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해성평가를 위한 지중 오염물질 거동 모델 이용
Contaminant Fate and Transport Modeling for Risk Assessment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2 no.1, 2007년, pp.44 - 52  

김미정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환경시스템 연구실) ,  박재우 (한양대학교 토목공학과 환경시스템 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위해성평가 과정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수행되는 오염물질의 지중(subsurface) 거동 모델의 이용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고찰하였다. 모델의 종류, 그리고 모델을 선택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부지조사 및 개념적 모델 수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모델 선택의 기준을 정리하였고 대표적 모델과 각 모델의 모의 가능한 부지 조건들을 소개하였다. 모델의 보정, 검증, 민감도 분석 등 모델 이용에 필요한 일련의 과정과 각 과정에서 유의하거나 고려하여야 할 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바에 의하면, 모델 선택의 주요 기준은 모델링의 목표와 수준, 그리고 모델이 오염부지의 주요 현상을 모의할 수 있는지 여부지만, 모델이 실제 시스템을 적절히 모의할 수 있는지는 이러한 기준으로 판단할 수 없으며 모델 입력변수 등 부지 자료의 가용성 및 질적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추정된 입력변수에 대하여 높은 민감도를 보인다거나 선택한 모델의 보정 및 검증이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자료 측정으로 대신하거나 다른 모델로 전환하는 등 전략 수정을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ed the overall process of application of contaminant fate and transport model as part of risk assessment. Site characterization and establishment of a conceptual model prior to establishing or selecting a appropriate model were described. Types of models, model selection guidanc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정에서 얻어진 변수 값과 경계조건들은 일정기간 동안의 측정자료에 대하여 허용범위내에서 일치하는 모의 결과를 주는 것들이지만, 유사한 결과를 줄 수 있는 다른 값들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모델보정에서 사용된 입력변수와 경계조건 값으로 다른 기간(주로 보정에 사용된 기간의 이후)의 측정자료도 잘 모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독립적인 여러 개의 측정자료가 있어야 검증이 가능하며, 모델이 복잡할수록 검증에 필요한 모델계산 횟수가 증가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위해성평가 과정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수행되는 오염물질의 지중(subsurface) 거동 모델의 이용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고찰하고자 한다. 물질 거동 및 모델에 관한 설명보다는 모델 적용 과정 과정에서 주의할 점 등을 소개하고 설명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 위해성에 근거한 복원전략은 단순히 오염농도에 근거하지 않고 오염부지의 특수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목표정화수준을 결정하는 것을 근간으로 한다. 오염물질의 종류 및 오염형태에 따른 노출경로 변화, 수용체의 특성, 토지이용 용도 등을 고려하여 오염물질의 노출경로별 위해성을 산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그 지역의 노출경로별 목표정화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해성에 근거한 복원전략은 무엇을 근간으로 하는가? 위해성에 근거한 복원전략은 단순히 오염농도에 근거하지 않고 오염부지의 특수성을 최대한 반영하여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목표정화수준을 결정하는 것을 근간으로 한다. 오염물질의 종류 및 오염형태에 따른 노출경로 변화,수용체의 특성, 토지이용 용도 등을 고려하여 오염물질의노출경로별 위해성을 산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그 지역의노출경로별 목표정화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다.
오염토양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 해야하는 것은? 오염토양의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거동(fate and transport)을 모의하는 모델을 적절히 사용하여 노출지점에서의 오염물질 농도를 산출하여야 한다. 오염물질의 거동 및 이동에 관련된 모델은 시간에 따라서오염물질이 토양, 지하수, 공기를 통하여 이동하는 것을각 노출경로별로 수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예측한다.
생물학적 화학적 또는 물리적 변환을 거치며 독성이나 이동성 등이 변화하는데 이러한 물질거동에 관여하는 현상은? 이러한 물질거동은 오염물질의 고유특성과 환경의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일부 오염물질은 반대로 환경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등그 과정이 매우 복잡하다. 물질거동에 관여하는 현상은 생분해, 흡탈착, 결합(binding), 분산, 가용화(solubilization),확산, 착물화(complexation), 침전/용해, 증발, 화학적 산화,식물섭취 등이 있는데, 물질이동 모델은 이러한 모든 현상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최소한 주요 현상은 포함하여야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환경부, 2003, 토양오염 위해성 평가 방안 마련을 위한 연구용역 ?위해성에 근거한 토양복원전략 모색, (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 American Society of testing and Materials (ASTM), 1999, RBCA fate and transport models: Compendium and selection Guidance, West Conshohocken, PA 

  3. The Californi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AL/EPA), 1995, Groundwater modeling for hydrogeologic characterization : Guidance manual for groundwater investigations 

  4. Domenico, P.A. and Robbins, G.A., 1985, A new method of contaminant plume analysis, Ground Water, 23(4), 476-485 

  5. Ferguson, C., Darmendrail, D., Freier, K., Jensen, B.K., Jensen, J., and Kasamas, H., Urzelai A. and Vegter J. (editors) 1998. Risk Assessment for contaminated sites in Europe Vol.1 Scienctific basis, LQM press, Nottingham, UK 

  6. Mandle, R.J., 2002, Groundwater Modeling Guidance, Groundwater Modeling Program, Michiga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Draft 1.0 

  7. McLaughlin, D. and Johnson,W.K., 1987, Comparison of three groundwater modeling studies, ASCE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113(3), 405-421 

  8. Ohio EPA (Ohio/EPA), Division of Drinking and Groundwaters, 1995, Technical guidance manual for hydrogeologic investigations and groundwater monitoring programs 

  9.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1989, Groundwater models: Scientific and regulatory application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0. USEPA, 1988, Selection criteria for mathematical models used in exposure assessments : Groundwater models. EPA/600/8-88/0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