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대상의 대사증후군 자가관리 프로그램 중재 효과 - 서울특별시 대사증후군 관리 시범사업 -
Effects of a Self-management Program for Metabolic Syndrome - A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in Seoul -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8 no.2, 2011년, pp.51 - 62  

김희선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정책연구실) ,  윤석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건세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정책연구실) ,  김형수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  오상우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  유호신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추진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이계희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  유병욱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  이동옥 (서울특별시 복지건강본부 건강증진과) ,  박동림 (서울특별시 복지건강본부 건강증진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community-level metabolic syndrome self-care management program. Methods: Data included baseline demographics, abdominal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blood sugar,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collected at 15 public health ce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광역단위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수행된 대사증후군 관리에 대한 중재의 효과를 평가한 연구이며, 그 특성이 자가관리 중재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의가 있다. 특히, 기존의 대사증후군의 중재연구들이 주로 체중감소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식이요법이나 운동 등의 단독 중재를 다루고 있다는 점과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5가지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에 따른 중재를 모두 다루고 있으며, 정해진 가이드라인 등에 근거하여 상담사들을 훈련시켜 대상자별 상태에 따른 중재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현재 서울특별시에서 수행중인 대사증후군 관리 시범사업에 참여 중인 15개 보건소에서 검진 및 상담을 제공 받고 6개월간 추적 관리된 대상자들에서의 건강상태 변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총 10개월로 모든 자료는 서울특별시의 대사증후군 관리 사업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산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지방자치정부 차원의 심뇌혈관질환 예방대책의 일환으로 지역사회 단위로 대사증후군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전개한 서울특별시 대사증후군 관리 시범사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사례연구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서울특별시 대사증후군 관리 시범사업에 참여한 일부 대상자들에 한하여, 대사증후군 관리의 사전사후 이들의 건강상태 변화 정도를 살펴보고 상담회수에 따라 건강상태 변화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지방자치정부 차원의 심뇌혈관질환 예방대책의 일환으로 지역사회 단위로 대사증후군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전개한 서울특별시 대사증후군 관리 시범사업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사례연구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서울특별시 대사증후군 관리 시범사업에 참여한 일부 대상자들에 한하여, 대사증후군 관리의 사전사후 이들의 건강상태 변화 정도를 살펴보고 상담회수에 따라 건강상태 변화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 관리 상담 내용은 무엇인가? 대사증후군 관리 상담은 영양과 운동으로 가정의학과 및 내과 전문의, 교수 및 임상영양사 등의 영역별 전문가로 구성된 패널을 통해 만들어진 대사증후군 상담 가이드북(기초편)에 근거하여 훈련된 영양사와 운동처방사에 의해 제공되었다(서울특별시, 2009a). 구체적인 상담내용으로 영양은 체중조절을 위한 식사조절, 혈액 내 지질 수준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식사조절, 혈압 조절을 위한 식사조절로 이루어지며, 매 회마다 스스로 행동계획표를 작성함에 따른 식사 구성표를 제시하고 실천하도록 독려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운동상담은 중증도 이상의 운동을 1주일에 150분 정도하는 것을 권장하고 이에 따라 매회 행동계획표를 작성하여 스스로 잘 실천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상담하였다. 대사증후군에 상담제공 방식은 사전, 사후조사 시에는 반드시 대면상담 방식으로 제공되었으며, 그 외 상담을 제공할 경우에는 전화 방식으로도 상담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1998년 우리나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몇% 인가? 대사증후군은 심뇌혈관질환의 중요 위험요인들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심뇌혈관질환 등의 발생위험이 매우 높다.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우리나라가 1998년과 2001년 각각 남자 25.0%, 여자 27.0%, 남자 32.2%, 여자 27.
대사증후군이 심 뇌혈관질환 등의 발생 위험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은 심뇌혈관질환의 중요 위험요인들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심뇌혈관질환 등의 발생위험이 매우 높다.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우리나라가 1998년과 2001년 각각 남자 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대한가정의학회. 대사증후군 매뉴얼 서울: 대한가정의학회 대사증후군 연구회, 2007. 

  2. 박민정, 윤경은, 이고은, 조홍준, 박혜순. 한국 성인에서 사회경제적 상태와 대사증후군과의 관계. 대한비만학회지 2006;15:10-17. 

  3. 박혜순 외 8명. 한국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대한비만학회지 2003;12:1-13. 

  4. 서울특별시. 2009 대사증후군 상담가이드북(기초편). 서울: 서 울특별시 . 서울시대사증후군관리사업지원단, 2009a. 

  5. 서울특별시. 2009 서울특별시 대사증후군 관리시범사업 안내서. 서울: 서울특별시 . 서울시대사증후군관리사업지원단, 2009b. 

  6. 오의금, 김수현, 현사행, 강명숙, 방소연. 대사성증후군 중재연구 논문 분석. 대한 간호학회지 2007;37:72-50. 

