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사증후군을 가진 성인남녀의 영양소 섭취상태와 혈액성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trient Intakes and Blood Parameters of Adult Men and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6 no.3, 2007년, pp.311 - 317  

최미경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예숙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윤정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승정자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일부 성인을 대상으로 NCEP-ATP Ⅲ와 WHO 아시아태평양 비만 기준에 의해 대사증후군 성인을 분류한 후 영양소섭취상태와 혈액성상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평균 연령,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각각 58.8세, 158.0 cm, 66.3 kg, $26.5\;kg/m^{2}$이었으며, 대조군은 각각 58.4세, 158.9 cm, 59.6 kg, $23.5\;kg/m^{2}$로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체중과 체질량지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p<0.001). 총 식품섭취량은 대사증후군 대상자와 대조군이 각각 1063.8 g과 1183.4 g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식품군별 섭취량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남자 대상자의 경우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버섯류 섭취는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p<0.05), 난류 섭취량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1). 또한 여자 대상자의 경우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채소류 섭취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에너지 섭취량은 대사증후군 대상자가 1527.9 kcal, 대조군이 1578.9 kcal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그 밖의 영양소 섭취량도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자 대상자의 경우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식이섬유 섭취량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으로 사용한 혈청 HDL-콜레스테롤, 중성지질, 혈당 및 혈압은 대사증후군 대상자가 각각 39.9 mg/dL, 183.9 mg/dL, 126.6 mg/dL, 138.1/78.8 mmHg로 대조군의 45.8 mg/dL, 125.5 mg/dL, 93.6 mg/dL, 120.8/72.8 mmHg와 비교할 때 HDL-콜레스테롤은 유의하게 낮고 나머지는 유의하게 높았다(p<0.001, p<0.001, p<0.001, p< 0.001, p<0.001). 혈청 GPT, 동맥경화지수, 백혈구수는 대사증후군 대상자가 각각 27.8 IU/L, 3.7, $5964.2\;{\mu}/L$로 대조군의 22.6 IU/L, 3.2, $5250.0\;{\mu}/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p<0.001,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대사증후군의 여성 대상자의 경우 섬유소 및 채소류의 섭취가 정상 성인보다 낮게 나타나, 이들 식품 및 영양소의 섭취가 대사증후군의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이 제시되어 이러한 결과는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혈청 GPT와 동맥경화지수가 정상 성인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향후 염증과 군집으로서의 대사증후군과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nutrient intake and selected blood parameters of adults with metabolic syndrome (MS) and to provide data in forming a dietary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Subject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NCEP-ATP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부 성인을 대상으로 NCEP-ATP m⑺와 响O 아시아태평양 비만 기준(6, 8)에 의해 선별한 대사증후군 성인의 영양소섭취상태와 혙액성상을 살펴봄으로써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식사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일부 성인을 대상으로 NCEP-ATP m와 WHO 아시아태평 양 비만 기준에 의해 대사증후군 성인을 분휴한 후 영양소섭취상태와 혙액성상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평균 연령,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각각 58.
  • 식품재료의 종류와 분량을 조사하였다. 식사에 대한 조사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미리 준비한 모형과 사진을 제시하여 조사대상자가 섭취한 옴식의 양을 정확하게 기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식사섭취조사 결과는 CAN-Pro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Genova, WHO 

  2. Tonkin A. 2004. The metabolic syndrome - a growing problem. Europe Heart J Supple 6 (supple A): A37-A42 

  3. Wajchenberg BL, Malerbi DA, Rocha MS, Lerario AC, Santomauro AT. 1994. Syndrome X: a syndrome of insulin resistanc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evidence. Diabetes Metab Rev 10: 19-29 

  4. Ford ES, Giles WH, Dietz WH. 2002.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AMA 287: 356-359 

  5. Kim Y, Suh YK, Choi H. 2004. BMI and metabolic disorders in South Korean adults: 199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bes Res 12: 445-453 

  6. Alberti KG, Zimmer PZ. 1998.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s. Ⅰ: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Previsional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Diabet Med 15: 539-553 

  7. Expert Panel on Defini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2002.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s Treatment Panel III). JAMA 285: 2486-2497 

  8. Korean Society of the Study of Obesity. 2000. WHO/IASO/IOTF: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9. Tan CE, Ma S, Wai D, Tai ES, Chew SK. 2004. Can we apply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definit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to Asians? Diabetes Care 27: 1182-1200 

