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중기 두류 수급 현황과 콩 음식 문화 고찰 - 오희문(吳希文)의 『Shaemirok (쇄미록(瑣尾錄))』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Consumption Status of Beans and the Soybean Food Culture in the Mid-Joseon Period According to Shamirok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4 no.3, 2019년, pp.241 - 254  

김미혜 (호서대학교 생명보건대학 식품영양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searched the food culture and bean economy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16th century and according to the primary lifestyle reference "Shaemirok (?尾錄)". The research analyzed the textual contents of the "Shaemirok (?尾錄)". It is clear that the people of th...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6세기 생활사의 주요 사료인 『Shaemirok (瑣瑣尾錄)』 분석을 통하여 조선 중기 두류의 소비 현황과 콩 음식 문화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6세기 생활사의 주요 사료인 『Shaemirok (瑣尾錄)』 분석을 통하여 조선 중기 두류의 수급 현황과 콩음식 문화를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해주(海州) 오씨 가문에서 지원하고 비영리사단법인에서 번역 발간한 국역 『Shaemirok (瑣尾錄)』 2권을 2차 자료로 분석하였다.
  • 따라서 『Shaemirok (瑣尾錄)』 문헌연구는 국역으로 번역 검증된 2차 사료를 분석하였고, 일기에 기술된 식품이나 음식과 관련된 단어를 모두 수집한 후 콩 관련된 식품 두(豆), 태(太) 그리고 콩 음식과 관련된 시(柹), 장(醬), 죽(粥), 떡(餠) 등을 추출한 후 공통된 특성을 갖는 것끼리 항목별로 분류 하였다. 본문 내용의 스토리와 분류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보를 해석하였으며, 관련 시대적 상황과 환경을 고려하여 그 이면의 심층 내용을 추론해 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콩을 활용한 음식은? 콩을 활용해 온 역사가 오래된 만큼 콩을 이용한 음식도 다양하다. 조미료인 콩으로 담근 장류를 비롯하여 두부, 비지, 콩국, 콩나물, 콩가루, 콩기름 등의 가공식품과 함께 콩 볶음, 삶은 콩, 찐 콩을 비롯하여 밥, 죽, 면 등 주식과 더불어 국, 찌개에서부터 만두 소, 떡, 다과류에 이르기까지 폭 넓게 활용되었다(Park 2016).
플라시보 소비 트랜드란? 최근 미국과 유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식물성 육류대체식품(plant-based meat) 소비 성향은 건강 지속 가능한 ‘슈퍼 푸드’로서 콩의 가능성을 증진시키고 있고, 가격 대비 만족을 추구하려는 플라시보 소비(Kim et al. 2017) 트랜드를 이끌고 있다. 또한 콩은 영양성분이 풍부하고 경제적이라 식량안보에 기여하며 지속 가능한 농업을 조성하고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에 기여하여 윤리적 소비를 가능하게 한다(Hoe 2018).
콩 단백질의 장점은? 특히 콩 음식은 우리민족 에게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과 지방의 공급원으로서 그 의의 가 크다. 콩 단백질은 쌀 등의 곡류보다 2-3배 많은 단백질 함량을 보유하고 있고 훌륭한 식이섬유 급원이다. 콩의 영양, 기능성분 뿐 아니라 발효과정에서 생기는 유익한 성분으로 부터 각종 만성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증명되고 있다(Park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nderson T, Rourke L, Garrison DR, Archer W. 2001. Assessing teaching presence in a computer conference context.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5(2):1-17 

  2. Cha GH. 2007. The consumption patterns of animal foods in the sixteenth century as observed through Shamirok.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23(5):703-719 

  3. Cho JS. 2002. Changes in Korean soybean culture. Korea soybean Digest, 19(2):34-54 

  4. Choi YJ, Cho SH, Chung RW, Kim EM, Won SI, Cha GH, Kim HS, Lee HG. 2007. Investigation of Fermented soybean sauce o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3(1):107-123 

  5. Chung HK, Oh SY, Kim MH, Ahn HJ. 2013. Food and Culture. Gyomoonsa, Korea, p 212 

  6. Chung HK, Oh SY. 2013. What is the Jang for Korean. Hyoil, Seoul, pp 166-170 

  7. Chung SM. 2003. A study on Shwaemirok. Doctoral degree thesis, Wonkwang University, Korea, pp 3-10 

  8. Hackler LR, Stillings BR, Ploimeni BJ. 1973. Correlation of amino acid indexes with nutritional quality of several soybean fraction. Cereal Chem., 44(1):344-638 

  9. Han BJ. 2007. 100 Kinds of Our food 1. Hyunamsa, Seoul, Korea. p 518 

  10. Heo MH. 2018. Health and vegetative meat alternatives for sustainable environment. Korean Soybean Society, 342(1):2-5 

  11. Im HS, Park YM. 2007. A study on the literature of the materials used in steam rice cake. Janahnnonchong, 27(1):113-140 

  12. Im SK, Yoo SM, Kim TY, Chun HK.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ijijang in different fermenta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3):448-455 

  13. Jeon Soon Eui (全循義). Sangayorok (山家要錄)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ditor. 200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younggido, Korea. pp 89-90 

