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Flavonoid의 HT-29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Flavonoids on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4 no.3, 2015년, pp.338 - 346  

조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  최미용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가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는 대장암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고 인체 대장암 세포인 HT-29의 증식을 억제하며,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천연소재를 알아보기 위해서 flavonoid가 HT-29 인체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 유도 및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MTT assay 결과 apigenin, rutin, naringenin, myricetin을 $100{\mu}M$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62.71, 75.78, 74.24, 77.61%로 이 중 naringenin이 대장암 세포 성장에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은 실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Caspase-3 activity에서는 naringenin이 241.46%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세포사멸과 관련된 유전자를 확인하고자 대장암 세포에 flavonoid인 apigenin, rutin, naringenin, myricetin에 $100{\mu}M$ 농도로 처리한 후 RTPCR을 실시한 결과, 세포사멸의 주요한 조절인자인 Bcl-2 family 단백질 중 Bcl-2는 rutin에 의해 감소되었고 Bax는 myricetin에 의해 증가하였으며, p53은 naringenin이 높게 발현되었다. 또한 western blotting을 통해 flavonoid인 apigenin, rutin, naringenin, myricetin에 $100{\mu}M$ 농도로 처리한 결과, Bcl-2 family 단백질과 더불어 세포사멸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성형인 cleaved caspase-3은 모두 증가하였고, 그중 myricetin이, PARP은 naringenin, E-cadherin은 rutin이 각각 높은 발현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번 실험 결과를 통해 flavonoid가 세포사멸의 주요한 조절 인자인 Bcl-2 family 단백질의 발현이나 caspase의 활성 등을 조절하여 암세포 사멸인자인 Bcl-2의 발현은 감소시키고 Bax, p53, PARP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통해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또한 암세포의 전이와 관련된 E-cadherin의 발현도 조절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flavonoid가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사멸과 관련된 기전을 규명하였다. 이를 기초자료로 일상에서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에 많이 존재하며 비교적 독성과 부작용이 적은 flavonoid를 이용한 천연 항암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추후 대장암의 암예방제 및 암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도록 추가 연구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mechanism of flavonoid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We investigated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flavonoid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via cell viability assay (MTT assay), caspase-3 activity, RT-PCR,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상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이번 실험에서는 최소한의 용량으로 가장 효율적으로 대장암 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있는 농도인 100 μΜ을 선정하여 추후 실험에서 flavonoid의 apotosis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Fig. 1).
  • 이번 실험 결과를 통해 flavonoid가 세포사멸의 주요한 조절 인자인 Bcl-2 family 단백질의 발현이나 caspase의 활성 등을 조절하여 암세포 사멸인자인 Bcl-2의 발현은 감소시키고 Bax, p53, PARP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통해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또한 암세포의 전이와 관련된 E-cadherin의 발현도 조절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flavonoid가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 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사멸과 관련된 기전을 규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간에서 유래한 대장암 세포주인 HT-29 세포를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flavonoid를 처리하고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와 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을 확인하여, 대장암 치료제로 독성과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소재인 flavonoid를 이용한 항암제 개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는 대장암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고 인체 대장암 세포인 HT-29의 증식을 억제하며,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천연소재를 알아보기 위해서 flavonoid가 HT-29 인체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 유도 및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MTT assay 결과 apigenin, rutin, naringenin, myricetin을 100 μΜ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62.
  • 각 밴드는 사진을 찍어 Image J program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을 이용하여 밀도를 측정하였다. 이번 실험에서는 RT-PCR 방법으로 apotosis와 관련된 marker인 Bcl-2, Bax, p53의 mRNA 발현 정도를 밴드로 알아보자고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lavonoid는 인체에 어떤 효능이 있는가? Flavonoid는 식물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어 대부분의 모든 녹색 식물에서 발견되는 물질로, 식물에 의해서 광합성 되는 탄소의 약 2%가 flavonoid와 관련된 화합물로 변환되며 그 구조적 특이성 때문에 생체 내에서 다양한 약리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다(12,13). 특히 항산화, 항균, 항혈전, 항염증, 심혈관계, 순환기계 질환 예방 및 항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14,15).
flavonoid는 어떻게 대장암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유도하였는가? 또한 western blotting을 통해 flavonoid인 apigenin, rutin, naringenin, myricetin에 100 μΜ 농도로 처리한 결과, Bcl-2 family 단백질과 더불어 세포사멸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성형인 cleaved caspase-3은 모두 증가하였고, 그중 myricetin이, PARP은 naringenin, E-cadherin은 rutin이 각각 높은 발현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번 실험 결과를 통해 flavonoid가 세포사멸의 주요한 조절 인자인 Bcl-2 family 단백질의 발현이나 caspase의 활성 등을 조절하여 암세포 사멸인자인 Bcl-2의 발현은 감소시키고 Bax, p53, PARP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통해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였다. 또한 암세포의 전이와 관련된 E-cadherin의 발현도 조절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한 플라보노이드 중 대장암 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가장 좋았던 것은? 24, 77.61%로 이 중 naringenin이 대장암 세포 성장에 억제 효과가 가장 높은 실험 결과를 나타내었다. Caspase-3 activity에서는 naringenin이 24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Kim EJ, Park SY, Hong JE, Shin MJ, Lim SS, Shin HK, Yoon JH. 2007. Inhibitory effect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Symphyocladia latiuscula on the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31-438. 

