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의 출산력과 정책적 함의
Recent Fertility and its Policy Implications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30 no.3, 2007년, pp.137 - 156  

박경애 (통계청 인구동향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합계출산율이 2005년 1.08이라는 최저치에서 2006년 1.13으로 증가하면서, 이 증가가 각종 정책의 결과이기 때문에 출산력 증가가 지속될 것이라는 주장과 일시적일 것이라는 주장 간 논란이 있다. 이 연구는 인구동태신고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의 출산력 변화를 집중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정책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출산순위별 템포조정합계출산율, 모의 연령 및 출산순위별 출산율, 연령별 유배우 출산율, 연령별 유배우 이혼율 등을 분석하였다. 전년대비 2006년 합계출산율과 출생아수가 증가한 것은 여성의 초혼과 첫째아 출산의 연기가 주춤해지면서 주로 30대 초반의 첫째아 출산 증가에 기인한다. 2006년과 2007년에는 20대 후반 여성인구의 증가(제3차 베이비붐 효과) 및 초혼의 급증으로 2007년과 2008년에는 출생아수가 증가할 것이다. 다만, 20대의 미혼율은 증가하구 유배우 출산율은 감소 추세이어서 장기적 관점의 출생아수 및 출산율 증가는 미지수이다. 또한, 첫째아와 둘째아의 출산율은 급속도로 저하되는데 반해, 셋째아 이상은 변화가 없으며, 둘째아 출산이 출산연령조정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셋째아 이상을 출산하도록 장려하는 것보다는 첫째아, 둘째아를 낳을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조성이 더 필요하고 현실적임을 시사한다. 아울러, 사회적 양육대책 마련, 고령출산에 따른 모자보건문제, 다문화가정지원책 필요성 등을 언급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tal fertility rate (TFR) increased from the lowest 1.08 in 2005 to 1.13 in 2006, and a debate is made whether the increase is temporary or continuous as a result of various pro-natal policies.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policy implications revealed in recent fertility change using vital statist...

주제어

참고문헌 (31)

  1. 공선영 (2006) '경제위기 이후 인구학적 특성 및 사회경제적 특성이 기혼 여성의 출산에 미친 영향' 19(1): 119-149 

  2. 김두섭 (2005) '한국의 제2차 출산력 변천과 그 인과구조' 1 (1): 23-53 

  3. 김두섭 (2007) 집문당 

  4. 김태헌 (2005) '가치관 변화와 저출산' 102: 16-24 

  5. 김태헌. 이삼식. 김동희 (2006)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인구센서스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29(1): 1-23 

  6. 김현숙. 류덕현. 민희철 (2006) 한국조세연구원 

  7. 보건복지부 (2007a) '금년도 저출산 3.4조원. 고령사회대비 3.9조원, 총 7.3조원 지원키로-정부와 지방자치단체 팔 걷고 나선다' 1. 31. 보도자료 

  8. 보건복지부 (2007b) '출생아수 및 합계출산율 당초 예상보다 크게 증가' 5.8. 보도자료 

  9. 보건복지부 (2007c) '선천성이상아 조사 결과' 5. 17. 보도자료 

  10. 유삼현 (2006) '지역별 차별출산력의 분석: 저출산 인과구조의 이해' 2(2): 53-76 

  11. 은기수 (2001) '결혼연령 및 결혼코호트와 첫 출산간격의 관계' 35(6): 105-139 

  12. 은기수 (2004) 여성부 

  13. 이삼식 외 (2005)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전광희 (2002) '출산력' pp.81-113 김두섭. 박상태. 은기수 편 통계청 

  15. 전광희 (2006) '한국의 혼인력과 출산력: 추이와 전망' 대한통계협회 32(1/2): 60-90 

  16. 통계청 (2006) 

  17. 통계청 (2007a) 

  18. 통계청 (2007b) 

  19. 통계청 (2007c) 

  20. Bongaarts, John and G. Feeney (1998) 'On the quantum and tempo of fertilit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4(2): 271-291 

  21. Bongaarts, John (1999) 'The fertility impact of changes in the timing of childbearing in the developing world' Population Studies 53 (3): 277-289 

  22. CSOI(Central Statistics Office Ireland, Department of the Taoiseach(Prime Minister)) (2007) http://www.cso.ie/census 

  23. Choe, Minja Kim, Larry L. Bumpass and Noriko O. Tsuya (2004) 'Employment' pp. 95-113 in Marriage. Work and Family Life in Comparative Perspective, edited by Norik. O Tsuya and Larry L. Bumpass. Honolulu. HI: University of Hawaii Press 

  24. Choe, Minja Kim R. Retherford and S. K. Kim (2004) 'Very low fertility in South Korea: Patterns and Prospects' Paper presented at the 2004 Annual Meeting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25. Choe, Minja Kim and Kyung Ae Park (2006) 'Fetility decline in SouthKorea: Forty years of policy-behavior dialogu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9(2): 1-27 

  26. Kohler, Hans-Peter, F. C. Billiari and J. A. Ortega (2002) 'The emergence of lowest-low fertility in Europe during the 90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8(4): 641-680 

  27. Lee, Jungmin and Myungho Paik (2006) 'Sex preferences and fertility in South Korea during the year of the horse' Demography 43(2): 269-292 

  28. Park, Kyung Ae (2006) 'Fertility decline in Korea: Trends, determinants, and policy implications' Population and Society 2(2): 77-113 

  29. Statistics Bureau.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Japan (2007) http://www.stat.go.jp 

  30. Census Bureau. US Department of Commerce (2006) http://www.census.gov 

  31. Yi, Zeng and Kenneth Land (2001) 'A sensitivity analysis of the Bongaarts-Feeney method for adjusting bias in observed period total fertility rates' Demography 38(1): 17-2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