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디 추출물이 갱년기 유도 흰쥐의 혈행 개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lberry Fruits Extracts on Blood Flow Improvement in Ovariectomized Ra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7 no.4 = no.84, 2007년, pp.575 - 580  

최경하 (천호식품) ,  손재학 (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소재학과) ,  최인순 (신라대학교 생물과학과) ,  최영주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송자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향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여성의 폐경에 의한 estrogen의 감소는 심혈관계질환을 빠르게 진행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새로운 estrogen 대체 식물로 주목받고 있는 오디 추출물을 갱년기장애를 일으킨 흰쥐에 투여하여 혈액 유동성, 항 혈소판 응집능 및 혈 중 지질 수준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오디 추출물 투여군의 경우 Ovx-control군보다 혈액 유동성이 빠르게 나타났고, 한국산 오디의 경우 sham군 정도의 혈액 유동성을 보였으며, 중국산의 경우는 sham군 보다 빠른 유동성을 나타내었다. 각 산지별 오디 추출물 투여군이 OVX-control군 보다 빠른 시간에 통과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오디가 혈액의 유동성에 좋은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오디 추출물을 갱년기를 유도한 흰쥐에 투여하여 혈소판 응집 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난소절제에 의하여 혈소판응집이 활성화 되었는데, 오디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혈소판응집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난소 절제하여 갱년기 장애를 유도한 흰쥐에 각각의 오디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total-cholesterol 및 혈 중 중성 지방이 낮아지고, HDL-cholesterol 함량이 높아지는 결과로 보아 국산 오디 추출물 뿐 아니라 타지키스탄, 중국산 오디 추출물 투여가 난소 절제에 의해 소실된 estrogen의 지질대사 불균형에 유익한 영향을 주어 관상동맥 질환 개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extracts on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and blood flow improvement. Four groups were surgically ovariectomized (OVX). The fifth group was sham operated. Sprague-Dawley strain female rats were random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변화에 대한 연구[25]는 그리 다양하지 않다. 실험에서는 MC-FAN을 이용하여 오디가 혈류개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estrogen 대체 식물열매로 주목받고 있는 오디를 난소를 절제하여 갱년기 장애를 유도한 흰쥐에 투여함으로써 난소절제에 의한 es- trogen결핍에서 발생되는 지질 농도, 혈행 및 혈소판 응집 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또한 국내산 오디보다 비교적 가격 이 싼 중국산 및 타지키스탄 오디를 국내산 오디와 비교하여 호르몬 대체작용 효과가 있다면 경제성 있는 phytoestrogen으로 외인성 estrogen 공급으로 인한 부작용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estrogen 결핍으로 인한 혈관 순환계 질환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가설 설정

  • 2) Values are mean+SD, Mean in the same column not sharing commen superscript letters (a, b, c)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Values are means +S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be, T., J. W. M. Chow, J. M. Lean and T. J. Chambers. 1993. Estrogen does not restore bone list after ovariectomy in the rat. J. Bone Miner. Res, 8, 831-838 

  2. Aitken, J. M., E. Armstrong and J. B. Anderson. 1972. Osteroporosis after ophoretomy in the mature female rat and the effect of estrogen and ovariectomy or progesterone replacement therapy in its prevention. J. Endocrinol. 55, 79-87 

  3.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eoul, 1997 

  4. Belchetz, P. E. 1994. Hormonal treatment of postmenopausal women. N. Eng. J. Med. 330, 1062-1071 

  5. Brosage, P. 1995. Hormone therapy: The woman's decision. Contemp. Nurse Pract. 1 (S), 3 

  6. Bush, T. L. and E. Barret-Connor. 1985. Noncontraceptive estrogen u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Epidemiol. Rev. 7, 89-104 

  7. Cecily, C. K. 1990. Clinical asp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contraceptives and abnormalities of the hemostatic system: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Am. J. Obstet. Gynecol. 163, 392-395 

  8. Cha, J. Y., H. J. Kim and Y. S. Cho. 2000. Effect of water-soluble extract from leaves of Morus alba and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lipid concentrations of serum and liver in rat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303-308 

  9. Chen, F., N. Nakashima, J. Kimura and M. Kimura. 1995. Hypoglycemic activity and mechanisms of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Folium mori) and cortex mori radici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Yakugaku Zasshi 15, 476-482 

  10. Colditz, G. A., S. E. Hankinson, D. J. Hunter, W. C. Willett, J. E. Menson, M. J. Stampfer, C. Hennekens, B. Rosner and F. E. Speizer. 1995. The use of estrogens and progenstins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in postmenopausal women. New. Engl. J. Med. 332, 1589-1593 

  11. Cook, N. S., H. G. Zerowes, C. TapparelI, M. Pawling, J. Singh, R. Matternich and A. Hagenbach. 1993. Platelet aggregation and fibrinogen binding in human, rhesus minkey, guinea-pigs hamster and rat blood ; activation by ADP and a thrombin receptor peptide and inhibition by glycoprotein IIb/IIIa antagonist. Thrombosis and Haernostosis 70, 531-539 

