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조류는 다양한 생리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용 가능한 28종의 해조류 메탄올추출물 중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이 인간의 대장에서 유래한 암세포인 HT-29세포의 세포증식을 억제함을 밝혔고, 가장 강한 HT-29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억제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을 HT-29 세포 배양액에 여러 농도$(0{\sim}20{\mu}g/mL)$로 첨가하여 세포를 배양한 경우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증식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apoptotic cell수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Apoptosis의 주요한 조절인자인 Bcl-2 family 단백질 중 Bcl-2는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에 의해 변화가 없었고 Bax는 고농도에서만 소폭 감소하였다. 반면, t-Bid 단백질 수준은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Bcl-2 family Protein과 더불어 apoptosis의 조절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caspase 단백질의 경우 보라우무메탄올추출물 처리에 의해 cleaved caspase-8, -9, -7, -3 단백질 수준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cleaved PARP 단백질수준도 현저히 증가하였다. 또한, caspase-8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Fas 단백질 수준도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에 의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은 caspase-8의 활성 증가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막 투과성 변화와 caspase-7/-3 활성의 증가를 통해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는 보라우무를 항암효과를 지니는 기능성식품이나 항암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보라우무를 이용한 제품의 개발을 위해서는 유효성분의 동정 및 그 성분의 작용 기전에 대한 면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twenty eight marine algae specie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proliferative effect o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mong these, the methanolic extract of Symphyocladia latiuscula (SL Ex) showed the highest inhibitory activity on HT-29 cell growth. In this study, we examin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세포질에 있던 t-Bid는 미토콘드리아로 이동하여 Bax와 결합하고, Bax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하여 cytochrome c의 세포질로의 방출을 유도한다(29). HT-29 세포에서 보라우무 메탄올 추출물에 의해 초래된 apoptosis가 미토콘드리아 막 투과성 변화에기 인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에 의한 Bcl-2 family 단백질 수준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표적인 anti-apoptotic Bcl~2 family 단백질인 Bcl-2 단백질 수준은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 처리에 의해 변화하지 않았고, pro-apoptotic Bcl-2 family 단백질인 Bax 단백질 수준은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을 낮은 농도(0~10 ug/mL)로 첨가한 경우 변화하지 않았으나, 20 pg/mL 농도로 처리한 경우 유의 적으로 감소하였다.
  • PARP는 caspase-3의 주요한 표적 단백질 중의 하나로(36), caspase-3에 의해 쪼개어져 불활성화 되면 세포의 분해가 촉진되므로, cleaved PARP 수준 증가는 세포가 apoptosis 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37).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에 의해 cleaved caspase-3 단백질 수준이 현저히 증가하였기 때문에 보라우무 메탄올 추출물이 PARP를 절단하여 apoptosis를 유도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보라우무 메탄올주줄물이 cleaved PARP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의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cleaved PARP 단백질 수준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 추출물을 처리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20 pg/ SL Ex (ug/mL) 단백질 수준이 7.
  •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이 HT-29 세포의 증식을 현저히 억제하였으므로(Fig. 1) 보라우무 메탄올 추출물이 HT-29 세포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7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보라우무를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는 기능성식품이나 항암제로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보라우무를 이용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향후 보라우무 메탄올 추출물에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동정하고, 그 성분의 작용기전에 대한 면밀한 연구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인간에서 유래한 대장암세포인 HT-29 세포를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식용 가능한 해조류 메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비교하고, 그 중 HT-29 세포의 증식을 현저하게 억제한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기전을 조사하기 위해 HT-29 세포의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활성화된caspase-8 또는 caspase-9은 effector caspase인 caspase-7 또는 caspase-3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effector caspasee apoptosis의 형 태학적 특징 에 관여하는 lamin A, a-fodrin, DNA fragmentation factor(DFF), PARP 등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apoptosis# 유도한다(31-34). 여러 연구에서 다양한 항암 성 분은 caspase의 활성을 조절하여 암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한다고 보고된(20-22) 바 있어 본 연구에서는 보라 우무 메탄올추출물이 casp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caspase의 활성화된 형태인 cleaved caspase들의 단백질 수준을 조사하였다. Initiator caspase인 caspase-8과 caspase-9의 활성화된 cleaved form 단백질 수준이 보라우무 메탄올추출물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 해조류가 항암제 연구의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으므로, 본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식용되고 있는 해조류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28종의 해조류 메탄올추출물 중 보라우무(Sy冲/woc/adia latiuscula) 메탄올추출물이 인간의 대장에서 유래한 암세포인 HT-29 세포의 증식을 가장 현저히 억제함을 밝혔다 (Tabl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Yang JH. 2005. The effect of foot reflexology on nausea, vomiting and fatigue of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 Korean Acad Nurs 35: 177-185 

  2. Kim HS, Kim GJ. 1998. Effect of the feeding Hijikia fusiforme (Harvey) Okamura on lipid composition of serum in dietary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18-723 

  3. Yuan YV, Walsh NA. 2006.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 variety of edible seaweeds. Food Chem Toxicol 44: 1144-1150 

  4. Heo SJ, Park EJ, Lee KW, Jeon YJ. 2005.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extracts from brown seaweeds. Bioresour Technol 96: 1613-1623 

  5. Athukorala Y, Kim KN, Jeon YJ. 2006. Antiproliferative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n enzymatic hydrolysate from brown alga, Ecklonia cava. Food Chem Toxicol 44: 1065- 1074 

  6. Dias PF, Siqueira JM Jr, Vendruscolo LF, de Jesus Neiva T, Gagliardi AR, Maraschin M, Ribeiro-do-Valle RM. 2005. Antiangiogenic and antitumoral properties of a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the seaweed Sargassum stenophyllum. Cancer Chemother Pharmacol 56: 436-446 

