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별불가사리 추출물의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
Effect of Asterina pectinifera Extracts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3, 2007년, pp.269 - 275  

채수연 (순천대학교 생물학과) ,  김미정 (순천대학교 생물학과) ,  김도순 (순천대학교 생물학과) ,  박정은 (순천대학교 생물학과) ,  조성기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연구원 방사선식품.생명공학팀) ,  이성태 (순천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불가사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쥐 비장에 있는 면역세포 활성화 효과에 대해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별불가사리 추출물 중에서 B세포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성분은 아세톤처리로 추출할 수 있었다. 둘째, 이 성분은 농도 의존적으로 생쥐 비장세포의 증식반응을 유도하였으며, IL-6와 $IFN-{\gamma}$의 생산을 유도하였다. 셋째, 이 성분은 B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으며, 이 때 면역글로불린 IgM과 IgG의 생산도 유도하였다. 넷째, 이 성분은 대식세포주의 일산화질소 생산을 유도하였으며, 또 $TNF-{\alpha}$, GM- CSF와 IL-6의 분비를 유도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 본 실험에서 사용한 별불가사리 추출물에는 B세포와 대식세포 같은 면역세포의 증식과 각종 사이토카인을 생산을 유도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experiment, the effects of Asterina pectinifera extracts on the activation of immune cells were studied. An immune cell activating factor was partially purified from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by means of physiological saline extraction, acetone precipitation and heating inactivatio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때 박테리아를 죽이기 위해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믈질은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지만, 그중에서 최근에 밝혀진 것으로 일산화질소(nit& oxide)가 있다. 따라서 별불가사리 추출믈이 대식세포의 일산화질소 생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색하였다.
  • 즉, 비장세포의 증식반응이 일어날 때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종휴를 알면 사이토카인이 매개하는 면역반응과 증식하는 세포의 종휴를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비장세포 증식반응이 일어날 때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의 종휴를 알아보았다.
  • -12는 NK 세포를 활성화시키 는 인자이고, GM-CSF는 성 장과 분화를 자극하며 TNE—u는 종양괴사인자(tumor nacrosis factor) 로 알려진 믈질로 종양세포를 파괴하는 사이토카인이다. 따라서, 별불가사리 추출믈이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이들 사이토카인의 분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색하였다.
  • 유도한다. 따라서, 불가사리 추출믈이 비장세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모든 면역반응은 세포증식이 일어나는 것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불가사리 추출믈이 비장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축정하였다.
  • Marthasterias gladdlis) 동이 있다. 불가사리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 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본 싶험은 불가사리 에서 건강식품이나 의약품으로 이용 가능한 면역기능 조절믈질을 탐색하여 불가사리의 효용 가치를 높여, 불가사리 퇴치와 새로운 기능성 천연믈질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따라서 추가적인 싶험을 계속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성분을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을 명확히 규명한다면, 각종 의약품이나 건강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원재료로서 별불가사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패휴나 연안동믈을 잡아먹어 양식장에 큰 피해를 야기하는 불가사리의 퇴치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최근 국내에서도 불가사리를 이용한 항암제, 의약품 개발, 가축사료 기능성 화장품 신소재로서 이용방안 동이 시도되고 있다. 불가사리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본싶험은 불가사리에서 건강식품이나 의약품으로 이용 가능한 면역기능 조절믈질을 탐색하여 불가사리의 효용 가치를 높여, 불가사리 퇴치와 새로운 기능성 천연믈질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orin JG, Kastendiek JE, Harrington A, Davis N. 1985. Organization and patterns of interactions in a subtidal community on an exposed coast. Mar Ecol Prog Ser 27: 163-185 

  2. Zollo F, Finamore E, Minale L. 1987. Starfish saponins, XXXI. Novel polyhydroxysteroids and steroidal glycosides from the starfish Sphaerodiscus placenta. J Nat Prod 50: 794-799 

