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이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Subjective Oral Health and Oral Dryness of the Elderly Effects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437 - 445  

엄숙 (대구과학대학교 치위생과) ,  최유진 (영산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의 구강건조증이 우울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65세 이상의 노인 154명을 대상으로 1:1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 우울, 삶의 질은 상관성이 있었다.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이 삶의 질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에서, 주관적 구강건강은 삶의 질(β=.23, p<.01), 우울(β=-.24, p<.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우울이 통제될 때 주관적 구강건강의 영향력(β=.08, p>.05)은 유의하지 않아 완전 매개하였다. 구강건조증은 삶의 질(β=-.24, p<.01)과 우울(β=.37, p<.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이 통제되었을 때의 구강건조증의 영향력(β=.00, p>.05)은 유의하지 않아 완전매개 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강건강과 구강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포괄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할 필요가 있으며 추후 적용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1:1 survey of 154 elderly 65 or older to find ou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oral dryness on their quality of life through the medium of depression. As a result, the subjective oral health of the elderly and oral dryn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correlated. In th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U. Y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구강건조증이 우울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개 도시 지역의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이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우울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2018년 12월 1일부터 12월 15일 까지 경로당과 노인복지회관 등에 직접 방문하여 총 154명을 대상으로 1:1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또한 건강에 대한 개념이 포괄적으로 확대되면서 구강건강과 정신건강에 대한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이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이 우울을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 우울, 삶의 질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은 우울을 매개로 하여 노인의 삶의 질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건조증이 우울과 삶의 질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여 노인의 구강건강관리 및 구강건조증 관리의 중요성을 밝히고 나아가 노인의 구강건강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쩨.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및 구강건조증과 우울, 삶의 질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건조증이란 무엇인가? 노인의 구강건강 문제를 발생시키는 주요 요인으로는 구강건조증을 들 수 있다. 구강건조증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의 30%에서 볼 수 있는 매우 흔한 증상[4]으로 ‘구강 내 건조함에 대한 대상자의 주관적 느낌’으로 정의되며[5]. 이는 실제로 측정한 타액 분비량보다 주관적 구강건조감 정도에 근거하여 판단하게 된다[6].
노인의 구강건조증 관리가 삶의 질 만족을 위한 필수요소인 이유는 무엇인가? 구강건강은 아동기에서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생애 주기별 모두의 안녕에 큰 영향을 주며[11], 특히 노인은 음식섭취의 장애, 발음장애, 통증 유발 등 구강건강의 상태에 의해 전신건강, 행복감, 우울 및 삶의 질에 크게 영향 미친다[12]. 따라서 노인의 구강건강관리와 더불어 구강건조증 관리는 전신 및 정신적 건강과 나아가 삶의 질 만족을 위한 필수요소라 할 수 있다.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 무엇과 상관있는가? 본 연구는 노인의 구강건조증이 우울을 매개로 삶의 질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65세 이상의 노인 154명을 대상으로 1:1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 우울, 삶의 질은 상관성이 있었다. 주관적 구강건강과 구강건조증이 삶의 질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에서, 주관적 구강건강은 삶의 질(β=.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Ssurvey on public health nutriti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 Sejong. : KCDC. 

  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Survey on pub;ic health nutritio. :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jong : KCEC. 

  3. E. Hebling & A. C. Pereira. (2007). Oral health-related quality oh life: A critical appraisal of assessment tools used in elderly people. Gerodontology, 24, 151-161 

  4. Oral health textbook development committee. public oral health 2ed (2005). Gomunsa : Seoul. 

  5. S. Rayman. E. Dincer. & K. Almas. (2011). Xerostomia: Diagnosis and management in dental practice. Todays FDA., 23(6), 56-61. 

  6. J. Guggenheimer & P. A Moore. (2003). Xerostomia: etiology, recognition and tretment,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34, 61-69. 

  7. D. Locker. (1995). Xerostomia in older adults: a longitudinal study, Gerodontology, 12(1), 18-25. 

  8. S. F. Cassolato & R. S. Turnbull. (2003). Xerostomia,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 Gerodontology, 20(2), 64-77. DOI: 10.1111/j.1741-2358.2003.00064.x 

  9. Y. S. Yoon. (2006). A study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s concerning to residence at urban and rural, J. of Dental Hygiene Sci, 6(1), 23-28. 

