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계학적 모델을 이용한 중금속 토양 세척의 효율 분석에 관한 연구
Research with Statistical Model to Analyze Efficiency of Heavy Metal Soil Washing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3 no.1, 2018년, pp.14 - 24  

오상영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유종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백기태 (전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한승 (건국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재우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oil washing, there are many variables including types of reagent and contaminant, washing time, soil-liquid ratio, washing cycles, washing agent concentrations, and etc. To identify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soil washing proces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eight single variabl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토양세척 문헌 중 자료가 가장 많은 EDTA를 대표 세척제로 선정하였고 중금속 오염물질은 Cu, Pb, Zn로 선정하여 문헌을 검색하였다. 10개의 문헌에서 75개의 세척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통해 세척 효율과 W/H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W/H 모델의 신뢰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MP의 범위에 따라 자료 집단을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그룹에 대하여 상관관계 분석이 실시되었다.
  • 토양 세척의 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변수들 중에서, 그 영향력이 큰 인자들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실 규모의 토양 세척 문헌자료를 수집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W/H(molar ratio of Washing agent to Heavy metal) 변수를 구성하였다. 구성한 W/H 변수를 실제 토양 세척 실험과 문헌데이터에 적용하여, 세척제의 효율을 거시적으로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수들을 통제하지 않고, 거시적으로 효율을 한 번에 분석,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토양 세척의 효율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변수들 중에서, 그 영향력이 큰 인자들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실 규모의 토양 세척 문헌자료를 수집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W/H(molar ratio of Washing agent to Heavy metal) 변수를 구성하였다.
  • 따라서 세척제 – 중금속 몰비율과 세척 시간, 세척 횟수 변수를 조합하여 새로운 변수를 만들어낸 뒤, 이를 토양 세척에서의 대표 영향 인자로서 사용하여 중금속 제거효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W/H 변수를 활용하여 세척제의 중금속 제거 효율을 비교하고 더 나아가 효율을 예측할 수 있는 W/H 모델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신뢰성을 입증하기 위해,실제 중금속 세척 실험 자료와 문헌 자료를 W/H 모델에 적용하였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실험실 규모 실험의 결과가 사용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중금속으로 단일 또는 복합 오염된 다양한 토양에서의 토양 세척 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W/H 변수를 제시하고, W/H 변수를 활용하여 효율의 변화 양상을 관찰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실험실 규모의 실험 자료를 W/H 변수에 적용시킨 결과 5가지 중금속 모두에서 합성 킬레이트 세척제인 EDTA와 NTA의 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아세트산, 구연산, 옥살산, 말산 4가지의 유기산 세척제는 비교적 효율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토양 세척의 효율을 분석하기위한 첫 번째 단계에서는 다양한 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기 위한 새로운 인자를 설정하고, 실험실 규모의 실험 자료를 적용하여 새로운 인자의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판단하고자 하였다. 앞서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척제와 중금속의 몰비율이 세척효율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 2016). 대부분의 문헌에서는 몰비율의 값이 1보다 클 때 중금속 제거 효율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으며, 평형상태 도달 이전까지는 몰비율의 값이 증가할수록 효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고 보고하였다(Elliott and Brown, 1989; Kim et al., 2003;Steele and Pichtel, 1998; Pichtel and Pichtel, 1997;Pichtel et al.
토양 세척 공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토양 세척 공법은 다양한 변수가 유기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빈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효율을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다양한 토양 세척의 인자들의 영향을 분석한 문헌에서는 다른 인자들에 비하여 중요한 영향 인자들을 세척제와 중금속의 몰비율, 세척 시간, 세척 횟수로 제안한 바 있다(Ferraro et al.
토양 세척 공법에서 세척 횟수가 중요한 인자임에도 불구하고,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가 드문 이유는 무엇인가? 세척 횟수의 경우 중요한 영향 인자임에도 불구하고, 효율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가 매우 드물다. 이는 토양 세척의 효율이 다른 공법에 비하여 매우 높기 때문에 오염물질 함유량이 높지 않을 경우 대부분 1번의 토양 세척을 통해 중금속 규제 기준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문헌에서는 세척 횟수에 따른 토양 내 중금속 존재상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토양 세척 횟수에 대한 실험 및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중금속의 제거 효율에 관한 분석 연구는 크게 다뤄지지 않았다(Che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bumaizar, R.J. and Smith, E.H., 1999, Heavy metal contaminants removal by soil washing, J. Hazard. Mater., 70(1-2), 71-86. 

  2. Barona, A., Aranguiz, I. and El as, A., 2001, Metal associations in soils before and after EDTA extractive decontamination: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further clean-up procedures, Environ. Pollut., 113(1), 79-85. 

  3. Begum, Z.A., Rahman, I.M.M., Tate, Y., Sawai, H., Maki, T., and Hasegawa, H., 2012, Remediation of toxic metal contaminated soil by washing with biodegradable aminopolycarboxylate chelants, Chemosphere, 87(10), 1161-1170. 

