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에 특발성 중추성 요붕증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임상, 내분비학 및 방사선학적 경과
Clinical, endocrinological and radiological courses in patients who was initially diagnosed as idiopathic central diabetes insipidu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50 no.11, 2007년, pp.1110 - 1115  

정승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성용 (서울특별시립 보라매병원) ,  신충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양세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 중추성 요붕증 중에서 일부는 후에 뇌종양이 발견된다. 이에 저자들은 요붕증 진단 시 특발성 중추성 요붕증으로 진단 받은 20명의 환자들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 그리고 내분비학적 경과를 추적 관찰하여 기질성 원인으로의 진행 유무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방 법 : 1984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중추성 요붕증으로 진단 받았던 환자들 중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뚜렷한 기질적 원인의 증거가 없었던 20명의 환자들에서 후향적으로 임상소견과 검사소견을 검토하였다. 중추성 요붕증 진단 시 뇌종양, 선천성 중추신경계 기형이 있는 경우는 제외시켰다. 결 과 : 남아 15명, 여아 5명이었고, 진단 시 평균 연령은 $7.8{\pm}3.6$(2.1-14.7)세로, 야뇨증이 11명, 두통이 4명, 구토가 2명에서 있었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8.6{\pm}5.1$(1.5-18)년 이었다. 추적관찰 도중 뇌종양으로 진단 받은 환자는 6명(30%)이었다(생식세포종 5명, 랑게르한스 조직구증 1명; 추적기간 $2.6{\pm}2.1$년). 성장호르몬결핍증은 10명(50%)에서 관찰되었다. 복합 뇌하수체전엽호르몬결핍은 뇌종양 환자군에서 비뇌종양 환자군에서보다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60% vs. 7%, P=0.037). 진단 시 뇌하수체 줄기 비후는 9명(47%), 뇌하수체 후엽 신호 소실은 9명(47%)에서 관찰되었으며, 추적 중 새롭게 뇌하수체 줄기 비후가 생긴 3명의 환자 모두에서 뇌종양이 발생하였다. 결 론 : 특발성 중추성 요붕증 환자의 일부는 추적관찰 중 뇌종양을 발견할 수 있는데, 특히 복합 뇌하수체전엽호르몬결핍증이 동반되거나, 뇌하수체 줄기 비후가 새롭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더욱 세심한 뇌종양에 대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Idiopathic central diabetes insipidus (CDI) is defined in CDI patients without definite etiology. Some patients initially diagnosed as idiopathic CDI progressed to organic causes. We reviewed clinical, endocrinological, and radiological courses of 20 patients who was initially diagnosed as...

주제어

참고문헌 (17)

  1. Horm Res Maghnie 59 Suppl 1 42 2003 

  2. J Pediatr Endocrinol Metab Ghirardello 20 359 2007 10.1515/JPEM.2007.20.3.359 

  3. Pediatr Rev Saborio 21 122 2000 10.1542/pir.21-4-122 

  4. Pediatr Neurol Wang 11 273 1994 10.1016/0887-8994(94)90001-9 

  5. N Engl J Med Maghnie 343 998 2000 10.1056/NEJM200010053431403 

  6. Eur J Pediatr De Buyst 166 43 2007 10.1007/s00431-006-0206-0 

  7. J Paediatr Child Health Al-Agha 37 172 2001 10.1046/j.1440-1754.2001.00640.x 

  8. Lancet Charmandari 353 2212 1999 10.1016/S0140-6736(99)00317-7 

  9. J Clin Endocrinol Metab Mootha 82 1362 1997 

  10. Horm Res Czernichow 53 Suppl 3 61 2000 

  11. Korean J Pediatr Yoo 47 970 2004 

  12. J Korean Pediatr Soc Lee 30 882 1987 

  13. Horm Res Garel 67 194 2007 

  14. J Clin Endocrinol Metab Maghnie 74 795 1992 10.1210/jcem.74.4.1548343 

  15. Am J Neuroradiol Maghnie 18 1749 1997 

  16. N Engl J Med Imura 329 683 1993 10.1056/NEJM199309023291002 

  17. Clin Endocrinol (Oxf) Maghnie 65 470 2006 10.1111/j.1365-2265.2006.02616.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