  12. Dodds W. J. 1978. Platelet function in animals: species specificities. In platelets : Multidisciplinary Approach, ed. G. De Gaetana and S. Garattini, pp. 45-49. Raven Press, New York 

  13. Falk, E., P. K. Shah and V. Fuster. 1995. Coronary plaque disruption. Circulation 92, 657-671 

  14. Grodstein, F., M. J. Stamfer, G. A. Colditz, W. C. Willett, J. E. Manson, M. Joffe, B. Rosner, C. Fuchs, S. E. Hankinson, D. J. Hunter, C. H. Hennekens and F. E. Speizer. 1997. Postmenopausal hormone therapy and mortality. New. Engl. J. Med. 336, 1769-1775 

  15. Harris, R. B., A. Laws, F. M. Reddy, A. King and W. L. Haskell. 1990. Are women using postmenopausal estrogens? A community survey. Am. J. Public Health 80, 1266-1268 

  16. Jeong, C. H., O. S. Joo and K. H. Shim. 2002.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young mulberry(Morus alba) stem.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9, 228-233 

  17. Kim, H. B., G. J. Bark, Y. S. Seok, S. L. Kim, G. B. Sung, H. W. Nam and J. Y. Moon. 2002.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mulberry leaves and fruits with wild varieties, Korean Scociety of Sericultural Science 44, 4-8 

  18. Kim, H. B., S. Y. Kim, G. S. Rue, Y. J. Lee and J. Y. Moon. 2001.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mulberry fruit on the lipid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Korean Scociety of Sericultural Science 42, 104-108 

  19. Kim, H. B, H. S. Bang, H. W. Lee, Y. S. Seuk and B. S. Gyoo. 1999.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syncarp. Korean J. Seric. Sci. 41, 123-128 

  20. Kim, S. H., H. Y. Park and W. K. Park. 1988. Determin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seaweed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7, 320-325 

  21. Kim, S. Y. and K. J. Park. 199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 204-209 

  22. Kim, S. Y, W. C. Lee, H. B. Kim, A. J. Kim and S. K. Kim. 1998. Antihyperlipidemica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mulberry leaves in cholesterol-induced hyperlipidemia rats. J. Kor. Soc. Food Sci. Nurt. 27, 1217-1222 

  23. Kim, T. W, Y. B. Kwon, Lee, J. H. Yang, I. S. Youm, J. K. Lee, H. S and J. Y. Moon. 1996. A study on the antidiabetic effect of mulberry fruits. Korean. J. Seric. Sci. 38, 100-107 

  24. Meade, Y. W. 1982. Oral contraceptives, clotting factors, and thrombosis. Am. J. Obstet. Gynecol. 142, 758-761 

  25. Nakamura, H., F. Kinoshita, K. Itou, K. Mugitani, H. Oohata, M. Iwane, A. Yoshikawa and O. Mohara. 2004. Analysis of factors which relate to lifestyle related diseases observed from blood rheology. JJCDP 39, 1-4 

  26. Ramirez, M. E., M. P. McMurry, G. A. Wiebke, K. J. Felton and K. Ren, 1997. Evidence for sex steroid inhibition of lipoprotein lipase in men; comparison of abdominal and femoral adipose tissue. Metabolism 46, 179-185 

  27. Ross, R. K., A. Pagamm-Hill, T. M. Mark and B. E. Henderson. 1989. Cardiovascular benefits of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m. J. Obstet Gynecol. 160, 1301-1306 

  28. Sabra, A. and J. Bonnar. 1983. Hemostatic system changes induced by $50{\mu}g$ and $30{\mu}g$ estrogen/progestogen oral contraceptives. Modification of estrogen effects by levonorgestrel. J. Reprod. Med. 28(1 suppl). 85-91 

  29. Spiller, G. A. and R. J. Amen. 1975. Dietary fiber in human nutriation. Crit. Rev. Food Sci. Nutr. 7, 39-66 

  30. Stadel, B. V. 1981. Oral contraceptives and cardiovascular disease(1st of 2 parts). N. Eng. J. Med. 305, 612-616 

  31. Stolley, P. D., J. A. Tonascia. M. S. 'I'ockman, P. E. Sartwell, A. H. Rutledge and M. P. Jacobs. 1975. Thrombosis with low-estrogen oral contraceptives. Am. J. Epidem. 102, 197-201 

  32. Valette, A., K. M. Meignen, L. Mercier, J. G. Liehr and J. Boyer. 1986. Effects of 2-fluoroestradiol on lipid metabolism in the ovariectomized rat. J. Steroid Biochem. 25, 575-578 

  33. Vessey, M. P. 1984. Oral contraceptives and stroke : Finding in a large prospective study. Br. Med. J. 289, 530-532 

  34. Wickelgren, I. 1997. A new weapon against Alzheimer's. Science 276, 676-677 

  35. Wronski, T. J., M. Cintron and L. M. Dann. 1988.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bone loss and increased bone turnover in ovariectomized rats. Calcif. Tissue. Int. 43, 179-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