  4. Chen, C., Chen, Y., Xie, T., Wang, M.K., and Wang, G., 2015, Removal, redistribution, and potential risks of soil Cd, Pb, and Zn after washing with various extractants, Environ. Sci. Pollut. Res., 22(21), 16881-16888. 

  5. Chen, C., Tian, T., Wang, M.K., and Wang, G., 2016, Release of Pb in soils washed with various extractants, Geoderma, 275, 74-81. 

  6. Cline, S.R. and Reed, B.E., 1995, Lead Removal from Soils via Bench-Scale Soil Washing Techniques, J. Environ. Eng., 121(10), 700-705. 

  7. Di Palma, L. and Mecozzi, R., 2007, Heavy metals mobilization from harbour sediments using EDTA and citric acid as chelating agents, J. Hazard. Mater., 147(3), 768-775. 

  8. Di Palma, L. and Medici, F., 2002, Recovery of copper from contaminated soil by flushing, Waste Manag., 22(8), 883-886. 

  9. Elliott, H.A. and Brown, G.A., 1989, Comparative evaluation of NTA and EDTA for extractive decontamination of Pb-polluted soils, Water Air Soil Pollut., 45(3), 361-369. 

  10. Ferraro, A., Fabbricino, M., van Hullebusch, E.D., Esposito, G., and Pirozzi, F., 2016, Effect of soil/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and process operational conditions on aminopolycarboxylates enhanced soil washing for heavy metals removal: a review, Rev. Environ. Sci. Biotech., 15(1), 111-145. 

  11. Gao, Y., He, J., Ling, W., Hu, H., and Liu, F., 2003, Effects of organic acids on copper and cadmium desorption from contaminated soils, Environ. Int., 29(5), 613-618. 

  12. Kim, C.S., Lee, Y.W., and Ong, S.K., 2003, Factors affecting EDTA extraction of lead from lead-contaminated soils, Chemosphere, 51(9), 845-853. 

  13. Kim, E.J., Jeon, E.K., and Baek, K.T., 2016, Role of reducing agent in extraction of arsenic and heavy metals from soils by use of EDTA, Chemosphere, 152(Supplement C), 274-283. 

  14. Kim, K.W., Ko, M.S., Kim, A.Y., Kim, J.W., Kim, J.Y., Lee, B.T., Lee, J.S., and Lee, J.U., 2012, The 2010 Korean soil preservation act: Will stabilization techniques still be feasible?, Geochem. J., 46(1), e17-e19. 

  15. Korea MoE., 2016, 2015 Soil Monitoring Network and Result of Soil Pollution Investigation. 

  16. Korea NIER., 2015, Studies on Development of Site Investigation Guidance and Validations of Soil Remediation (II). 

  17. Lim, T.T., Tay, J.H., and Wang, J.Y., 2004, Chelating-Agent-Enhanced Heavy Metal Extraction from a Contaminated Acidic Soil, J. Environ. Eng., 130(1), 59-66. 

  18. Ma, L.Q. and Rao, G.N., 1997, Chemical Fractionation of Cadmium, Copper, Nickel, and Zinc in Contaminated Soils, J. Environ. Qual., 26(1), 259-264. 

  19. Nascimento, C.W.A., Amarasiriwardena, D., and Xing, B., 2006, Comparison of natural organic acids and synthetic chelates at enhancing phytoextraction of metals from a multi-metal contaminated soil, Environ. Pollut., 140(1), 114-123. 

  20. Neale, C.N., Bricka, R.Y., and Chao, A.C., 1997, Evaluating acids and chelating agents for removing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s, Environ. Prog. Sustain. Energy., 16(4), 274-280. 

  21. Norvell, W.A., 1984, Comparison of Chelating Agents as Extractants for Metals in Diverse Soil Materials, Soil Sci. Soc. Am. J., 48, 1285-1292. 

  22. Papassiopi, N., Tambouris, S. and Kontopoulos, A., 1999,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Calcareous Contaminated Soils by EDTA Leaching, Water Air Soil Pollut., 109(1), 1-15. 

  23. Perez-Esteban, J., Escolastico, C., Moliner, A., and Masaguer, A., 2013, Chemical speciation and mobilization of copper and zinc in naturally contaminated mine soils with citric and tartaric acids, Chemosphere, 90(2), 276-283. 

  24. Peters, R.W., 1999, Chelant extraction of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s, J. Hazard. Mater., 66(1-2), 151-210. 

  25. Pichtel, J. and Pichtel, T.M., 1997, Comparison of Solvents for Ex Situ Removal of Chromium and Lead from Contaminated Soil, Environ, Eng. Sci., 14(2), 97-104. 

  26. Pichtel, J., Vine, B., Kuula-Vaisanen, P. and Niskanen, P., 2001, Lead Extraction from Soils as Affected by Lead Chemical and Mineral Forms, Environ. Eng. Sci., 18(2), 91-98. 