  2. Kim EJ, Park HS, Lim SS, Kim JS, Shin HK, Yoon JH. 2008. Effect of the hexane extract of Saussurea lappa on the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07-214. 

  3. Kim MJ. 2012. The effect of fucoidan on the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HT-29 cells. M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3, 10-14, 43. 

  4. Baek YG. 2013. The correlation among symptoms,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 1. 

  5. Lee SH, Park SY, Kim IS, Park OJ, Kim YM. 2012. Effect of resveratrol on migration and proliferation in HT-29 colon cancer cells. KSBB J 27: 289-294. 

  6. Ryu MJ, Chung HS. 2011. Effects on hot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on colon cancer cell line. Food Eng Prog 15: 64-69. 

  7. Andersen C, Adamsen L, Moeller T, Midtgaard J, Quist M, Tveteraas A, Rorth M. 2006. The effect of a multidimensional exercise programme on symptoms and side-effects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 The use of semi-structured diaries. Eur J Oncol Nurs 10: 247-262. 

  8. Shariati A, Haghighi S, Fayyazi S, Tabesh H, Kalboland MM. 2010. The effect of exercise on the severity of the fatigu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chemotherapy in Ahwaz. Iran J Nurs Midwifery Res 15: 145-149. 

  9. Kim JY, Jung EJ, Won YS, Lee JH, Shin DY, Seo KI. 2012. Cultivated Orostachys japonicus induces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17-323. 

  10. Yang JH. 2005. The effect of foot reflexology on nausea, vomiting and fatigue of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J Korean Acad Nurs 35: 177-185. 

  11. Park KU, Kim JY, Seo KI. 2009. Antioxidative and cytotoxicity activities against human colon cancer cells exhibited by edible crude saponins from soybean cake. Korean J Food Preserv 16: 754-758. 

  12. Wagner H. 1979. Phenolic compounds in plants of pharmaceutical interest. In Recent Advances in Phytochemistry, Biochemistry of Plant Phenolics. Swain T, Harborne JB, van Sumere CF, eds. Plenum Press, New York, NY, USA. Vol 12, p 589-616. 

  1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1. Phytonutrient nutrition. Life Science, Seoul, Korea. p 196. 

  14. Kandaswami C, Middleton E Jr. 1994.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flavonoids. Adv Exp Med Biol 366: 351-376. 

  15. Middleton E Jr, Kandaswami C, Theoharides TC. 2000. The effects of plant flavonoids on mammalian cells: implications for inflammation, heart disease, and cancer. Pharmacol Rev 52: 673-751. 

  16. Duthie G, Crozier A. 2000. Plant-derived phenolic antioxidants. Curr Opin Clin Nutr Metab Care 3: 447-451. 

  17. Singh JP, Selvendiran K, Banu SM, Padmavathi R, Sakthisekaran D. 2004. Protective role of Apigenin on the status of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defense against hepatocarcinogenesis in Wistar albino rats. Phytomedicine 11: 309-314. 

  18. Miyoshi N, Naniwa K, Yamada T, Osawa T, Nakamura Y. 2007. Dietary flavonoid apigenin is a potential inducer of intracellular oxidative stress: the role in the interruptive apoptotic signal. Arch Biochem Biophys 466: 274-282. 

  19. Kowalski J, Samojedny A, Paul M, Pietsz G, Wilczok T. 2005. Effect of apigenin, kaempferol and resveratrol on the expression of interleukin- $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B$ genes in J774.2 macrophages. Pharmacol Rep 57: 390-394. 

  20. Jeyabal PV, Syed MB, Venkataraman M, Sambandham JK, Sakthisekaran D. 2005. Apigenin inhibits oxidative stressinduced macromolecular damage in N-nitrosodiethylamine (NDEA)-induced hepatocellular carcinogenesis in Wistar albino rats. Mol Carcinog 44: 11-20. 

  21. Pozin VM, Skuratovskaia SG, Pocheptsova GA. 1996. Changes in the vascular wall and ischemic damages to the myocardium in reversible episodes of heart muscle ischemia. Fiziol Zh 42: 10-16. 

  22. Janbaz KH, Saeed SA, Gilani AH. 2002. Protective effect of rutin on paracetamol- and $CCl_4$ -induced hepatotoxicity in rodents. Fitoterapia 73: 557-563. 

  23. Kamalakkannan N, Stanely Mainzen Prince P. 2006. Rutin improves the antioxidant stat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 tissues. Mol Cell Biochem 293: 211-219. 

  24. van Acker FA, Schouten O, Haenen GR, van der Vijgh WJ, Bast A. 2000. Flavonoids can replace ${\alpha}B$ -tocopherol as an antioxidant. FEBS Lett 473: 145-148. 