  14. Joo YH. 2006. Food War Culture War. Four seasons, Korea, pp 75-81 

  15. Joo YH. 2017. The Festival and Celebration Food of Chungcheong-Do Deoksan's Household of the Gentry in 1609-1623: Focusing on Jo Geuksun's Injaeillok. Jangseogak, 38(1):90-129 

  16. Kim IG. 2017. Historical study on the dispersion of grains and the geography section of the annals of King Sejong as a folkloristic product geography in Joseon Dynasty. The Korean Cultural Studies, 33(1):135-174 

  17. Kim MH. 2013. A Study on the 16th Century Food Culture of Chosun Dynasty Nobility in "Miam's Di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8(5):425-437 

  18. Kim ND, Jeon MY, Lee HE, Lee JY, Kim SY. 2017. Trend Korea 2018. Seoul University Consumption Trends Analysis Center. A future window, Seoul, pp 360-420 

  19. Kim SB, Na YA. 1994. Review on the ancient Korean length, weight and volumetric measures. Korean J.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4(1):1-18 

  20. Kim SJ. 2007. The Living Culture of the Yangban in view of Shoaemirok. The study of Oriental chinese literature, 24(1):177-206 

  21. Kim You (金綏). Suunjappang (需雲雜方). In: Yoon SJ editor. 1998. Sinkwang Co., Kyounggido, Korea. pp 275-327 

  22. Lee JS. 2003. Monetary circulations of Choson between the Mid-Sixteenth and the early eighteenth centuries investigated by everyday journals and records of land trades. History of Joseon Dynasty, 32(1):95-148 

  23. Lee SW. 1985. Korean culinary history. Gyomoonsa, Kyounggido, Korea. pp 86-92 

  24. Lee SW. 1997. Korean food culture history. Gyomoonsa, Seoul, pp 141-144 

  25. Lee YG. 1924. Joseonmussangshinsikryolijebub (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Youngchangseogwan. Korea. p 6 

  26. Ma CY, Liu WS, Kwok KC, Kwok F. 199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ins from soymilk residue (Okara). Food Res. Int., 29(1):799-805 

  27. Nam DY. 1993. Supply and demand problems of horse in the Chosun Dynasty. The Hyangto Seoul, 53(1):93-150 

  28.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http://sillok.history.go.kr, [accessed 2019.06.04] 

  29. Oh Hee Moon (吳希文). 1601. Shaemirok ( 尾錄) 1, 2 In: Kim Min Soo editor. 2014. Olje. Seoul, Korea. pp 12-657 

  30. Park GY. 2004. Health fun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Soy-fermented food. Inje Food Forum, 11(1):1-49 

  31. Park HW. 1994. A literature review on the characteristics of rice cake material.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4(1):137-160 

  32. Park JY. Lee HY. Lee CJ. Ahn SW. 2016. Study on use of Mung Bean Porridge reported in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31(6):541-553 

  33. Park YJ, Woo YH. 2012. Content Analysi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Korea: A Methodological Review. J. of Educational technology, 28(1):263-287 

  34. Park YM. 2016.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pulse crops by ancient Koreans. Gojoseondangungak, 35(1):83-108 

  35. Pinghugak Lee (憑虛閣李氏). Kyuhapchongseo (閨閤叢書). In: Jung YW editor. 2008. Bojinjea, Kyounggido, Korea. p 53 

  36. Poldner E, Simons PRJ, Wijngaards G, Vande Schaaf MF. 2012.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dures to analyse students' reflective essays: A methodological review of psychometric and edumetric aspects. Educational Research Review, 7(1):19-37 

  3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Gonoongseogukyukchongseo (古農書國譯叢書)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younggido, Korea. pp 34-55 

  3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Goohwangbanggomoonhunjibsung (救荒方古文獻集成) 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younggido, Korea. pp 175-176 

  39. Ryu Jung Lim (柳重臨). Jeungbosanlimkyungjie (增補山林經濟). In: Yoon SJ editor. 2007. Jigumoonhwasa, Korea. pp 365-368 

  40. Seo Yu Gu (徐有). Imwonsibyukji (林園十六志). In: Lee HJ, Cho SH, Chung NW, Cha GH. 2007. Gyomoonsa, Kyounggido, Korea. p 236 

  41. Shin BJ. 2010. A repository of life history in the mid-Jeseon period Swaemirok (?尾錄). Seonbi Culture, 17(0):8-14 

  42. Shin BJ. 2012. A study of Oh Hui-mun's personal journal Swaemirok -with a focus on his life as a refugee. Joseonsidaisahakbo, 60(1):37-70 

  43. Sin DW. 2006. Changes in medical life in the late Chosun Dynasty:form a futures economy to a market economy. A Historical Criticism, 75(1):344-391 

  44. Thayer, Alexander, Evans, Mary, McBride, Alicia, Queen, Matt, Spyridakis, Jan. 2007. Content analysis as a best practice in technical communication research. J. of Technical writing and communication, 37(3):267-279 

  45. Yoon DI. 2000. A study on the changes and development statues of the traditional fermented soy sauce products in korea. Kwandong Collection of essays, 28(2):257-286 

  46. Yoon DI. 2007. A Study on the Asian fermented soybean sauce culture. Comparative folklore, 34(1):155-215 

  47. Yoon SJ, Huh WD. 2008. A Study on Calorie and Proxima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rea Gru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7(7):879-8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