  7. 이상엽 외 10명. 한국인의 복부비만 기준을 위한 허리둘레 분별점. 대한비만학회지 2006;15:1-9. 

  8. 이영미, 박혜순, 천병철, 김현수. 복부비만의 지표로서 부위별 허리둘레 측정값의 신뢰도. 대한비만학회지 2002;11: 123-130. 

  9. Brickford F. Decentralised testing in the 1990's: a survey of united states hospitals. Clinics in laboratory Medicine 1994; 14:623-645. 

  10. Christian JG 외 6명. A computer support program that helps clinicians provide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tailored counseling to promote weight loss.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11;111:75-83. 

  11. Farag NH 외 5명. Evaluation of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ject: effect o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profiles of school employees. BMC Public Health 2010;10:313-322. 

  12. Ford E, Giles W, Diets W.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2;287:356-359. 

  13. Ford E, Giles W. A comparison of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using two proposed definitions. Diabetes Care 2003;26:575-581. 

  14. Ford E. Risks for all-cause mortality,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 summary of the evidence. Diabetes Care 2005;28:1769-1778. 

  15. Hadaegh F, Harati H, Zabetian A, Azizi F. Seasonal variability of serum lipids in adults: Tehran lipid and Glucose Study. The Medical journal of Malaysia 2006;61:332-338. 

  16. Jou HJ 외 7명. A hospital-based therapeutic lifestyle program for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Taiwanese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10;49:432-7. 

  17. Kafonek S, Donovan L, Lovejoy K, Bachorik P. Biological variation of lipids and lipoproteins in fingerstrick blood. Clinical Chemistry 1996;42:2002-2007. 

  18. Kodams S 외 12명. Effect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serum levels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 a metaanalysi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7;167:999-1008. 

  19. Lee WY, Jung CH, Park JS, Rhee EJ, Kim JW.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as defined by the ATP III.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05;67:70-77. 

  20. Looker HC 외 6명. Secular trends in treatment and control of type2 diabetes in an american Indian population;a 30-year longitudinal study. Diabetes Care 2010;33:2383-2389. 

  21. Malik S, et al. Impact of the metabolic syndrome on mortality from coronary heart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and on all causes in United States adults. Circulation 2004;110:1245- 1250. 

  22. Meigs JB 외 5명. Risk variable clustering in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Diabetes 1997;46:1594-1600. 

  23. Moy FM, Bulgiba A. The modified NCEP ATP III criteria maybe better than the IDF criteria in diagnosing Metabolic Syndrome among Malays in Kuala Lumpur. BMC Public Health 2010;6:678. 

  24. Nielsen B.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 prevalence and heritability. The European Group for the Study of Insulin Resistance(EGIR). Drugs 1999;58:7-10. 

  25. Ockene IS 외 12명. Seasonal variation in serum cholesterol levels : treatment implications and possible mechanism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4;164:863-870. 

  26. Oh EG 외 6명.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rapeutic lifestyle modification in rural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a pilot study. Metabolism Clinical and Experimental 2008;57:255-261. 

  27. Park HS, Cho SI, Song YM, Sung J. Multiple metabolic risk factors and total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in men with low prevalence of obesity. Atherosclerosis 2006;187:123-130. 

  28. Park HS 외 8명. Prevalence and trend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1998-2001. Diabetes Obesity & Metabolism 2007;9:50-58. 

  29. Park HS, Oh SW, Cho SI, Choi WH, Kim YS. The metabolic syndrome and associated life style factors among South Korea adults.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04; 33:328-336. 

  30. Park HS, Sim SJ, Park JY. Effect of Weight Reduction on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Obese Patients. Joru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04;19:202-208. 

  31. Rogers E, Misner L, Ockene I, Micolosi R. Evaluationa of seven Cholestech LDX analyzers for total cholesterol. Clinical Chemistry 1993;39:860-864. 

  32. Sone H 외 13명. Is the diagnosis of metabolic syndrome useful for predicting cardiovascular disease in Asian diabetic patients? Diabetes Care 2005;28:1463-1471. 

  33. Tonstand S, Alm C, Sandvik E. Effect of Nurse counselling on metabolic risk factors in patients with mild hypertensio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07;6:160-164. 

  34. Warmick G 외 9명. Multicenter evaluation of Reff Rron direct dry-chemistry assay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venous and finger stick specimens. Clinical Chemistry 1993;39:271-277. 

  35. WHO.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on obesity: Prevention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Geneva: WHO, 1999. 

  36. Yoon YS, Lee ES, Park C, Lee S, Oh SW. The new definition of metabolic syndrome by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s less likely to identify metabolically abnormal but non-obese individuals than the definition by the revis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the Korea NHANE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007;31:528-534. 

  37. Zamboni M 외 7명. Sagittal abdominal diameter as a practical predictor of visceral fat.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1998;22:655-6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