  3. Minale L, Pizza C, Zollo F. 1982. $5{\alpha}-cholestane-$3{\beta} , $6{\beta}$ , $15{\alpha}$ , $16{\beta}$ , 26-penol: a polyhudroxylated sterol from the starfish Hacelia attenuata. Tetrahedron Lett 23: 1841-1844 

  4. Iorizzi M, Minale L. 1986. Starfish saponins, part 23. Steroidal glycosides from the starfish Halityle regularis. J Nat Prod 49: 67-78 

  5. Riccio R, Iorizzi M, Greco OS, Minale L. 1985. Starfish saponins, Part 22. Asterosaponins from the starfish Halityle regularis: a novel 22,23-epoxysteroidal glycoside sulfate. J Nat Prod 48: 756-765 

  6. Findlay JA, Agarwal VK, Monharir YE. 1984. On the saponins of the starfish Asterias vuglaris. J Nat Prod 47: 113-116 

  7. Amano T, Okita Y, Okinaga T, Matsui T, Nishiyama I, Hoshi M. 1992. Egg jelly components responsible for histone degradation and acrosome reaction in the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Biochem Biophys Res Commun 187: 274-278 

  8. Ikegame S, Okano K, Muragaki H. 1979. Structure of glycoside $B_2$ , a steroidal saponon in the ovary of the starfish, Asterias amurensis. Tetranedron Lett 20: 1769-1772 

  9. Andersson L, Nasir A, Bohlin L. 1987. Studies of swedish marine organisms, IX. Polyhydroxylaied steroidal glycosides from the starfish Porania pulvillus. J Nat Prod 50: 944-947 

  10. Kicha AA, Kalinovsky AI, Ivanchina NV, Stonik VA. 1999. New steroid glycosides from the deep-water starfish Mediaster murrayi. J Nat Prod 62: 279-282 

  11. Wang W, Li F, Alam N, Liu Y, Hong J, Lee CK, Im KS, Jung JH. 2002. New saponins from the starfish Certonardoa semiregularis. J Nat Prod 65: 1649-1656 

  12. De Correa RS, Riccio R, Minale L. 1985. Starfish saponins, part 21. Steroidalglycosides from the starfish Oreaster reticulatus. J Nat Prod 48: 751-755 

  13. Riccio R, Greco OS, Minale L. 1986. Starfish saponins, part 28. Steroidal glycosides from pacific starfishes of the genus Nardoa. J Nat Prod 49: 1141-1143 

  14. Riccio R, Minale L, Pizza C, Zollo F, Pusset J. 1982. Starfish saponins. Part 8. Structure of nodososide, a novel type of steroidal glycoside from the starfish Protoreaster nodosus. Tetrahedron Lett 23: 2899-2902 

  15. Minale L, Pizza C, Riccio R, Sorrentino C, Zollo F. 1984. Minor polyhydroxylated sterols from the starfish Protoreaster nodosus. J Nat Prod 47: 790-795 

  16. Lee YR, Han JW. 1994. Ultrastructural changes at the surfaces of oocytes during oogenesis of the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Kor J Zool 37: 203-212 

  17. Choi IY, Lee JS, Yoo MS. 2006. Sexual maturation and reproduction cycle of the bat star, Asterina pectinifera. J Kor Fish Soc 39: 27-34 

  18. Kim EJ, Kim CH, Go HJ, Kim IH, An SH, Song HY, Park HY, Yoon HD, Chang YC, Hong YK, Park NG. 2005.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neuropeptide with a smooth muscle-relaxing activity from the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J Kor Fish Soc 38: 148-152 

  19. Lee SH, Bae SK, Kim HT, Kim HJ, Kim JC. 2002. Synthesize of liquid fertilizer using starfish and effect of manufactured fertilizer on growth of lettuce. J Korean Soc Waste Manag 19: 648-655 

  20. Park HY. 2003. Development of industrialization technology with starfish. Food Industry and Nutrition 8: 18-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