  25. So FV, Guthrie N, Chambers AF, Carroll KK. 1997. Inhibition of proliferation of estrogen receptor-positive MCF-7 human. Cancer Lett 112: 127-133. 

  26. Kanno S, Tomizawa A, Hiura T, Osanai Y, Shouji A, Ujibe M, Ohtake T, Kimura K, Ishikawa M. 2005. Inhibitory effects of naringenin on tumor growth in human cancer cell lines and sarcoma S-180-implanted mice. Biol Pharm Bull 28: 527-530. 

  27. Hiermann A, Schramm HW, Laufer S. 1998.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yricetin-3-O-beta-D-glucuronide and related compounds. Inflamm Res 47: 421-427. 

  28. Hertog MG, Hollman PC, Katan MB, Kromhout D. 1993. Intake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and their determinants in adults in the Netherlands. Nutr Cancer 20: 21-29. 

  29. Knekt P, Kumpulainen J, Jarvinen R, Rissanen H, Heliovaara M, Reunanen A, Hakulinen T, Aromaa A. 2002. Flavonoid intake and risk of chronic diseases. Am J Clin Nutr 76: 560-568. 

  30. Ono K, Nakane H, Fukushima M, Chermann JC, Barre-Sinoussi F. 1990. Differential inhibitory effects of various flavonoids on the activities of reverse transcriptase and cellular DNA and RNA polymerases. Eur J Biochem 190: 469-476. 

  31. Landolfi R, Mower RL, Steiner M. 1984. Modification of platelet function and arachidonic acid metabolism by bioflavonoids. Structure-activity relations. Biochem Pharmacol 33: 1525-1530. 

  32. Ryu MJ, Chung HS. 2012.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of semi-fermented tea, Sun-Hyang o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J Kor Tea Soc 18: 87-91. 

  33. Debatin KM. 2004. Apoptosis pathways in cancer and cancer therapy. Cancer Immunol Immunother 53: 153-159. 

  34. Kim YR. 2008.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and lipid metabolism.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 6. 

  35. Park HK. 2012. Induction of apoptosis by laminarin through the regulation of IGF-IR and ErbB signaling pathways in HT-29 human colon cell.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p 26. 

  36. Cotter TG, Glynn JM, Echeverri F, Green DR. 1992. The induction of apoptosis by chemotherapeutic agents occurs in all phases of the cell cycle. Anticancer Res 12: 773-779. 

  37. Nagata S. 1997. Apoptosis by death factor. Cell 88: 355-365. 

  38. Norman D, Isidori AM, Frajese V, Caprio M, Chew SL, Grossman AB, Clark AJ, Michael Besser G, Fabbri A. 2003. ACTH and alpha-MSH inhibit leptin expression and secretion in 3T3-L1 adipocytes: model for a central-peripheral melanocortin-leptin pathway. Mol Cell Endocrinol 200: 99-109. 

  39. Reed JC. 1994. Bcl-2 and regulation of programmed cell death. J Cell Biol 124: 1-6. 

  40. Ohtsubo M, Theodoras AM, Schumacher J, Roberts JM, Pagano M. 1995. Human cycline E, a nuclear protein essential for the $G_1$ -to-S phage transition. Mol Cell Biol 15: 2612-2624. 

  41. Cryns V, Yuan J. 1998. Proteases to die for. Genes Dev 12: 1551-1570. 

  42. de Murcia G, Menissier de Murcia J. 1994. Poly(ADP-ribose) polymerase: a molecular nick-sensor. Trends Biochem Sci 19: 172-176. 

  43. Pacher P, Szabo C. 2008. Role of the peroxynitrite-poly (ADP-ribose) polymerase pathway in human disease. Am J Pathol 173: 2-13. 

  44. Nichoson DW, Ali A, Thornberry NA, Vaillancourt JP, Ding CK, Gallant M, Gareau Y, Griffin PR, Labelle M, Lazebnik YA. 1995. Identification and inhibition of the ICE/CED-3 protease necessary for mammalian apoptosis. Nature 376: 37-43. 

  45. Oliver FJ, de la Rubia G, Rolli V, Ruiz-Ruiz MC, de Murcia G, Murcia JM. 1998. Importance of poly(ADP-ribose) polymerase and its cleavage in apoptosis. Lesson from an uncleavable mutant. J Biol Chem 273: 33533-33539. 

  46. Ozawa M, Baribault H, Kemler R. 1989. The cytoplasmic domain of cell adhesion molecule uvomorulin associated with three independent proteins structurally relate in different species. EMBO J 8: 1711-1717. 

  47. Lee SM. 2007. Correlation of decreased expressions of claudin 4 and E-cadherin proteins and the clinicopathologic factors of stomach cancer.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 1. 

  48. Frixen UH, Nagamine Y. 1993. Stimulation of urokinasetype plasminogen activator expression by blockage of Ecadherin-dependent cell-cell adhesion. Cancer Res 53: 3618-36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