  7. Kim MM, Ta QV, Mendis E, Rajapakse N, Jung WK, Byun HG, Jeon YJ, Kim SK. 2006. Phlorotannins in Ecklonia cava extract inhibit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ity. Life Sci 79: 1436-1443 

  8. Park HJ, Choi JS, Chung HY. 1998. The antioxidant activity in extracts of Symphyocladia latiuscula. J Korean Fish Soc 31: 927-932 

  9. Lim CW, Lee JS, Cho YJ. 2000. Structures and some properties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s in the red alga, Symphyocladia latiuscula. J Korean Fish Soc 33: 280-287 

  10. Hengartner MO. 2000. The biochemistry of apoptosis. Nature 407: 770-777 

  11. Korsmeyer SJ. 1995. Regulators of cell death. Trends Genet 11: 101-105 

  12. Debatin KM. 2004. Apoptosis pathways in cancer and cancer therapy. Cancer Immunol Immunother 53: 153-159 

  13. Evan GI, Vousden KH. 2001. Proliferation, cell cycle and apoptosis in cancer. Nature 411: 342-348 

  14. Arends MJ, Wylie AH. 1991. Apoptosis: mechanisms and roles in pathology. Int Rev Exp Pathol 32: 223-254 

  15. Mesner P, Budihardjo I, Kaumann SH. 1997. Chemotherapy-induced apoptosis. Adv Pharmacol 41: 461-499 

  16. Denizot F, Lang R. 1986.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ility. J Immunol Methods 89: 271-277 

  17. Kim EJ, Lim SS, Shin MJ, Shin HK, Park JHY. 2006. Effect of Symphyocladia latiuscula extract on the growth of cancer cells. Abstract No P11-035 presented at 73rd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 Technology. Jeju, Korea 

  18. Kim EJ, Lee YJ, Shin HK, Park JHY. 2006. A study on the mechanism by the aqueous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induces apoptosis and inhibits proliferation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16-523 

  19. Frankfurt OS, Krishan A. 2003. Apoptosis-based drug screening and detection of selective toxicity to cancer cells. Anticancer Drugs 14: 555-561 

  20. Kim EJ, Park SY, Shin HK, Kwon DY, Surh YJ, Park JHY. 2007. Activation of caspase-8 contributes to 3,3'-diindolymethane-induced apoptosis in colon cancer cells. J Nutr 137: 31-36 

  21. Jung JI, Lim SS, Choi HJ, Cho HJ, Shin HK, Kim EJ, Chung WY, Park KK, Park JHY. 2006. Isoliquiritigenin induces apoptosis by depolarizing mitochondrial membranes in prostate cancer cells. J Nutr Biochem 17: 689-696 

  22. Kim EJ, Lee YJ, Shin HK, Park JHY. 2005. Induction of apoptosis by the aqueous extract of Rubus coreanum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Nutrition 21: 1141-1148 

  23. Jin Z, El-Deiry WS. 2005. Overview of cell death signaling pathways. Cancer Biol Ther 4: 139-163 

  24. Debatin KM, Krammer PH. 2004. Death receptors in chemotherapy and cancer. Oncogene 23: 2950-2966 

  25. Green DR, Reed JC. 1998. Mitochondria and apoptosis. Science 281: 1309-1312 

  26. Cory S, Huang DC, Adams JM. 2003. The Bcl-2 family: roles in cell survival and oncogenesis. Oncogene 22: 8590-8607 

  27. Koesmeyer SJ, Shutter JR, Veis DJ, Merry DE, Oltvai ZN. 1993. Bcl-2/Bax: a rheostat that regulates an anti-oxidant pathway and cell death. Semin Cancer Biol 4: 327-332 

  28. Bouillet P, Strasser A. 2002. BH3-only proteins-evolutionarily conserved proapoptotic Bcl-2 family members essential for initiating programmed cell death. J Cell Sci 115: 1567-1574 

  29. Luo X, Budihardjo I, Zou H, Slaughter C, Wang X. 1998. Bid, a Bcl2 interacting protein, mediates cytochrome c release from mitochondria in response to activation of cell surface death receptors. Cell 94: 481-490 

  30. Thornberry N, Lazebnik Y. 1998. Caspase: enemies within. Science 281: 1312-1316 

  31. Budihardjo I, Oliver H, Lutter M, Wang X. 1999. Biochemical pathways of caspase activation during apoptosis. Annu Rev Cell Dev Biol 15: 269-290 

  32. Ashkenazi A, Dixit VM. 1998. Death receptor: signaling and modulation. Science 281: 1305-1308 

  33. Nijhawan LP, Budihardjo D, Srinivasula I, Ahmad SM, Alnemri M, Wang X. 1997. Cytochrome c and dATP-dependent formation of Apaf-1/caspase-9 complex initiates an apoptotic protease cascade. Cell 91: 479-489 

  34. Baker SJ, Reddy EP. 1998. Modulation of life and death by the TNF receptor superfamily. Oncogene 17: 3261-3270 

  35. Satoh MS, Lindahi T. 1992. Role of poly(ADP-ribose) formation in DNA repair. Nature 356: 356-358 

  36. Nichoson DW, Ali A, Thornberry NA, Vaillancourt JP, Ding CK, Gallant M. 1995. Identification and inhibition of the ICE/CED-3 protease necessary for mammalian apoptosis. Nature 376: 37-43 

  37. Oliver FJ, de la Rubia G, Rolli V, Ruiz-Ruiz MC, de Murcia G, Murcia JM. 1998. Importance of poly(ADP-ribose) polymerase and its cleavage in apoptosis. Lesson from an uncleavable mutant. J Biol Chem 273: 33533-335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