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Campylobacter spp. from the chicken carcasses in slaughterhouse. A total of 9 strains were primarily isolated from enrichment culture and selective culture of the sample with candle and microaerophilic chamber method. Nine of Gram-n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밝혀졌다. 그래서 본 연구도 도계장에서 최종단계의 가공된 도계를 수집하여 Camp의 obacter균의 오염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최종단계의 도체로 부터 C jejuni가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도계장에서 기계적인 처리과정중에 장내용물 또는 분변에 도계가 오염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균에 의한 집단식중독이 발생하고 있는 추세 이 고 미 국질 병센타의 자료에 의 하면 미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닭고기의 70-90% 가 tampy/obacfer균에 의해 오염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3년에 215명의 집단 식중독 환자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목적은 도계장에 출하된 닭의 분변과 도축된 닭의 시료에서 PCR법의 적용에 의한 C jejuni 검출을 실시하여 향후 집단 식중독의 역학조사에 이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cfadyean J, Stockman S. 1913. Report of the departmental committe appointed by the board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to enquire into epizootic abortion. Appendix D G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Landon 1:156 

  2. Doyle MP. 1994. The emergence of new agents of foodborne disease in the 1980s. Food Res Int 27:219 

  3. Schoeni JL, Doyle MP. 1992. Redu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colonization of chicks by cecum-colonizing bacteria producing anti-C. jejuni metabolites. Appl Environ Microbiol 58(2):664-670 

  4. Lamoureux M, MacKay A, Messier S, et al. 1997. Dete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in food and poultry viscera using immunomagnetic separation and microtitre hybridization. J Appl - M Microbiol 83(5):641-651 

  5. Skirrow MB. 1977. Campylobacter enteritis: a 'new' disease. Br Med J 2(6078):9-11 

  6. Blaser MJ, Reller LB. 1981. Campylobacter enteritis. N Engl J Med 305(24):1444-1452 

  7. Dale B. 1977. Campylobacter enteritis. Br Med J 2(6082):318 

  8. Butzler JP. 1984. Campylobacter infection in man and animals. CRC press Inc Boca Raton Florida:1-244 

  9. Mosenthal AC Mones RL, Bokkenheuser VD. 1981. Campylobacter fetus jejuni enteritis; in New York City. N Y State J Med 81(3):321-323 

  10. Itoh T. 1981. Epidemiology Campylobacter enteritis. Modern Media 27: 312-323 

  11. Friedman CR, Neimann J, Wegener HC, et al. 2000. Campylobacter, second ed.,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Washington DC:121-138 

  12. Frost JA. 2001. Current epidemiological issues in human campylobacteriosis. Symp Ser Soc Appl Microbiol 30:85S-95S 

  13. Wedderkopp A, Rattenborg E, Madsen M. 2000. National surveillance of Campylobacter in broilers at slaughter in Denmark in 1998. Avian Dis 44:993-999 

  14. Ono K, Yamamoto K. 1999. Contamination of meat with Campylobacter jejuni in Saitama, Japan. Int J Food Microbiol 47(3):211-219 

  15. Corry JE, Post DE, Colin P, et al. 1995. Culture media for the isolation of campylobacters. Int J Food Microbiol 26(1):43-76 

  16. Engberg J, On SL, Harrington CS, et al. 2000. Prevalence of Campylobacter, Arcobacter, Helicobacter, and Sutterella spp. in human fecal samples as estimated by a reevaluation of isolation methods for Campylobacters. J Clin Microbiol 38(7):2798-2799 

  17. On SL. 1996. Identification methods for Campylobacters, helicobacters, and related organisms. Clin Microbiol Rev 9(3):405-422 

  18. Denis M, Refregier-Petton J, Laisney MJ, et al. 2001. Campylobacter contamination in French chicken production from farm to consumers. Use of a PCR assay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 coli. J Appl Microbiol 91(2):255-267 

  19. Wang H, Farber JM, Malik N, et al. 1999. Improved PCR detection of Campylobacter jejuni from chicken rinses by a simple sample preparation procedure. Int J Food Microbiol 52(1-2):39-45 

  20. Waage AS, Vardund T, Lund V, et al. 1999. Detection of small numbers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cells in environmental water, sewage, and food samples by a seminested PCR assay. Appl Environ Microbiol 65(4): 1636-1643 

  21. Maher M, Finnegan C, Collins E, et al. 2003. Evaluation of culture methods and a DNA probe-based PCR assay for detection of Campylobacter species in clinical specimens of feces. J Clin Microbiol 41(7): 2980-2986 

  22. Burnett TA, A Hornitzky M, Kuhnert P, et al. 2002. Speciating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isolates from poultry and humans using six PCR-based assays. FEMS Microbiol Lett 216(2):201-209 

  23. Berndtson E, Tivemo M, Engvall A. 1992. Distribution and numbers of Campylobacter in newly slaughtered broiler chickens and hens. Int J Food Microbiol. 15(1-2):45-50 

  24. Rivoal K, Denis M, Salvat G, et al. 1999.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diversity of Campylobacter spp. isolates collected from a poultry slaughterhouse: analysis of cross-contamination. Lett Appl Microbiol 29(6):370-374 

  25. Mateo E, Carcamo J, Urquijo M, et al. 2005. Evaluation of a PCR assay for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Campylobacter jejuni and Campylobacter coli in retail poultry products. Res Microbiol 156(4): 568-574 

  26. 박종현. 2001. 집단 급식용 생계육에서 Campylobacter 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안전성학회지 16(4):258-2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