  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Report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11. Jung CH, Park JS, Lee WY, Kim SW. 2002.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level of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Med 63: 649-659 

  12. Kim JA, Kim SM, Choi YS, Yoon D. 2005. White blood cell count is higher in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Korea. Korean J Obesity 14: 228-234 

  13. Friedewald WY, Levy RI, Fredrickson DS. 1972. Estimation of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o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8: 499-502 

  14. Lee MS. 2004. Relationship of the relative risks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dietary habits of middle-aged in Seoul. Korean J Comm Nutr 9: 695-705 

  15. Im S, Kwon GH, Kim EJ, Im DS, Im HJ, Jo SI, Lee YY, Park GS, Lee HG. 2002. Characteristics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factors related to obesity in rural area. Korean J Lipidol Atherosclerosis 5: 370-380 

  16. 권혁상. 2006. 대사증후군의 역학 및 병인. 임상당뇨병 7: 12-18 

  17. Hung HC, Joshipura KJ, Jiang R, Hu FB, Hunter D, Smith-Warner SA, Colditz GA, Rosner B, Spiegelman D, Willett WC. 2004.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risk of major chronic disease. J Natl Cancer Inst 96: 1577-1584 

  18. He K, Hu FB, Colditz GA, Manson JE, Willett WC, Liu S. 2004. Changes in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in relation to risk of obesity and weight gain among middle-aged wo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8: 1569-1574 

  19. Esmaillzadeh A, Kimiagar M, Mehrabi Y, Azadbakht L, Hu FB, Willett WC. 2006. Fruit and vegetable intakes, C-reactive protein,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lin Nutr 84: 1489-1497 

  20. Yoo S, Nicklas T, Baranowski T, Zakeri IF, Yang SJ, Srinivasan SR, Berenson GS. 2004. Comparison of dietary intake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young adults: the Bogalusa Heart Study. Am J Clin Nutr 80: 841-848 

  21. Jain MG, Harrison L, Howe GR, Miller AB. 1982. Evaluation of a self-administered dietary questionnaire for use in a cohort study. Am J Clin Nutr 36: 931-935 

  22. Horwath CC. 1993. Validity of a short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estimating nutrient intake in elderly people. Br J Nutr 70: 3-14 

  23. Salmeron J, Manson JE, Stampfer MJ, Colditz GA, Wing AL, Willett WC. 1997. Dietary fiber, glycemic load, and risk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women. JAMA 277: 472-477 

  24. Liu S, Stampfer MJ, Hu FB, Giovannucci E, Rimm E, Manson JE, Hennekens CH, Willett WC. 1999. Whole-grain consumption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results from the Nurses' Health Study. Am J Clin Nutr 70: 412-419 

  25. Anderson JW, O'Neal DS, Riddell-Mason S, Floore TL, Dillon DW, Oeltgen PR. 1995. Postprandial serum glucose, insulin, and lipoprotein responses to high- and low-fiber diets. Metabolism 44: 848-854 

  26. Maki KC. 2004. Dietary factors in the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ardiol 93: 12C-17C 

  27. Grynberg A. 2006. Hypertension prevention: from nutrients to (fortified) foods to dietary patterns. Focus on fatty acids. J Hum Hypertens 19: S25-S33 

  28. Freire RD, Cardoso MA, Gimeno SG, Ferreira SR; Japanese-Brazilian Diabetes Study Group. 2005. Dietary fat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n Japanese Brazilians. Diabetes Care 28: 1779-1785 

  29. Gonzalez MA, Selwyn AP. 2003. Endothelial function, inflammation, and prognosis in cardiovascular disease. Am J Med 115: 99S-106S 

  30. Cannon CP, McCabe CH, Wilcox RG, Bentley JH, Braunwald E. 2001. Association of white blood cell count with increased mortality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unstable angina pectoris. OPUS-TIMI 16 Investigators. Am J Cardiol 87: 636-639 

  31. Stewart RA, White HD, Kirby AC, Heritier SR, Simes RJ, Nestel PJ. 2005. White blood cell count predicts reduction in coronary heart disease mortality with pravastatin. Circulation 111: 1756-1762 

  32. Pearson TA, Mensah GA, Hong Y, Smith SC Jr. 2004. CDC/AHA workshop on markers of inflamm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application to clinical and public health practice: overview. Circulation 110: 543-5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