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실식초 사입액에서 초기 매실액의 농도가 $1{\sim}6%$일 때는 농도가 높을수록 유도기가 짧아져 높은 초산생성능을 보이다가 매실액의 농도가 6%를 넘어서면 유도기가 길어져 초산생성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6%의 매실액을 함유한 사입액은 발효 5일째 9.2%의 최종 산도에 도달하였고, 다른 농도의 첨가구보다 높은 산도를 보였다. 3% 초산, 6% 알콜, 6% 매실액을 함유한 매실식초 사입액 100 mL를 발효시킬 경우 표면적이 $25\;cm^{2}$인 발효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10\;cm^{2}$$50\;cm^{2}$의 발효용기에 배양한 것보다 초산 생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실액 사입액을 진탕 발효 시켰을 때는 정치 발효에 비해 유도기가 길었고, 배양 9일째에 최종 산도가 9.44%로 나타나서 정치 발효에 비해 약 2.02% 낮게 나타나 매실액을 이용한 초산발효에서는 진탕 배양보다 정치 배양이 더 효과적이었다. 매실식초의 유기산 성분을 분석한 결과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 succinic acid, citric acid이었고 그 함량은 각각 6167.01, 347.04, 76.67 mg%이었다. 또한 주요 유리당은 glucose와 fructose로 그 함량은 각각 4030.88, 3765.65 mg%이었으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asparagine이었고 그 함량은 80.96 mg%이었다. 본 연구에서 검색된 최적 발효 조건에서 매실식초를 제조하여 발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유기산, 유리당 등의 함량이 높은 우수한 매실식초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Prunus mume vinegar production. The most suitable concentration of the Prunus mume juice was 6%. Static fermentation was a more suitable process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of the Prunus mume vinegar than shaking fermentation. Major components of the organ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옴료용으로 대량 생산되고 있는 매싶액의고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매싶액을 이용하여 초산발효의 최적 조건을 모색하고, 최적 조건을 이용하여 제조된 매싶식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Yoon HN. 1998. Simultaneous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ethanol and acetic acid in vinegar.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247-1251 

  2. Siever M, Teuber M. 1995. The microbiology and toxonomy of Acetobacter europaeus in commercial vinegar production. J Appl Bacteriol Symp Suppl 79: 84-95 

  3. Kittelmann M, Stamnn WW, Follmann H, Truper HG. 1989. Isolation and classific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rom high percentage vinegar fermentat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30: 47-52 

  4. Stephan J, Sokollek CH, Walter PH. 1998. Culture and preservation of vinegar bacteria. J Biotechnol 60: 195-206 

  5. Sheo HJ, Lee MY, Chung DL. 1990.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 on gastric secretion in rats and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liver damage of rabbi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 21-28 

  6. Choi KW. 1992. The effect of Ume's extract on lactate recovery rate after aerobic exercise. Korean J Phys Edu 31: 2327-2333 

  7. Song BH, Choi KS, Kim YD. 1997.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flavor components of Ume according to varieties and picking dat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c Products 4: 77-85 

  8. Hong SI, Cha HS, Park JD, Jo JS. 1998. Respiratory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as influenced by storage temperature and harvesting period. Food Eng Prog 2: 178-182 

  9. Park MH, Lee JO, Lee JY, Yu SJ, Ko YJ, Kim YH, Ryu CH. 2005.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cetic acid bacteria for persimmon vinegar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51-1257 

  10. AOAC. 1984. Official Methods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10 

  11. Ohara I, Ariyoshi S. 1979. Comparison of protein precipitants for the determination of free amino acid in plasma. Agric Biol Chem 43: 1473-1478 

  12. Jeong YJ, Seo JH, Park NY, Shin SR, Kim KS. 1999. Change in the components of persimmon vinegers by two stages fermentation (II).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233-238 

  13. Son HJ, Lee OM, Park YK, Lee SJ. 2000. Characteristics of cellulose production by Acetobacter sp. A9 in static culture. Korean J Biotechnol Bioeng 15: 573-577 

  14. Park MH, Lyu DK, Ryu CH. 2002. Characteristics of high acidity producing ace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industrial vinegar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94-398 

  15. Kim MH, Choi UK. 2006. Acetic acid fermentation by Acetobacter sp. SK-7 using Maesil juice. Korean J Food Culture 21: 420-425 

  16. Shim KH, Sung NK, Choi JS, Kang KS. 1989. Changes in major components of Japanese apricot during ripening. J Korean Soc Food Nutr 13: 101-108 

  17. Shim KH, Sung NK, Choi JS. 1988. Changes in major components during preparation of apricot wine. J Inst Agr Res Util Gyeongsang Natl Univ 22: 139-147 

  18. Ibana A, Nakamura R. 1981. Ripening characteristics of Japanese apricot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on and off the tree. J Japan Soc Jort Sci 49: 601-607 

  19. Cha HS, Hwang JB, Park JS, Park YK, Jo JS. 1999.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81-487 

  20. Shin JS, Lee OS, Jeong YJ. 2002.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onion vinegars by two stages fermentatio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34: 1079-10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