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이온-비이온 혼합계면활성제의 첨가가 영가철을 이용한 TCE환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tant on Reductive Dechlorination of Trichloroethylene by Zero-Valent Iron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2 no.6, 2007년, pp.38 - 45  

신민철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현덕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  양중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분원) ,  백기태 (금오공과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ele, TCE)는 지하 환경으로 누출되었을 경우 대표적인 고밀도 불용성 유체(dense non aqueous phase liquids, DNAPLs)를 형성하여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SEAR(Surfactant-enhanced aquifer remediation) 공법으로 처리를 하여도 소량이 계면활성제와 함께 지하수에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SEAR공법으로 처리 후 잔존하는 TCE가 계면활성제와 함께 존재할 때, 영가철(zero valent iron, ZVI)로 이루어진 투수성 반응벽체(PRB)에서의 TCE 거동을 조사하였다. 특히 계면활성제의 독성과 반응속도의 영향을 고려하여 양이온과 비이온 혼합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혼합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ZVI를 이용한 TCE의 분해는 계면활성제의 구조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경향을 보였다. TCE의 제거율을 살펴보면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친수성기인 polyoxyethylene(POE) 사슬이 짧을 경우 양이온 계면활성제와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였고, 상대적으로 긴 POE사슬일 경우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첨가량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였다. 친수성기가 트리메틸암모늄 (trimethylammonium)인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피리디늄(pyridinium)를 가지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보다 더 높은 TCE 제거율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SEAR 후처리를 위해 PRB 적용시 잔존하는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실제 현장적용의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ichloroethylene (TCE) is a representative dense non-aqueous phase liquid (DNAPL) and has contaminated substance environments including soil and groundwater due to leakage and careless. DNPAL, has been treated by surfactant-enhanced aquifer remediation (SEAR). After application of SEAR, groundwa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경향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염소계 유기화합물인 TCE를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SEAR 공법으로 처리 후 잔존하는 TCE를 PRB를 이용하여 처리할 경우를 가정하여, ZVI를 이용하여 TCE를 제거할 때 여러 종류의 계면활성제 및 혼합계면활성저)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TCE의 탈염소화 반응속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유사일차반응으로 가정하며 식(1>의 반응속도 식을 사용하여 반응속도상수(k)를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신승철,김영훈,고석오,2006,니켈로 코팅된 영가금속을 이용한 4-염화페놀의 환원제거율 평가,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11(3), 59-65 

  2. Arnold, W.A. and Roberts, A.L., 2000, Pathways and Kinetics of Chlorinated Ethylene and Chlorinated Acetylene Reaction with Fe(O) Particles, Environ. Sci. Technol., 34, 1794-1805 

  3. Burris, D.R. and Campbell, T.J., 1995, Sorption of Trichloroethylene and Tetrachloroethylene in a Batch Reactive Metallic Iron-Water System, Environ. Sci. Technol., 29, 2850-2855 

  4. Alessi, D.S. and Li, Z., 2001, Synergistic effect of cationic surfactants on perchloroethylene degradation by zero-valent iron, Environ. Sci Technol., 35, 3713-3717 

  5. Cho, H.-H. and Park, J.-W., 2006, Sorption and reduction of tetrachloroethylene with zero valent iron and amphiphilic moleewes, Chemosphere, 64, 1047-1052 

  6. Gillham, R.W. and O'Hannesin, S.F., 1994, Enhanced degradation of halogenated aliphatics by zero-valent iron, Ground Water, 32, 958-967 

  7. Hooker, P.D. and Klabunde, K.J., 1994, Destructive Adsorption of Carbon Tetrachloride on Iron (III) Oxide, Environ. Sci. Technol., 28, 1243-1247 

  8. Hua, J. and Hoffmann, M.R., 1996, Kinetics and Mechanism of the Sonolytic Degradation of $CCI_4$ : Intermediates and Byproducts, Environ. Sci. Technol., 30, 864-871 

  9. Johnson, T.L. and Scherer, M.M., 1996, Kinetics of Halogenated Organic Compound Degradation by Iron Metal, Environ. Sci. Technol., 30, 2634-2640 

  10. Lee, J., Yang, J.-S., Kim, H.-J., Baek, K., and Yang, J.- W., 2005, Simultaneous removal of organic and inorganic contaminants by micellar enhanced ultrafiltration with mixed surfactant, Desalination, 184, 395-407 

  11. Matheson, L.J. and Tratnyek, P.G, 1994, Reductive Dehalogenation of Chlorinated Methanes by Iron Metal, Environ. Sci. Technol, 28, 2045-2053 

  12. Rao, P. and He, M., 2005, Adsorption of anionic and nonionic surfactant mixtures from synthetic detergents on soils, Chemosphere, 63, 1214-1221 

  13. Schreier, C.G and Reinhard, M., 1994, Transformation of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by iron and manganese powders in buffered water and in landfill leachate, Chemosphere, 29, 174-31753 

  14. Pennel, K.D., Jin, M., Abriola, L.M., and Pope, G.A., 1994, Surfactant enhanced remediation of soil columns contaminated by residual tetrachloroethylene, J. Contam. Hydrol., 16(1),35-53 

  15. USEPA, 1998, Permeable Reactive Barrier Technologies For Contaminant Remediation. EPA 600-R-98-l25 

  16. Zhao, B., Zhu, L., and Yang, K., 2006, Solubilization of DNAPLs by mixed surfactant: Reduction in partitioning losses of nonionic surfactant, Chemosphere, 62, 772-7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