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류와 한국 드라마, 그리고 여성의 팬덤
Korean Wave, Korean Drama, and Women's Fandom 원문보기

방송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12 no.5, 2007년, pp.414 - 422  

심두보 (성신여자대학교 문화 커뮤니케이션학부 방송커뮤니케이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한류현상의 중심에 놓여 있는 한국 TV 드라마의 국내외적 위치를 살펴보고, 한류, 특히 TV 드라마가 성장할 수 있었던 원인을 열렬한 팬덤에서 찾고 있다. 논문은 팬덤을 연구함으로써 자본주의적 문화산업의 상품을 소비자가 어떤 방식으로 소비하고 타협하며, 이로부터 의미를 찾아내어 자신들의 문화, 즉 대중문화로 재생산하는지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의 팬덤을 관점으로 삼아 한국 드라마가 어떤 과정을 거쳐 팬덤을 형성해 왔고, 국내외적으로 여성의 장르로서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는지, 팬덤의 역할은 무엇인지, 한국 드라마는 최근의 트렌드 - 남성 시청자에게 주로 소구하는 사극(史劇) 제작의 트렌드 - 에 따라 남성의 장르로 진화하고 있는지 등의 문제를 살펴본다. 그리고, 한류가 기본적으로 국제간 문화교류라는 점에 비추어 소프트파워(soft power)로서의 한류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짚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find the reasons for Korean television drama being popular in Asia. In particular, the author argues that the role of women's Korean drama fandom is important in the popularity of Korean television drama. What is the role of fandom? How is the gender identity related to women's 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 드라마가 어떤 과정을 거쳐 팬덤을 형성해 왔고, 국내외적으로 여성의 장르로서 자리매김을 하게 되 었는지, 팬덤은 드라마 제작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한국 드라마의 최근의 트렌드 - 민족주의가 강화된 내용의 사극(史劇) 제작의 트렌드 - 는 한류의 국제간 문화교류라는 성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지 등의 문제를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논의하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드라마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으로 글을 맺고자 한다. 다음 장에서 우리는 성적 주체성 (gender identity)에 대해 간략한 논의를 하고 이를 통해 성적 주체성이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 그리고, 마지막으로 드라마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으로 글을 맺고자 한다. 다음 장에서 우리는 성적 주체성 (gender identity)에 대해 간략한 논의를 하고 이를 통해 성적 주체성이 텔레비전 드라마 시청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3)
  • 본 논문은 여성의 팬덤을 관점으로 삼아 한류 현상과 한국 TV 드라마를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 드라마가 어떤 과정을 거쳐 팬덤을 형성해 왔고, 국내외적으로 여성의 장르로서 자리매김을 하게 되 었는지, 팬덤은 드라마 제작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한국 드라마의 최근의 트렌드 - 민족주의가 강화된 내용의 사극(史劇) 제작의 트렌드 - 는 한류의 국제간 문화교류라는 성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지 등의 문제를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논의하겠다.
  • 결국 여성은, 특히 아줌마라 불리는 전업주부는, 순종적인 삶을 살아야만 한다는 신화의 재생산에 다름 아니었던 것이다. 이러한 1970-80년대적 드라마와 구별되는, 2000년대 드라마가 그리는 여성상의 두 가지 특징들을 살펴보자.
  • 조금 익살스런 면도 있는 이 가사를 통해 지역 남성들은 송승헌으로 대표되는 한국 남자배우와 한국 드라마에 빠져있는 지역 여성들이 자신들이 구축한 성적 헤게모니를 위협하는 현실과 타협하고자 한다. 성(性)의 관점에서 한류를 바라볼 때, 한류팬들이 주로 여성이라면 항(抗)한류, 혐(嫌) 한류 발언을 하는 중국의 배우 청룽, 장궈리 등은 모두 남성이다 (유광종, 김현기, 2005).
  • TV 드라마를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 드라마가 어떤 과정을 거쳐 팬덤을 형성해 왔고, 국내외적으로 여성의 장르로서 자리매김을 하게 되 었는지, 팬덤은 드라마 제작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한국 드라마의 최근의 트렌드 - 민족주의가 강화된 내용의 사극(史劇) 제작의 트렌드 - 는 한류의 국제간 문화교류라는 성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지 등의 문제를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논의하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드라마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으로 글을 맺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고재열 (2005) '한류의 미래' 그것이 알고 싶다, 시사저널 1월 6일자, pp. 72-76 

