 보건학회지 2004;28(1):87-96 

  2. 김영남, 권호근. 저소득층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4;28(2):257-265 

  3. 박문수, 이승우, 정성창, 김영구, 염광원. 구강건조증 환자에서 필로카핀 함유 껌 사용에 따른 전타액내 항균성분의 변화.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9;24(4):347-359 

  4. 박영애, 정성화, 윤수홍, 최연희, 송근배. 포항시 일부지역 노인의 전신건강 및 식생활 습관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006;30(2):183-192 

  5. 박정순, 전주연, 박인숙. 노인들의 구강건강 관리실태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999;16(2):93-104 

  6. 백성희. 자이리톨과 솔비톨이 노인의 구강건강과 구강불편감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논문] . 서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2003 

  7. 오정규, 김연중, 고홍섭. 구강건조증환자의 임상적 특정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1; 26(4):331-343 

  8. 이선경, 현기용, 이승우. 필로카핀 투여방법에 따른 구강건조증 환자의 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4;19(2):25-44 

  9. 원선희. 구강내 잔존 타액 및 소타액선 분비 타액의 분석 [박사학위 논문] . 서울: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10. 장종화 외 5인. 의치장착노인의 구강건조증이 주관적 구강건강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구강 보건학회지 2006;34( 4) :438-446 

  11. 소종섭, 정진우, 정성창. 한국노령인구에서 구강건조증이 구강안면 동통에 미치는 영향. 대한 구강내과학회지 2004;29(3):249-256 

  12. Avcu N 외 5인. Oral findings and health statu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ged 60 or above. Arch Gerontol Geriatr 2005;41:69-79 

  13. Alexopolou GS. Depression in the elderly. Lancet 2005;21:365(9475):1961-7190 

  14. Baum BJ, Ship JA, Wu A. Salivary gland function and aging: a model for studying the interaction of aging and systemic disease. Crit Rev Oral Biol Med 1992;4:53-64 

  15. Bergdahl M, Bergdahl J. Low unstimulated salivary flow and subjective oral dryness: association with medication,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J Dent Res 2000; 79:1652-1658 

  16. Billings RJ, Proskin HM, Moss ME. Xerostomia and associated factors in a community-dwelling adults populatio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6;24: 312-316 

  17. Bephage G.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be able to identify depression in older people. J Nursing 2005;14:14-27 

  18. Cassolato SF, Turnbull RS. Xerostomia: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Gerodontology 2003;20:64-77 

  19. Chiriboga, DG, Black SA, Aranda M, Markides K.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Mexican American elders. J Gerontol B Psychol Soc Sci 2002;57(6):559-568 

  20. Fox PC, Busch KA, Baum BJ. Subjective reports of xerostomia and objective measures of salivary gland performance. J Am Dent Assoc 1987;115:581-584 

  21. Fox PC. Management of dry mouth. Dent Clin North Am 1997;41(4):863-875 

  22. Ghezzi EM, Ship JA. Aging an secretory reserve capacity of major salivary glands. J Dent Res 2003;82(10):844-848 

  23. Ikebe K 외 6인. Impact of dry mouth and hyposalivation on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Japane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7; 1:216-222 

  24. Ikebe K, Morii K, Kashiwagi J, Nokubi T, Ettinger RL. Impact of dry mouth on oral symptoms and function in removable denture wearers in Japan.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2005;99:704-710 

  25. Jeon KK, Lee MK.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 Clin Psychol 1992;11(1):65-76 

  26. Kathleen DV. The biology salivary glands. CRS Press 1994:201-227 

  27. Lamkin MS, Oppenheim FG. Structural features of salivary function. Crit Rev Oral Biol Med 1993;4:251-259 

  28. Mandel ID. The functions of saliva. J Den Res 1987;66(Spec Iss):623-627 

  29. Mandel ID. The role of saliva in maintaining oral homeostasis. J Am Dent Assoc 1987;119(2): 298-304 

  30. Mynatt SL. Depression in the older adults: recognition and nursing intervention. Tenn Nurse 2004;67(4):8-10 

  31. Percival RS, Challacombe SJ, Marsh PD. Flow rates of resting whole and stimulated parotid saliva in relation to age and gender. J Dent Res 1994;73:1416-1420 

  32. Scannapieco FA. Saliva-bacterium interactions in oral microbial ecology. Crit Rev Oral Biol Med 1994;5:203-248 

  33. Sreebny LM, Schwartz SS. A reference guide to drugs and dry mouth. Gerodontology 1986;5:75-102 

  34. Wada T, Ishine M, Sakagami,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to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three asian countries; Indonesia, Vietnam, and Japan. Arch Gerontol Geriatr 2005;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