  27. Polettini, A., Pomi, R., and Rolle, E., 2007, The effect of operating variables on chelant-assisted remediation of contaminated dredged sediment, Chemosphere, 66(5), 866-877. 

  28. Qiao, J., Sun, H., Luo, X., Zhang, W., Mathews, S., and Yin, X., 2017, EDTA-assisted leaching of Pb and Cd from contaminated soil, Chemosphere, 167(Supplement C), 422-428. 

  29. Qiu, R., Zou, Z., Zhao, Z., Zhang, W., Zhang, T., Dong, H., and Wei, X., 2010, Removal of trace and major metals by soil washing with Na2EDTA and oxalate, J. Soils Sediments, 10(1), 45-53. 

  30. Quartacci, M.F., Baker, A.J.M., and Navari-Izzo, F., 2005, Nitrilotriacetate- and citric acid-assisted phytoextraction of cadmium by Indian mustard (Brassica juncea (L.) Czernj, Brassicaceae), Chemosphere, 59(9), 1249-1255. 

  31. Reed, B.E., Carriere, P.C., and Moore, R., 1996, Flushing of a Pb(II) Contaminated Soil Using HCl, EDTA, and $CaCl_2$ , J. Environ. Eng., 122(1), 48-50. 

  32. Ruley, A.T., Sharma, N.C., Sahi, S.V., Singh, S.R., and Sajwan, K.S., 2006, Effects of lead and chelators on growth, photosynthetic activity and Pb uptake in Sesbania drummondii grown in soil, Environ. Pollut., 144(1), 11-18. 

  33. Steele, M.C. and Pitchel, J., 1998, Ex-Situ Remediation of a Metal-Contaminated Superfund Soil Using Selective Extractants, J. Environ. Eng., 124(7), 639-645. 

  34. Suanon, F., Sun, Q., Dimon, B., Mama, D., and Yu, C.P., 2016, Heavy metal removal from sludge with organic chelators: Comparative study of N, N-bis (carboxymethyl) glutamic acid and citric acid, J. Environ. Manag., 166, 341-347. 

  35. Sun, B., Zhao, F.J., Lombi, E., and McGrath, S.P., 2001, Leaching of heavy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s using EDTA, Environ. Pollut., 113(2), 111-120. 

  36. Sungur, A., Soylak, M., and Ozcan, H., 2014, Investigation of heavy metal mobility and availability by the BCR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relationship between soil properties and heavy metals availability, Chem. Spec. Bioavailab., 26(4), 219-230. 

  37. Sungur, A., Soylak, M., Yilmaz, E., Yilmaz, S., and Ozcan, H., 2015, Characterization of Heavy Metal Fractions in Agricultural Soils by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Properties and Heavy Metal Fractions, Soil Sediment Contam., 24(1), 1-15. 

  38. Tandy, S., Bossart, K., Mueller, R., Ritschel, J., Hauser, L., Schulin, R., and Nowack, B., 2004, Extraction of Heavy Metals from Soils Using Biodegradable Chelating Agents, Environ. Sci. Technol., 38(3), 937-944. 

  39. Udovic, M. and Lestan, D., 2009, Pb, Zn and Cd mobility, availability and fractionation in aged soil remediated by EDTA leaching, Chemosphere, 74(10), 1367-1373. 

  40. Wang, J., Jiang, J., Li, D., Li, T., Li, K., and Tian, S., 2015, Removal of Pb and Zn from contaminated soil by different washing methods: the influence of reagents and ultrasound, Environ. Sci. Pollut. Res. Int., 22(24), 20084-20091. 

  41. Wei, M., Chen, J., and Wang, X., 2016, Removal of arsenic and cadmium with sequential soil washing techniques using Na2EDTA, oxalic and phosphoric acid: Optimization conditions, removal effectiveness and ecological risks, Chemosphere, 156, 252-261. 

  42. Wuana, R.A., Okieimen, F.E., and Imborvungu, J.A., 2010,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a contaminated soil using organic chelating acids, Int. J. Environ. Sci. Technol., 7(3), 485-496. 

  43. Yan, D.Y.S., Yip, T.C.M., Yui, M.M.T., Tsang, D.C.W., and Lo, I.M.C., 2010, Influence of EDDS-to-metal molar ratio, solution pH, and soil-to-solution ratio on metal extraction under EDDS deficiency, J. Hazard. Mater., 178(1-3), 890-894. 

  44. Yang, J.S., Lee, J.Y., Park, Y.T., Baek, K.T., and Choi, J.Y., 2010, Soil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Metallic Mine Area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J. Soil Groundwater Environ., 15(3), 1-6. 

  45. Zou, Z., Qiu, R., Zhang, W., Dong, H., Zhao, Z., Zhang, T., Wei, X., and Cai, X., 2009, The study of operating variables in soil washing with EDTA, Environ. Pollut., 157(1), 229-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