  2. 김영호. (2007) 역류하는 한류, 문화일보 2월 26일자 30면 

  3. 김예란 (2004) 수동적 시청자에서 문화척 소비자로. 신문과 방송 2월 호 pp. 75-79 

  4. 김지현 (2006) 잊혀진 제국 고구려, 사극으로 부활하다. 무비위크. 6월 28일자 pp. 92-94 

  5. 김호석 (2005) 한목인 기질이 소프트 경쟁력원. 중앙일보. 1월 6일자 p. 5 

  6. 문화관광부 (2003). 2003 언론보도자료. 9월 25일. 서울: 문화관광부 

  7. 박은경 (2003). god, 스타덤과 팬텀. 서울: 한울 

  8. 박지영 (2002) 스타 파워가 '한류의 힘'. 중앙일보. 8월 23일자, p. 19 

  9. 원용진 (2000) 텔레비전 비평론. 서울: 한울 

  10. 유광종, 김현기 (2005) '혐한류' '항한류' 왜 생기나, 중앙일보. 10월 21일자 p. 5 

  11. 윤석진 (2004) '캔디렐라' 따라 울고 웃는다. 시사저널 9월 30일자. p 114 

  12. 이명호 (2004) 욘사마 신드롬파 아줌마의 힘. 시사저널 12월 23일자 p. 97 

  13. 최형규 (2007). 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 2775222 

  14. 허진. (2002) 중국의 한류 현상과 한국 TV 드라마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6(1): 496-529 

  15. 히라타 유키에. (2005). 한국을 소비하는 일본-한류,여성,드라마 서울:책세상 

  16. Brown, M. E. (1990). Television and Women's Culture, London: Sage 

  17. D'Acci. J. (1994). Defining women. Chapel Hill: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8. de Certeau, M. (1984).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 Fiske, J. (1987). Television culture. London: Methuen 

  20. Fiske, J. (1989).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London: Unwin Hyman 

  21. Fiske, J. (1990).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London: Routledge 

  22. Gillespie, M. (2005). Media audiences. London: Open University Press 

  23. Hall, S. (1981). Notes on Deconstrncting the 'Popular'. in Samuel, R.,(ed.) People's History and Socialist Theory. Loudon: Routledge and Kegan Paul 

  24. Jenkins, H. (1992). Textual poachers. New York: Taylor & Francis 

  25. Lacan, J. (1973). The four fundamental concepts of psycho-analysis.London: Penguin Books 

  26. Lee, S. (2005). Genre analysis of Korean television dramas popular in Asia. Asian Communication Research 2(1), 48-69 

  27. Li, X. (2005). S. Korea rides high on soft power. The Straits Times. Nov. 30, pp. 1-2 

  28. Mcl.uhan, M. (1995). Essential McLuhan. Eric McLuhan and Frank Zingrone (eds.) New York: Harper Collins 

  29. Newcomb, H.M. and P.M. Hirsch (1983). Televisiou as a cultural forum: Implications for research. Quarterly Review of Film Studies 8(3), 45-55 

  30. Ong, A. (2005, Dec. 20). A show of courage. The Straits Times. p. 11 

  31. Ridgeway, C. (1992). Gender, interaction and inequality. London: Springer-Verlag 

  32. Schatz, T. (1981). Hollywood genres. Bostou: McGraw-Hill 

  33. Shim, D. (2006). Hybridity and the rise of Korean popular culture iu Asia. Media, Culture & Society 28(1), 25-44 

  34. Storey, J. (2006).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An Introduction. Athens: University of Georgia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