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유아교육.보육기관에서의 사회적 적응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 Temperament, Mothering Daily Hassles and Social Adjustment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5 no.9 = no.235, 2007년, pp.27 - 36  

김민희 (가톨릭대학교 생활문화학과) ,  문혁준 (가톨릭대학교 생활문화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 temperament, mothering daily hassles, and children's social adjustment in 254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he mothers of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measures of child temperament and mothering daily hassles. The social adjustment in day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육기관에서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적응에 있어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함께 한 연구는 Coplan et 血(2003)의 연구만이 있을 뿐이며, 국내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므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유아의 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밝혀진 결과는 유아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하며 조화롭고 효율적인 양육을 위한 부모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 유아들에게 있어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요인은 매우 중요한 정서치대로서 유아들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이 있으며, 유아의 개인적이 특질인 기질요인은 가장 밀접한 가족인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와 같은 요인과 상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처음으로 가지는 사회적 경험인 유아교육 . 보육기관에서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적응에 있어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함께 한 연구는 Coplan et 血(2003)의 연구만이 있을 뿐이며, 국내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므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유아의 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한다.
  • 따라서 유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아 자신의 특성인 기질과 아직 어머니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은 어린 유아들이기 때문에 어머니의 행동으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어머니의 심리적 상태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서 지대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초점을 맞추어 최초의사회적 환경인 유아교육 . 보육기관에서의 적응과 그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가지는 사회적 경험인 유아교육 . 보육기관에서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유아의 적응에 있어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함께 한 연구는 Coplan et 血(2003)의 연구만이 있을 뿐이며, 국내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므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유아의 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밝혀진 결과는 유아에 대해 보다 잘 이해하며 조화롭고 효율적인 양육을 위한 부모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 즉, 유아의 사회적 적응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에 대한 이해 및 수행, 유아의 개인적 성숙, 교사나 유아들 간의 대인관계에서 발생하는 적응 능력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최초로 접하는 환경인 유아교육 . 보육기관에서의 사회적 적응을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 들 수 있다(유우영, 이숙 1998). 본 연구에서는 최초의 환경인 유아교육 . 보육기관에서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유아자신의 특성과 유아교육 .
  • 셋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가족의 정서 지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현대 사회의 핵가족, 소자녀의 현상으로 보아 아버지의 영향이 지대할 것이 예측됨에도 불구하고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는 탐구되지 않았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만을 포함하였다.
  • 반면에 두 번째는 부모가 바라지 않는 유아의 도전적인 행동들과 관련되는데, 버릇없는 유아들의 행동이나 다루기 어려운 유아들의 행동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이러한 관점에서 부모 됨으로 인한 양육과제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유아의 도전적 행동으로 인한 스트레스의 관점으로 구분하여 유아의 기질과 사회적 적응과의 관계를 탐구하였다.

가설 설정

  • 둘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사회적 적응을 단순히 유아교육 . 보육기관에서의 교사 보고에 의해서만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민정(1997).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유치원 부적응 행동.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기현, 조복희(2000).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관련 변인 탐색. 한국아동학회지, 21(4), 35-50 

  3. 김민아, 이재신(2004). 어머니의 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5), 145-166 

  4. 김민정, 엄정애(2005). 유아의 혼자놀이와 기질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1-14 

  5. 김연, 한태숙, 정인희, 박연경, 황혜정, 구현아(2006).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태도, 기질, 인지능력,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모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1(2), 229-250 

  6. 김영희(1996). 기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적응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7(2), 19-32 

  7. 김현미, 도현심(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8. 김혜진(2003).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남혜순(2003). 어머니가 지각하는 유아의 기질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의 차이. 아동교육, 12(2), 121-135 

  10. 문혜련(1999).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체계와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능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서수경(2003). 유아의 행동과 기질 및 성차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안선희(2002).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유치원 적응.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163-180 

  13. 여성가족부(2006). 통계자료 

  14. 원영미(1990). 유아의 기질 및 그 관련변수와 유치원 아동의 적응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유우영, 이숙(1998). 유아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변인간의 인과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10), 65-78 

  16. 이정희(2000). 어머니가 인지한 자녀양육스트레스와 유아 부적응행동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7. 이진숙(2004).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63-73 

  18. 정영미(1996). 유아의 기질과 적응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정현희, 최경순(2001). 아동의 기질과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14 

  20. 조용신, 정영숙(2000). 어머니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양육 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학회지, 9(3), 271-281 

  21. 조은옥(2003). 유아의 기질에 따른 놀이성향과 놀이행동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경순(1994). 아동의 사회적 능력 및 관련변인. 부산여자대학교 논문집, 38, 263-291 

  23. 최영희(1990). 아동의 기질이 모-자 상호작용과 아동의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최형성(2005). 남녀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및 아동의 기질. 아동학회지, 26(1), 317-328 

  25. 한민경(2002).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양육 행동 및 아동의 정서이해 능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한세영(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적 부조화에 따른 어머니의 일상적 양육스트레스.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허영림, 윤혜진(200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6(4), 85-101 

  28. 홍계옥(2001). 어머니의 자기-지각, 양육행동 및 유아의 기질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아동학회지, 22(2), 181-194 

  29. Abidin, R. R.(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1, 407-412 

  30. Coplan, R. J., Bowker, A., & Cooper, S. M. (2003). Parenting daily hassles, child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in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 376-395 

  31. Coplan, R., J., & Rubin, K. H.(1998). Exploring and Assessing Nonsocial Play in the Preschool: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reschool Play Behavior Scale. Social Development, 7(1), 71-91 

  32. Cowen, E., Work, W., Wyman, P., Parker, G., Wannon, M., & Gribble, P. (1992). Test comparisons among stress-affected, stress-resilient, and nonclassified fourth-through sixth-grade ruban childre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0, 200-214 

  33. Creasey, G., & Reese, M. (1996).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parenting hassles: Associations with psychological symptoms, nonparenting hassles, and child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7, 393-406 

  34. Crnic, K. A., & Booth, C. L.(1991). Mothers' and Fathers' perceptions of daily hassles of parenting across early childhood. Journal of Marriage & the Family, 53, 1042-1050 

  35.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 1628-1637 

  36. Fagan, J.(1990). The intervention between child's sex and temperament in predicting behavior problem of preschool-age child in day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59, 1-9 

  37. Goldsmith, H. H., Buss, A., Plomin, R., Rothbart, M. K., Thomas, A., Chess, S., Hinde, R. A., & McCall, R. B.(1987). What is temperament? Four approaches. Child Development, 58, 505-529 

  38. Jewsuwan, R., Luster, T., & Kostelnik, M.(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Early Childhood Reserch Quarterly, 8, 33-51 

  39. Kliewer, W., & Kun& E. (1998). Family moderators of the relation between hassles and behavior problems in inner-city youth.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7, 278-292 

  40. Parker-Cohen, N. Y., & Bell, R. Q.(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to pe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 179-192 

  41. Oestberg, M., & Hagekull, B. (2000).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parenting stres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9, 615-625 

  42. Rothbart, M. K., & Bates, J. E. (1998). Temperament In Damon(Ed.) & N. Eisenberg(Vol.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5th ed., vol. e):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Wiley 

  43.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Harpercolli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