  10. P. M. Jensen, R. L. Saunders. & T. Thierer. (2003).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 with disabilities.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6(4), 711-717. 

  11. A. Zini & H. D. Sgan-Cohen. (2008). The effect of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in an underprivileged homebound and non-homebound elderly population in Jerusalem. J Am Geriatr Soc, 56(1), 99-104. 

  12. A. S. Panchbha. (2012). Oral health care needs in the dependant elderly in india. Indian Journal of Palliative Care, 19(1), 19-26. 

  13. J. Y. Lee, Y. O. Lee & H. S. Kho. (2005). Reliability of a questionnaire for evaluation of dry mouth symptoms.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30(4), 383-389. 

  14. B. S. Kee.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 Korean Neuropsychiatr Axxoc, 35(2), 298-307. 

  15. H. I. Oh, K. H. Ju & S. W. Kim. (2015). An analysis of eco-systematic factors influencing conceived "ageism" of the ederly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babyboomer and the other elderly. KJGSW, 63, 303-330. DOI : 10.21194/kjgsw..68.201506.303 

  16. S. D. Chung, S. M. Chung & B. Y. O. Kim. (2016). The influence of intra- and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on quality of life of older people.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ra-generational interac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7(2), 253-280 DOI : 10.16999/kasws.2016.47.2.253 

  17. H. J. Lim. (2012). Factors of influencing subject oral health perception for the elderly in an urban area. J Korean Soc Dent Hyg, 12(1), 47-55. 

  18. J. H. Jang & S. H. Kim. (2007). The relationship brtween xerostomia and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4(3), 551-60. 

  19. Y. N. Kim & H. G. Kwon. (2004). The oral health status of low socioeconomic elderly people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8(1) , 87-96. 

  20. A. J. Hassel, D. Danner. K. Freier, C. Hofele, K. Becker- Bikowski & M. Engel. (2012). Oral health-related qulity of life and depression/ anxietry in long term recurrence-free patience after tretment for advanced oral squamous cell cancer. J Craniomaxillofac Surg. 40(4), 99-1021. DOI: 10.1016/j.jcms.2011.05.011 

  21. H. S. Lee & C. M. Kim. (2012). Effects of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community-dxelling korean elderly person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3(3), 338-346. 

  22. S. Y. Kim.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discomfort and depression in eldery peoplet. Master. thesis. Chinbuk National University, Iksan. 

  23. K. Ikebe et al. (2007). Impact of dry mouth and htposalivation on oral pathol oral health-realted quality of life of elderly japane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 216-222. 

  24. J. U. Back. (2012). The effect of oral health on total health quality of life between and korean and japanese.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8(1), 81-98. 

  25. E. S. Pack & J. S. Choi. (2012). The effect of health status on general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aged adualts. J Dent Hyg Sci, 12(6) 624-633. 

  26. D. Locker. (1998). Measuring oral health : a conceptual framework. Community Dental Health. 5(1), 5-13. 

  27. M. R. Lee, G. S. Han, S. J. Han & J. S. Choi. (2011). Impact of subjectively reported oral health sratus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applying the precede mode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1), 23-53. 

  28. Y. S. Nam & J. Y. Jang. (2013). Potential factors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in seoul korean senior people: based on oral health, J Dent Hyg Sci, 13(3), 281-289. 

  29. S. Y. Lim. K. J. Lee & S. J. Kim. (2016). The effect of subjective xerostomia and salivary pH in salivary glands stimulated by laughter therapy in frail elderly women. J Korea Acad Community Health Nurs, 27(1), 72-80. DOI: 10.12799/jkachn.2016.27.1.72 

  30. J. H. Lee. K. H. Kwon. Y. H. Lee. M. H. Lee & H. K. Lee. (2010). Effect of regular oral exercise on oral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long-term care. J Korean Acad Oral Health. 34(3). 422-429. 

  31. S. A. Joung & E. A. Cho. (2017). Effects of normal saline solution mouthwash on oral health status, xerostomia, halitosis and salivary pH in elders in long-term eare facilities. J Korean Gerontol Nurs, 19(3), 173-183. DOI: 10.17079/jkgn.2017.19.3.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